![](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8E0cA/btr3cDvjkM7/XNZ62k6kDpOWQXHypfnEQ0/img.jpg)
[ 밑줄/연결 ] 관건은 조직 구성원들의 기대와 에너지, 절박감, 업무 강도를 단계적으로 높이는 것이다. 나는 이를 '증폭'이라고 부른다. 리더십이 바뀌면, 인재/조직구조/전략에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더라도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구성원 모두가 의욕이 솟고,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조직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업무에 더 높은 기대를 가지고 휠씬 더 집중하기 때문이다. 갑자기 모든 일이 착착 진행되므로 막힌 속이 뻥 뚫리는 기분이 들 것이다. ----> 한국에서 나는 경험해 보지 못했다. ----> 미국에서는 있는 일인가 보다. 아니면, 이것은 이 분 같은 성공한 연쇄 창업자의 착각일 수도 있겠다. 증폭 경영 프로세스는 5대 핵심 단계가 있다. 첫째 기준을 높이고, 둘째 직원과 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kwzTr/btr3azGTtnN/m9kXpLfok77CntX86X2EGK/img.jpg)
[ 밑줄/연결 ] 위기의 징조는 '변화'라는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매출의 변화, 비용의 변화, 인력의 변화(잦은 퇴사 등)와 같은 기업이 평소 관찰하는 일상적인 수치 정보가 있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소비자 반응의 변화, 판매 현장에서 보이는 변화 등 비숫자적인 정보를 포함해 기업이 접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에서 파악이 가능합니다. 넷플릭스는 매년 1조 원 이상의 자금을 콘텐츠 제작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이 책이 출판된 시점은 2020년 11월 이다. ---> 2023년 3월 11일 현재 시점은 더 대단해 졌고, 대단해 질 것이다. (MWC) 2023’에서 ‘엔터테인먼트의 미래’를 주제 발표에서 넷플릭스는 “넷플릭스가 지난 5년간 매출의 절반에 달하는 600억달러(79조원) 이상을 콘텐츠에 투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pdK2/btr0HyKg2U5/EXz6HzNckrcEU9kHsK9po0/img.jpg)
[ 밑줄/연결 ] 수익성이 좋은 조직은 내/외부적으로 사람들을 잘 대한다. 그들과의 관계가 건강할수록 비즈니스가 이롭다. 건강한 관계는 개개인의 성장과 팀의 성장 그리고 조직 전체의 성장으로 이어진다. 성숙을 이끄는 힘은 자기 인식(self-awareness)이고, 성숙해지려면 정확한 자기 지각(self-perception)과 진정성 그리고 겸손이 요구된다. 모든 사람이 자산은 아니다. 조직에 가치를 제공하는 적절한 사람들이 자산이다. [ 자평 ] 기대가 실망으로... 대충 이런 책들은 비슷하다. 비슷하기에 차라리 마리아 로스 (Maria Ross), 이 책이 더 나은 듯하다. 그러나 이런 책보다는 이란 책을 먼저 읽고 실천하면 좋을 듯 하다. "나는 항상 온정, 공감, 친절이 비즈니스 세계에서 큰 자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M6qN/btr0NMG8xoP/f0cgcGiKTN5LegRAf34bS1/img.jpg)
[ 밑줄/연결 ] 식학 : 조직 내에서 오해나 착각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것을 해결할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내는 학문 실패하는 리더는 크게 두 가지 패턴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세세하게 지도해 줘야 한다고 생각한 나머지 "이렇게 하면 더 나을 것 같은데?", "그러면 이렇게 해 보겠어?"라고 하나부터 열까지 친절하게 지도하는 사람이다. 둘째는 "내 등을 보고 배우도록 하게."라는 듯이 계속 플레이어로 활약하면서 부하 사원이 자신의 뒤를 따라오게 하는 사람이다. '다섯 가지 포인트' 이외에는 무시해도 좋다.식학의 관점에서 리더는 '다섯 가지 포인트'에만 집중한다. 식학은 조직 매니지먼트는 '수학'이나 '물리'처럼 공식이 있음을 가르쳐 줬다. 수학처럼 식학 이론에 입각해서 매니지먼트를 하면 강한 조직을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fA6eT/btr02AMvugl/J9faTM9jkOkubmNzutNKY0/img.jpg)
[ 밑줄/연결 ] 직장 내 악질의 70%를 차지하는 악질 보스들이 직장을 황폐화시키고 기업의 성과를 갉아먹는다. '보스(Boss)병' 부장급 이상의 보스들에게 발병률 90%(?)이며 치유가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붙어 있었다. 인간은 마약에 중독되듯이 권력에 쉽게 중독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고, 보스가 되면 두뇌의 생리학적 작용이 정신장애인과 비슷해진다는 보고도 있다. 실제로는 보스가 부하 직원들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게 제니퍼 러너 교수 팀의 연구 결과다. 당장 보스 제도를 폐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직원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악질 보스부터 막아야 한다. 보스는 두 가지 면에서 엄청난 비용을 발생시킨다. 권력의 맛에 길들여지며서 조직의 성과를 갉아 먹는 것이 첫째이고, 과도한 관리로 조직에서 창의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Pllg8/btrZLTnhcpy/BouXENF6T70kASqnSWJuQ1/img.jpg)
[ 밑줄/연결 ] 기질적으로는 보편/무난형이 가장 좋았다. 기본적으로 사람을 신뢰하고, 사람들과 자주 교감하는 스타일이었으며, 주변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는 기질 기질적으로 가장 불리한 집단은 꼼꼼함(attention to detail)과 미세 관리(micro-managing) 큰 그림을 보기보다 매우 세밀한 사항에 주의가 집중되는 성향 본인이 직접 챙기지 않으면 불안해지기 때문에 사사건건 챙기려드는 성향 성격심리학자인 로버트 호건(Robert Hogan)은....꼼꼼함 그 자체는 부정적인 성격이 아니다. 반면, 미세 관리는 어두운 측면의 성격이다. 미세 관리는 리더로 성장하는 데 가장 대표적인 걸림돌이다. 부하의 업무적인 성장을 방해하며, 조직의 성과를 지속해서 해치기 때문이다. 지시/실무형 집단..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QeV5D/btrYSD7FQLE/Mp3SWx2TskoO5AEkuJYCN0/img.jpg)
[ 밑줄/연결 ] 2000곳 이상의 적자 회사를 봐온 경험에서 말하건대, 적자 회사는 '이익을 창출하는 힘'이 부족하다. 내가 적자 회사에서 1순위로 포섭하는 인재는 '변화시킬 수 있는 사람'이다. 내가 정의하는 인재란 '미래를 자기 손으로 만들어나갈 수 있는 사람'이다. 단지 두뇌 회전이 빠른 사람일수록 말만 그럴듯하여 평론가 기질이 강하기 때문이다. '명함 개수 = 인맥' 이라고 착각하지 마라. 인맥은 상대방이 나에게서 좋은 점을 발견했을 때 만들어진다. 영리한 사람에서 유능한 사람으로, 유능한 사람에거 이끄는 사람으로 영리한 사람은 자기 자신만 생각하는 사람, 유능한 사람은 부서와 회사에도 마음을 쓰는 사람 이끄는 사람은 널리 회사 밖까지 고려하는 사람 [ 자평 ] 네...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fhLW/btrYT9Lsyxq/u1RGlsTXM4x5cze7U8Kai1/img.jpg)
[ 밑줄/연결 ] 경영이란, 임직원들을 걱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경쟁력이란, 돈 벌어 이익을 내는 능력입니다.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익의 실현을 통한 생존과 성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영자와 리더의 내공은 독서와 고민과 배려, 이 세가지의 폭과 넓이에서 우러납니다. 미래 비전, 즉 회사의 방향과 목표를 통해 직원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지 못한다면 경영자로서 최대의 실수를 한 것입니다. 이것은 경영자 자신의 꿈과 희망이 없기 때문이거나, 그것이 직원들의 그것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리더를 향한 신뢰가 무너지는 9가지 증상 - 만남 회피, 엉뚱한 말, Big Picture 없음, 사소함에 빠짐, 화 - 불공정한 인사, 속 보이는 처리, 살 궁리, 회삿돈 유용 사소한 것을 너무 정열적으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d4CRx/btrX2p3fCGs/Uu81gUJJYOQBn1B5XvNl2K/img.jpg)
[ 밑줄/연결 ] (신뢰의 네 가지 요소) (역량) : 문제를 해결할 실력 --> 탁월함에서 신뢰가 싹튼다. 효율적인 프로세스와 기술 노하우, 합리적 경영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창조하고 제공할 수 있는 능력 혁신하고, 생산하고, 직원과 고객에 대한 프로세스와 운영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 유능하다는 것을 의미 기술과 능력을 의미하는 역량은 신뢰의 필수 요소이며 신뢰의 기반이다. "치열한 것과 더러운 것은 분명히 다릅니다. 그것은 나쁜 문화입니다. 저는 그들을 인정할 생각이 없습니다." (동기) : 선한 동기 --> 모두의 이익에 기여하라 기업이 상호교류하는 모든 개인과 집단에서 최고의 가치를 전하려는 선한 의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이익에도 기여할 '동기'를 갖고 있는가? 목적이 기업이 성취하려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X4yRf/btrXnIWIT81/AbCEPakZumhYS4CKblPHMK/img.jpg)
[ 밑줄/연결 ] 전략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야말로 전정한 전략가라고할 수 있다. 전략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자신의 관점을 바꾸어, 지금까지와는 진정으로 다른 관점에서 현상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는 끝없는 학습의 과정이고, 현재 나의 세계관이 틀릴 수도 있고, 쓸모없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는 일이다. 스웨덴의 독특한 삶의 태도인 '라곰'(Lagom)....라곰은 너무 과하지도 않고 너무 부족하지도 않은 알맞은 상태를 말한다. 변화라는 것은 단순히 한 가지 기술을 적용하여 갑자기 무엇을 만들어 내는 일이 아니라 사람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그들 각자의 태도와 관점을 바꾸는 것을 도와주는 과정이다. 얀테의 법칙(Tha law of Jante): 자의식의 과잉되어 자신을 지나치게 중요하게 여기거나 자랑하지 ..
- Total
- Today
- Yesterday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양자역학
- 혁신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파괴적 혁신
- 최진석
- 고도를 기다리며
- 이노베이션
- 부정성 편향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Ai
- 스케일의 법칙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경계의 종말
- 플랫폼의 시대
- 돈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불교
- 상대성이론
- 사회물리학
- 인공지능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안나 카레니나
- 경영혁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