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에서 요즘 가끔 이런 1 Page로 요약한 장표를 추천으로 알려 준다.꽤 괜챃은 내용들이 가끔 있다. 전략 피라미드(체계도)라는 그림이다.체계도 잘 잡았고 키워드와 핵심 정의(특히 질문 형식으로 쓴)도 잘 잡혔다. 전략을 수립하는 체계와 절차라고도 볼 수 있겠다.그림에서 '목적' 부분을 제외하고 '전략' + '실행'이라는 부분에 보면 P&G의 CEO였던 A. G. 래플리 (A.G. Lafley)와 경영학교수인 로저 마틴 (Roger L. Martin)교수가 같이 쓴 '승리의 경영전략'과 유사하다.

읽어 보지는 않은 신간이지만, 책 표지의 문장이 마음에 들었다.원서는 2024년에 나왔고 Practical Optimism: The Art, Science, and Practice of Exceptional Well-Being> 이다. 예전에 읽었던 붓다의 말씀에 "두 번째 화살을 맞지말라!"는 말고 상통한다고 봤다. (실제 내용이 그런지는 모른다.)첫 번째 화살은 살아 있는 생물이면 어쩔 수 없다. 두 번째 화살을 맞는냐 아니냐가 사람 그릇의 크기와 깊이를 결정한다는 것.. " 화살경상윳따 니까야(S36:6) p434~438> 비구들이여, 배우지 못한 범부는 육체적인 괴로움을 겪게 되면 근심하고 상심하며 슬퍼하고 가슴을 치고 울부짖고 광란한다. 결국 그는 이중으로 느낌을 겪고 있는 것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적 시선과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15개 핵심 분야에 걸쳐 ‘지금 당장 필요한 정책’을 정리했다고 하는 책에서 떠왔다. 라는 주장이다.----------------------------- 공공 데이터 주권 플랫폼이 먼저다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이전이 외산 업체에 집중되고, AI학습용 데이터 구축이 외국 플랫폼을 거치는 현실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국가와 지자체가 보유한 공공 데이터는 국민 세금으로 구축되 사회적 자산이다. 이를 국가 내부에서 완전하게 괸라하고, 국내 기술 기반으로 처리하는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데이터 주권 확립, 국가 전략이 되어야 한다디지털 주권, 데이터 주권은 기술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정체성과 정책 주체성, 경제 자립과 국민 보호를 위한 전략이다. 첫째, 정부는 국가 데이..

2025년 새로운 대통령을 뽑는 시기이다.시기가 시기인 만큼 자신이 이 나라의 새로운 갈 길을 알려 줄 수 있는 책사임을 자인하는 전문가들의 책이 쏟아지고 있다. 한국경제의 새판을 짜야 하는 시기임을 강조하는 책이 있어 훑어 보았다. 책 소개가 제시하는 현황과 이슈에는 100% 동의한다. "저성장과 양극화, 인구 절벽과 부채, 청년 절망과 고령 빈곤 등 대한민국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를 진단하고, 이를 돌파하기 위한 해법을 담고 있는 책이다. 단순한 미봉책이 아닌, 경제 전반에 걸친 근본적인 체질 개선과 ‘새판 짜기’ 전략이 중심이다.4인의 경제 전문가가 산업 혁신을 통한 미래 성장 전략, 기회의 사다리를 복원하는 공정 사회 전략, 초고령·저출산 시대를 돌파하는 사회 혁신, 글로벌 질서를 선도할 국익..

'super_writer12'라는 분의 트윗에서 본 것이다. 정보 source는 아마 아래 책을 것이다. 원래 책에는 23권이라고 한다.여튼 내가 처음 보는 책들이 있어서 후속으로 찾아 봤다. (부의 젝국 록펠러1/2권, 21세기북스) 록펠러의 일대기를 그린 책으로, 미국 비평가협회상 수상,『뉴욕 타임스』『비즈니스 위크』『타임』선정 ‘올해의 책’ 으로 선정된 책이라 한다. (국가의 부와 빈곤, 한국경제신문)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인 데이비드 S. 랜즈(David Landes)이 책...알고는 있었는데, 읽어 보지는 못했다. (워렌 버펫의 완벽투자기법 , 세종서적)앞으로도 안 읽을 것 같다. (아웃사이더, 마인드빌딩)란 제목의 국내 번역판은 절판되었고, 이라는 제목으로 재출판되었다.좋은 책이..

(기초 기계학습과 응용) 1. 신경세포의 구조 신경망은 뇌의 정보처리 방식을 시뮬레이션(모방)하려고 한 것 뇌는 거대한 수의 뉴런(신경세포)이 결합된 대규모 시스템 인간 뇌의 뉴런 수는 약 140억 개, 뉴런의 종류는 약 50종류 그 형상과 동작 원리는 공통된 특징이 있음 뇌신경계는 외계로부터 감각기(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뇌에서 정보처리를 수행한 후 효과기를 거쳐서 외계로 출력하는 고도로 정밀한 대규모 시스템 기본적으로 뉴런 혹은 신경세포가 기본 구성 소자가 되며, 그들의 다수가 모여 3차원으로 밀접하게 결합된 신경망을 형성하고 있음 뉴런은 형태적으로 세포체(soma), 수상돌기(dendrite), 축색돌기(axon)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져 있음 뉴런의 본체 부분은 핵..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념
- 인공지능
- MECE
- 형식 지정 기법
- 프레임워크
- 사회물리학
- 혁신
- 지식론
- 게티어 문제
- 돈
- 지식의 구조화
- 게티어
- 인식론
- 샤룩 칸
- 사고의 본질
- 후감각
- 상대성이론
- 생각
- 지식의 정의
- 파괴적 혁신
- 고도를 기다리며
- 불교
- Ai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최진석
- 부정성 편향
- 양자역학
- 경영혁신
- 이노베이션
- 안나 카레니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