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 자평 ] '인식론'(지식론)에 대한 최근의 자료가 필요해서, 봤다. 읽고 알고 싶은 목적은 충분히 달성했다. 원저는 로 2013년 영국에서 나왔고, 2020년에 개정3판을 번역했다고 한다. 책은 영국 고등학생 대상 IB 교육 과정인 IB 디플로마의 필수 과목이라고 한다. IB 디폴로마가 뭔지 몰랐다.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는 귝제적으로 인정받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육과정이며 각 과목이 약 7년 주기로 부분 개편 및 수정된다고 하는데 그 중 만 16세부터 만 19세까지의 학생들, 대학입시를 앞둔 학생들을 위한 2년제 프로그램이 IB Diploma Programme (DP)>라고 한다. 또는 에 대한 교과서 성격과 수준의 책을 찾아서 ..

[ 밑줄/연결 ] (8. 지식: 내가 아는지 모르는지도 알 수 없을 떄) 데카르트는 삶이 꿈이라고 의심했던 최초의 인물은 아니었다...도가 사상가인 장자가 2000년 전에 쓴 글이 있다.. 데카르트....지식을 확고한 기반 위에 올려놓기를 원했다. 그러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는 모든 걸 의심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만약 그러고도 뭔가가 살아남는다면, 즉 그가 의심할 수 없는 어떤 지식을 찾아낸다면 그 확고한 지식을 토대로 삼고 그 위에 다시 지식을 쌓아 올리면 된다고 생각했다. 데카르트의 관찰에 따르면 우리가 깨어 있는냐 꿈속에 있느냐와 무관하게 어떤 지식은 참이다.꿈속에서도 정사각형의 변은 네 개다. 그리고 우리가 잠들어 있다고 해서 2+3= 5라는 사실에 변화가 생기지는 않는다...

[ 밑줄/연결 ] 1. 진리와 사고_우리의 상식을 타당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1-1 진리는 무엇일까? 한전숙 호원대 교수 믿음과 진리를 구별해서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의 지식은 어떤 객관적인 조건을 갖추어야 진리라고 할 수 있을까? (거울처럼 투명한 감각 - 대응설) 생각이나 판단이 사실이나 대상에 들어맞을 때 진리라고 한다. 들어 맞는다 = 일치한다, 대응한다일치한다: 감각적, 구체적 존재일 경우 사용...우리 시각으로 파악된 표상 또는 관념..대응한다: 관념적, 추상적 존재일 경우 사용 판단이 사실에 일치, 대응할 때 진리라고 하는 견해를 대응설이라 한다. 우리의 인식대상이 대상을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반영한다는 주장을 '모사설'이라고 한다.우리가 마음에 가지는 표상이나 관념은 바깥 대상의 모..
- Total
- Today
- Yesterday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지식의 정의
- Ai
- 게티어 문제
- 인식론
- 지식론
- 경영혁신
- 생각
- 형식 지정 기법
- 개념
- 고도를 기다리며
- 혁신
- MECE
- 최진석
- 불교
- 양자역학
- 상대성이론
- 이노베이션
- 파괴적 혁신
- 게티어
- 안나 카레니나
- 사고의 본질
- 돈
- 사회물리학
- 인공지능
- 프레임워크
- 도파민의 배신
- 지식의 구조화
- 부정성 편향
- 샤룩 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