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철학은 개념의 학문이다' 개념은 '생각을 가공하는 재료'다. 그리니 개념이 없으면 생각을 못 하고, 생각이 없게 되는 것이다. 지혜는 지식과는 달리 실천적인 의미를 가진다. 그래서 지혜로운 자는 무릇 아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실행해야 하는 것이다. ---------------------------(제 7장 앎과 무지) 앎은 '경이'에서 시작하여 '추론'과 '기억'에서 마무리된다. 어딴 앎이라 할지라도 거기에는 언제나 무지의 부분이 있게 마련이고, 결국에는 스스로의 무지를 다시 인정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범주'로 대상을 포획하기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표 칸트의 범주표 [ 자평 ] 내가 찾고 있는 정보가 아니라 pass

[ 밑줄/연결 ] (철학의 무대) 질 들뢰즈는 "철학이란 새로운 개념을 만드는 행위"라고 했다.들뢰즈는 자기 책을 개념이 담긴 '상자'가 아니라 개념의 장치로 읽어주길 바란다고 말한다. 철학이란 행위는 낡은 개념들을 위해 새로운 무대를 만들어주는 게 아닐까. -------------------------------------------(개념) 인간은 받아들인 지각 중에서 공통적인 특성을 끄집어내어 어떤 독립적인 단위로 모은다.모든 낱말에는 이런 과정이 숨어 있다. 인간이 세계를 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을 보면 인간이 세계를 어떻게 분절하는지 알 수 있다. 개념은 많은 표상 가운데 공통적인 특징을 끄집어내어 만들어진다. 직관이 다양한 표상을 받아들이고 오성이 이것에 하나의 개념을 부여한다. 가령 직관에 따..

[ 밑줄/연결 ] (제2부 인식대상의 규정) 사과 나무 : 의식의 밖에서 객관적으로 존재 --> 과학의 탐구 대상그 나무의 사과는 맛있어 보인다 : 나의 믿음이나 지식으로 관념으로만 존재 --> 철학의 탐구 대상 세계 안의 모든 것들, 세계 전체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ㅇ 지각에 이해 직접적으로 얻어낸 단편적인 관념들ㅇ 보다 고차원적인 지식일수록 복잡한 논리적 추론의 절차를 거쳐서 구성된 간접적 지식 추론의 관념적 활동과정을 사유라고 부르며, 그러한 추론의 원칙을 논리라고 한다. (분류와 범주, classification and category) 분류는 하나의 전체를 여러 가지로 차별하여 나눔을 뜻함...다양한 것들을 개개의 그것들보다 큰 관점에서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사물들의 속성에 관한 일종의 '틀..

(인식론) 아리스토텔레스 "모든 인간은 본능적으로 알고 싶어 한다." 알고 싶어 하는 그것, 즉 "왜 그럴까"라고 묻고 답하는 것이 철학 소크라테스 '아무것도 알 수 없다'고 하며 지식의 불완정성을 설파공자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아는 것이다'라고 하여 인식의 본질을 간파장자 에서 인식에 대하여 근원적인 회의... '무엇을 안다고 할 수 있는가'라는 철학의 제 1원리의 시작.. 인식론은 '무엇을 알고 있는 것', 즉, 지식에 관한 학문참과 거짓을 판명하는 한편 생존을 위한 인식 활동지식의 원인, 본질, 의미 등을 찾기 위한 과정과 방법 지식은 그것에 대한 믿음(belief)가 있고 믿음의 정당성(justification)이 증명되는 진리(true)여야 한다.증명되지 않으..
- Total
- Today
- Yesterday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지식론
- 경영혁신
- 최진석
- 스케일의 법칙
- 파괴적 혁신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불교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샤룩 칸
- 양자역학
- 개념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상대성이론
- 이노베이션
- 안나 카레니나
- Ai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고도를 기다리며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사회물리학
- 인식론
- 부정성 편향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혁신
- 게티어 문제
- 돈
- 인공지능
- 게티어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