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범주, Category)사물과 사태를 종류별로 묶은 틀, 혹은 선험적 인식의 틀 '원더걸스'가 노래를 잘 하는지, '소녀시대'가 더 잘하는지를 논하는 상황에서....'원더걸스'는 5명이고, '소녀시대'는 9명이나 소녀시대가 더 좋다고 말하는 거....---> 범주 오류 최초로 범주를 제시한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10개의 범주를 제시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기본틀을 제공실체, 양, 성질, 관계, 장소, 시간, 위치, 상태, 능동, 수동 등 10개모든 주어는 이들 10개의, 범주 가운데 하낭 해당하는 술어를 얘기할 수 밖에 없다.노래를 잘 한다 --> 성질, 인원이 더 많다 --> 양 칸트는 큰 범주: 분량, 성질, 관계, 양상으로 나누고 각 각을 또 나눔우리에게 12..

[ 밑줄/연결 ] (2. 우리는 어떻게 무언가를 아는가?) 위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면, 우리가 확신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우리 자신의 마음 내부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무엇을 믿든지(해,달,별,집,이웃,역사,과학,타인, 심지어 내 몸의 존재에 관한 것이든 간에)), 그 믿음은 우리의 경험, 생각, 느낌과 감각인상(sense impression)에 바탕을 두고 있음 그것들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아는가? 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아는가? 우리 인상(impression)에 호소하여 우리의 인상이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것은 순환논증의 오류이다.따라서 이로부터 어떤 결론도 끌어 내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증거는 어쨌든 우리의 마음을 거쳐야만 한다. 그것은 지각의 형태일 수..

[ 밑줄/연결 ] (철학의 무대) 질 들뢰즈는 "철학이란 새로운 개념을 만드는 행위"라고 했다.들뢰즈는 자기 책을 개념이 담긴 '상자'가 아니라 개념의 장치로 읽어주길 바란다고 말한다. 철학이란 행위는 낡은 개념들을 위해 새로운 무대를 만들어주는 게 아닐까. -------------------------------------------(개념) 인간은 받아들인 지각 중에서 공통적인 특성을 끄집어내어 어떤 독립적인 단위로 모은다.모든 낱말에는 이런 과정이 숨어 있다. 인간이 세계를 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을 보면 인간이 세계를 어떻게 분절하는지 알 수 있다. 개념은 많은 표상 가운데 공통적인 특징을 끄집어내어 만들어진다. 직관이 다양한 표상을 받아들이고 오성이 이것에 하나의 개념을 부여한다. 가령 직관에 따..
- Total
- Today
- Yesterday
- Ai
- 고도를 기다리며
- 개념
- 스케일의 법칙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안나 카레니나
- 샤룩 칸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양자역학
- 돈
- 부정성 편향
- 경영혁신
- 혁신
- 최진석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사회물리학
- 불교
- 게티어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지식론
- 게티어 문제
- 상대성이론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인식론
- 인공지능
- 이노베이션
- 파괴적 혁신
- 지식의 정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