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밑줄/연결 ]
 

 

 
 
[ 자평 ] '인식론'(지식론)에 대한 최근의 자료가 필요해서, 봤다.  읽고 알고 싶은 목적은 충분히 달성했다.
 
원저는 <Decoding Theory of Knowledge for the IB Diploma>로 2013년 영국에서 나왔고, 2020년에 개정3판을 번역했다고 한다. 책은 영국 고등학생 대상 IB 교육 과정인 IB 디플로마의 필수 과목이라고 한다.
 
IB 디폴로마가 뭔지 몰랐다.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는 귝제적으로 인정받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육과정이며 각 과목이 약 7년 주기로 부분 개편 및 수정된다고 하는데 그 중  <만 16세부터 만 19세까지의 학생들, 대학입시를 앞둔 학생들을 위한 2년제 프로그램이 IB Diploma Programme (DP)>라고 한다.
 
<인식론>또는 <지식론>에 대한 교과서 성격과 수준의 책을 찾아서 구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완독하였다.  
그 중 독서의 가치가 있던 책을 국내 출판 연도 기준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전공자는 아니니 이 정도 수준에서 <지식론>에 대한 기초적인 책들로 커다란 스케치를 그린 후 세부 정리를 해 나갈 생각이다.
 
ㅇ <현대 지식론, K.레러, 한상기역, 서광사, 1996년>

 
ㅇ <지식의 성장, 이한구, 살림, 2004년>

 
ㅇ <현대 인식론, 김기현, 민음사, 2003년>

 
ㅇ <지식론 입문, 댄 오브라이언, 한상기 옮김, 서광사, 2011년>

ㅇ <지식의 탄생, 이상오, 한국문화사, 2016년>

ㅇ <진실의 조건, 오사 빅포르스, 박세연옮김, 푸른숲, 2022년>

ㅇ <지식론 : IB 디플로마를 위한 코스 가이드, 사회평론아카데미 2023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