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밑줄/연결 ]
ㅇ
연역법은 하나의 논리 라인을 따라 전개되고 마지막에 '그러므로'로 시작하는 결론에 이른다.
상위 포인트는 논리 라인의 내용을 요약하고 하위에 있는 최종 포인트에 크게 의존한다.
귀납법은 동일한 종류의 사상이나 생각을 그룹으로 묶어서 그룹 내의 사실이나 생각의 유사성에 대해 의견을 기술한다.
연역법의 각 포인트는 서로 관련된 반면에, 귀납법의 각 포인트는 서로 무관하다.
(연역적 추론)
어떤 구조인가?
일반적으로 연역적 추론은 대전제와 소전제로부터 결론을 이끌어내는 삼단논법의 형태로 전개된다.
연역적 추론은 다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ㅇ 먼저 세상에 실제로 존재하는 상황을 기술한다.
ㅇ 같은 시간에 세상에 실제로 존재하는 연관 상황을 한 가지 더 기술한다. 두 번째 기술은 첫 번째 기술의 주부나 술부 가운에 한 가지를 언급하여 첫 번째 기술과 관련성을 갖는다.
ㅇ 동시에 세상에 존재하는 위의 두 가지 상황이 의미하는 바를 기술한다.
상위 포인트는 하위의 최종 포인트를 반영하고 하위 그룹의 생각 전체를 요약한다.
(귀납적 추론)
적절하지 않은 귀납 추론의 예시)
(도식화 사례)
[ 자평 ] 그림만 봐도 내용이 이해가 되는....논리적 생각과 표현에 대한 정석...
워낙 유명한 책이고, 나는 2004년 판을 가지고 있는데. 2019년 개정판이 나왔다고 하여 구경해 봄
'읽은 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두력(재정리 위한 재독) by 호소야 이사오(細谷 功) (0) | 2025.04.12 |
---|---|
지식론 : IB 디플로마를 위한 코스 가이드 by 웬디 헤이돈 (Wendy Heydorn) 외 (0) | 2025.04.11 |
그림으로 생각하면 심플해진다 by 사쿠라다 준(櫻田潤) (0) | 2025.04.09 |
철학, 개념 by 박 준영 (0) | 2025.04.09 |
철학 개념어 사전 by 채석용 (0) | 2025.04.08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개념
- 이노베이션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스케일의 법칙
- 부정성 편향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불교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인공지능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안나 카레니나
- 사회물리학
- 양자역학
- 상대성이론
- Ai
- 인식론
- 경영혁신
- 샤룩 칸
- 돈
- 게티어 문제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최진석
- 지식론
- 파괴적 혁신
- 지식의 정의
- 혁신
- 게티어
- 고도를 기다리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