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bizbuddha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bizbuddha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395) N
    •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466)
    • 읽은 책들 (697) N
    • 잡생각 (103)
    • 평행우주 속의 경영 (352)
      • 구조 만들기 (40)
      • 양적 성장 (73)
      • 임계점과 티핑 포인트 (10)
      • 질적 변화 (200)
      • 죽음의 연명 (28)
    • 한줄 베끼기 (248)
    • 내 인생의 단어 (58)
      • 탄생 ~10대 (0)
      • 10대~ 30대 (9)
      • 30대 ~ 50대 (17)
      • 50대 ~ (31)
    • 500년을 기획하는 사람 (1)
    • 인간의 순수한 증명 (0)
    • 지능 (181) N
      • 인간지능 (59)
      • 인공지능 (122) N
    • 쉽게 살기 위한 공식 찾기 (21)
      • 방정식 (14)
      • 알고리즘 (4)
      • 좋은 방정식과 알고리즘 (3)
    • IT (97)
    • 과학 (63)
    • 애비밴드 (1)
    • AI 프롬프트 (62)
  • 방명록

한줄 베끼기 (248)
인공지능 모델링

기존의 컴퓨터 기술들이 연역법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인공 지능 기술은 귀납법을 사용하므로....  (컴퓨터와 인간의 비교) 생물학적 뉴런과 인공뉴런  간의 유사성?유사성으로 신경만 모델링을 이해하는 것이 인공지능 모델링 이해의 시작이다. 동작하는 기본 단위에서 차이가 1만배 이상이나 동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를 비교한다면 그 단위는 1억배 이상으로 차이가 난다. 컴퓨터의 기본 연산 속도는 분당 100억 번 동작하지만 인간의 뇌에서 시냅스는 1초에 1천 번보다 적게 동작한다. 속도만을 따지자면 인간의 뇌가 열등하다.  정밀도를 살펴보면 32 비트 프로세서의 컴퓨터의 경우 42억 분의 1이며 인간의 뇌는 1백 분의 1로 낮은 정밀도를 가진다.  (인공신경망 모델링) 인공신경망은 생물의 신경망을 인..

한줄 베끼기 2025. 3. 17. 13:38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by 나딘 스테어(Nadine Stair)

(영어 원문)Nadine Stair - If I Had My Time Over Again 나딘 스테어(Nadine Stair)

한줄 베끼기 2025. 2. 14. 11:15
그냥 살자

"아무리 많이 자책하더라도 과거는 바꿀 수 없고아무리 많이 걱정하더라도 미래는 바꿀 수 없습니다." - 우마르 이븐 알카타브(Umar ibn al-Khattāb, 586 ~ 644년) -을 처음으로 편집한 이슬람교의 제2대 정통 칼리파(재위 634년 ~ 644년)라 한다.(칼리파(아랍어) 또는 칼리프(영어)는 ‘뒤따르는 자’라는 뜻의 아랍어로 무함마드가 죽은 후 움마(이슬람 공동체)·이슬람 국가의 지도자·최고 종교 권위자의 칭호이다. 가톨릭의 최고 지위인 교황과 유사하다)

한줄 베끼기 2025. 2. 14. 11:05
생각과 떠듦의 함수

"인간은 생각하는 것이 적으면그만큼 더 떠뜬다."  - 몽테스키외 -

한줄 베끼기 2025. 2. 14. 10:56
사람과 물건...

"물건을 이용하고, 사람을 사랑하라반대로 하지 마라" - 존 파웰 또는 존 포웰 - 존 포웰(John Joseph Powell, 1925 ~ 2009)이라는 예수회 사제이자 로욜라 대학 교수셨다고 한다.국내 몇 권의 번역서가 있다.

한줄 베끼기 2025. 2. 14. 10:54
기업 프로덕션 출시 단계의 달라지는 모습

SW중심의 IT 프로덕션에 대한 내용인데, 어느 책인지는 기억이 없다.

한줄 베끼기 2025. 2. 14. 10:44
갈래짓기

김명석교수의 책을 참 좋아한다.거의 모든 저서를 읽었고, 수시로 가끔 들춰 본다. 참 아기자기 하게 잘 썼다.  에 관하여 찾다가 아래 책에서 라는 페이지를 봤다.2024년 ~ 2025년 대한민국의 편가르기가 심해졌고, 편이 갈린 진영간에 대화나 협업이 불가능한 상태로 치닫는 것 아닌가 싶다.  내가 좋아하는 이런 류의 주장은 이제 먹힐 수 없는 세상이 되는 것 같다. 적어도 진영이 다른 사람들 간에는..

한줄 베끼기 2025. 2. 11. 11:05
삶은 쌓이지 않는다.

벽돌이 쌓인다고 집이 되지 않듯이시간이 쌓인다고 삶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 에리스 로럴드 미리에리 - SNS에 떠도는 유명한 명언인데....아마 이 책에서 나온 글인 것 같은데...저 '에리스 로럴드 미리에리'란 분이 도대체 누군지 알 수가 없다.

한줄 베끼기 2024. 12. 27. 15:28
말을 줄이자... 말을...

아마 묵검향의 만화 어딘가에서 따온 것 같다.(전)직장 생활에서 관리자를 할 때 나보다 직장생활을 오래 한 부인께서 늘 조언하셨다 "우리 팀장님(부장님,상무님)은 너무 말이 많어!" 라고 불만을 제기하는 사람은 봤어도"우리 팀장님(부장님,상무님)은 너무 말이 적어!" 라고 불만을 제기하는 사람은 못 봤다.  50대 중년 남자의 농담을 진짜 농담이라고 듣고 웃는 20-30대는 없고,50대 중년 남자의 디지털 경험을 성공 경험이나 배울 지식이라고 인정하는 20-30대 없으니. 최소한 꼭 할 말은 하고 침묵하라....

한줄 베끼기 2024. 12. 2. 11:38
실행이 안되는 이유...

어느 책에서 본 건지는 모르겠지만, 다시 보니 꽤 맞는 것 같다.  성공의 패턴은 다양하며 공통점이나 재현성이 없다. 내 경험에 따르면 많이 보이는 실패의 패턴은 다음 세 가지 경우다. 첫째, 사업을 할 때 근본적으로 생각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는 경우 둘째, 사업을 입안하는 단계에서 실패하는 경우특히 이미 지뢰를 밟고 잘못된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아무리 실행해도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다. 셋째, 계획은 좋았지만 실행 단계에서 실패하는 경우

한줄 베끼기 2024. 12. 2. 11:32
이전 1 2 3 4 5 6 ··· 25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고 있다는 말의 맹점
  • 1,000권의 책을 우선 정리해 보자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샤룩 칸
  • 혁신
  • 후감각
  • 사고의 본질
  • 지식의 구조화
  • 최진석
  • 인식론
  • 고도를 기다리며
  • 지식의 정의
  • 파괴적 혁신
  • 지식론
  • 게티어
  • 게티어 문제
  • 상대성이론
  • 양자역학
  • 생각
  • 불교
  • 인공지능
  • 이노베이션
  • 돈
  • 부정성 편향
  • 사회물리학
  • MECE
  • Ai
  • 형식 지정 기법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프레임워크
  • 개념
  • 안나 카레니나
  • 경영혁신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