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밑줄/연결 ]
경영이란,
임직원들을 걱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경쟁력이란,
돈 벌어 이익을 내는 능력입니다.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익의 실현을 통한 생존과 성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영자와 리더의 내공은 독서와 고민과 배려, 이 세가지의 폭과 넓이에서 우러납니다.
미래 비전, 즉 회사의 방향과 목표를 통해 직원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지 못한다면 경영자로서 최대의 실수를 한 것입니다.
이것은 경영자 자신의 꿈과 희망이 없기 때문이거나, 그것이 직원들의 그것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리더를 향한 신뢰가 무너지는 9가지 증상
- 만남 회피, 엉뚱한 말, Big Picture 없음, 사소함에 빠짐, 화
- 불공정한 인사, 속 보이는 처리, 살 궁리, 회삿돈 유용
사소한 것을 너무 정열적으로(?) 관리하면 신뢰가 나빠집니다.
----> micromanagent는 100% 팀이나 조직을 죽인다.
----> 대표가 청소를 하는 회사가 흥한다고 하던데, 그 분은 대표만이 할 일도 잘하면서 청소도 했을 것이다.
(임원이 표시 내거나 말하면 안되는 것)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따지지 않습니다.
권력자의 손가락 방향대로 알아서 움직입니다.
(1) 당신이 좋아하는 것을 널리 알리지 마십시오.
(2) "당신이 그랬잖아? 누가 책임이야?" 추긍하지 마십시오.
(3) 상대방이 원치 않는 충고나 조언을 하지 마십시오.
(4) 했던 말 또 하고, 또 하기를 멈추십시오.
(5) "이제 늙어서 그래. 내 나이 돼 봐라." 이러지 마십시오.
(6) "힘들다", "걱정이다", "정신없다"라고 하지 마십시오.
(7) "내용을 정확히, 자세히, 잘 모르지만"이라고 하지 마십시오.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이 말을 굳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 잘 듣거나, 잘 보고 천천히 당신의 의견을 내도 되고, 물어보면 됩니다.
(8) 말을 하다 마는 것을 하지 마십시오.
(9) 단정적인 인물평을 흘리지 마십시오.
임원 본인이 관찰하고 판단하여 "생각"으로 가진 것과 누구에게 "발설"하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당신이 그에 대해서 한 말은 반드시 그에게 전달됩니다.
(10) 너무 자랑하지 마십시오.
(11) 결재를 할 때 묻지 않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12) 담당이 할 일을 임원인 자기가 하면서, 그걸 자랑하지 마십시오.
(13) 지각과 행방불명은 안 됩니다.
(14) 비매너 곤란합니다.
"Manners, Maketh, Man" (영화 킹스맨)
(15) 회의에서 중간에 나가기, 딴소리하기, 딴 일 보기는 안 됩니다.
임원 회의의
1순위는 고객 불만족과 품질 문제입니다.
2순위는 고객과 시장 동향의 점검입니다.
3순위는 제품 개발 일정의 확인입니다.
4순위는 자금 운용입니다.
5순위는 혁신입니다.
2:6:2의 법칙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열심히 행동하는 직원들 : 긍정 20%
양쪽의 중간에서 적당히 관망하는 직원들 : 관망(눈치 보기) 60%
매사에 부정적인 태도로 자기를 방어하거나, 심지어 드러내 놓고 방해하는 직원들 : 관망20%
임원과 부장이 필요한 이유는 세 가지
(1) 경영자들의 분신이 되어야 하고
(2) 소통과 결정을 제대로 신속하게 하여야 하고
(3) 직원들에게 매력적인 롤 모델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임원이나 부장이 가져야 할 네가지 능력 : 체력, 판단력, 추진력, 증진력
증진력은 쌓아 올리는 힘.
하나에 하나를 더하여 더 좋은 하나를 만들고, 계속해서 개선과 성과를 쌓아 올려 큰 그림을 색칠해 나가듯 탁월한 작품을 만들어 내는 힘
상사를 보좌하는 입장에서는 '될 사람'을 보자면
'따르되, 알고 따르는 사람'이 기본이고,
'따르되, 자기 생각이 있는 사람'이 중간이고,
'뛰어 넘으나, 표 내지 않는 사람'이 가장 좋습니다.
실력과 운이 대충 반반입니다.
당신이 100%를 노력해도, 그건 50%밖에 안 됩니다.
비전은 방향과 목표
전략은 선택과 집중, 그리고 '차별화'
(좋은 전략은)
첫째, '무엇을 왜 해야 하는가'에 대해 분명해야 합니다.
둘째, '과감한 목표'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셋째, 임직원들은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입니다.
넷째, 전략을 이뤄낼 수 있는 '실행과 운용체계가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Q, D, C 중에서 Q, 즉 '품질'을 먼저 잡아야 합니다.
진짜 할 것면,
신사업만 집중하는 최고의 팀을 만드십시오.
혁신을 위해 부여되는 과제는 세 가지입니다.
ㅇ 지금보다 더해야 하는 것
ㅇ 지금부터는 하지 말아야 하는 것
ㅇ 지금과 완전히 다른 것을 한계에 이르기까지 달성해야 합니다.
리더가 하면 안 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고통과 분노의 전가입니다.
열정 때문이 아닙니다.
리더는 절박함으로 독해지는 것입니다.
[ 자평 ] 좋은 내용이다. 그래서 좋은 내용만이 꽉 차이는 책은 경영학책이라기보다 윤리학책이 되는 것이다.
좋은 것보다 위대한 것은 펼치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는 것이다.
700페이지가 넘는 경제경제분야 책치고는 상당히 두꺼운 편이다.
아마 저자의 돈벌이 삶에서 겪고 얻은 경험과 지식을 총정리하는 느낌의 책이지 않을까 싶다.
너무 많은 규칙은 지킬수가 없다.
신이 인간에게 내린 규칙도 10개 밖에 안된다.
붓다가 인간에게 가르쳐 준 바른 가르침도 8개 밖에 안된다.
두 자리 숫자가 넘어가는 것을 어떻게 다 알고 지키라는 것인가....
따르고 지켜야 할 것은 세상에 많다. 그런 것들이 꽤 많이 언급될 수록 그것은 경영소설이 된다.
'평행우주 속의 경영 > 질적 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스를 해고하라 by 김인수 (0) | 2023.02.26 |
---|---|
탁월한 리더는 무엇이 다른가 by 김성준 (0) | 2023.02.19 |
신뢰를 팔아라 by 샌드라 서처 (0) | 2023.02.04 |
스웨덴식 전략적 사고 by 레나르트 위트베이 (0) | 2023.01.29 |
양자 경제 by 앤더스 인셋 (0) | 2023.01.2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공지능
- 개념
- 사회물리학
- 지식론
- 경영혁신
- 스케일의 법칙
- 돈
- 샤룩 칸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상대성이론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인식론
- 고도를 기다리며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최진석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게티어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안나 카레니나
- 부정성 편향
- Ai
- 파괴적 혁신
- 불교
- 게티어 문제
- 혁신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양자역학
- 이노베이션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