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전략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야말로 전정한 전략가라고할 수 있다. 전략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자신의 관점을 바꾸어, 지금까지와는 진정으로 다른 관점에서 현상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는 끝없는 학습의 과정이고, 현재 나의 세계관이 틀릴 수도 있고, 쓸모없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는 일이다. 스웨덴의 독특한 삶의 태도인 '라곰'(Lagom)....라곰은 너무 과하지도 않고 너무 부족하지도 않은 알맞은 상태를 말한다. 변화라는 것은 단순히 한 가지 기술을 적용하여 갑자기 무엇을 만들어 내는 일이 아니라 사람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그들 각자의 태도와 관점을 바꾸는 것을 도와주는 과정이다. 얀테의 법칙(Tha law of Jante): 자의식의 과잉되어 자신을 지나치게 중요하게 여기거나 자랑하지 ..

[ 밑줄/연결 ] 두 가지 난제 우리 시대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곧 누군가가 와서(또는 새로운 기술이) 우리를 구원할 거라는 믿음이다. ---> 우리 시대가 아니라 인류의 문제였다는 관점이 더 맞는 것 같다. 10년 안에 아프리카의 광활한 지역이 사람이 살 수 없는 사막이 될 것이다. 10년 안에 인간보다 똑똑한 기계가 일상을 지배할 것이다. 서구 산업국가의 '보조 작업대' 역할을 하면서 약간의 부를 얻었던 아시아 저임금 국가들에게 이는 특히 재앙이 될 것이다. 기술의 진보와 지금의 자본주의는 환상의 짝꿍이 아니다. 기술이 파괴적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은 많은 부분 이익 극대화 때문이지, 기술 자체의 문제가 아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이 기술 진보의 원동력이라는 미신이 널리 퍼져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 밑줄/연결 ] OKR은 목표(Objective)와 핵심결과(Key Results)의 약자로서, 기업과 팀, 혹은 개인이 협력해 목표를 세우기 위한 규약을 의미한다. 핵심결과는 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효과적으로 마련된 핵심결과는 구체적인 일정을 기반으로 삼고, 공격적이면서 동시에 현실적이다. 무엇보다도 핵심결과는 측정과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50%가 넘는 수백만 명은 다른 곳에서 연봉 20% 인상을 제안받으면 지금 다니는 직장을 당장 그만두겠다고 답했다. 근로자의 몰입도를 "어떻게 끌어올릴 수 있을까?" 2년에 걸치 딜로이트 연구 결과는 "업무를 분명하게 정의하고, 내용을 문서로 작성하고, 목표를 자유롭게 공유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

[ 밑줄/연결 ] 기업 경영진의 85%가 자사에서 적자를 기록하는 원인이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다고 진단한다. 이러한 현상이 바로 성장의 역설 때문이다. (기업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위기) (1) 과부하(overload) 위기 ㅇ 사업 규모를 급속히 확장 ㅇ 내부적으로는 기능장애가 발생하고 외부적으로는 추진력이 저하됨을 느끼게 되는 위기 (2) 속도 저하(stall-out) 위기 ㅇ 급격한 성장으로 조직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한때 조직의 핵심이자 에너지의 원천이던 기업의 사명이 흐릿해지면서 나타나는 위기 (3) 자유 낙하(free fail) 위기 ㅇ 조직의 존립에 가장 큰 위험을 가하는 위기 ㅇ 핵심 시장에서 성장을 완전히 멈추며, 성공적인 사업 모델이 돌연 경쟁력을 상실 지속 성장을 달성..

[ 밑줄/연결 ] 업무를 편리하게 만드는 첨단기기들이 즐비한 '정보화 시대'가 오히려 내 업무에 온전히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 '방해의 시대'가 된 것처럼 느껴져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터치포인트의 3요소 : 이 세 가지 요소가 만날 때 터치포인트가 발생한다. (1) 이슈 ㅇ 결정하고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들 ㅇ 터치포인트의 순간에 거론되는 사안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파악하는 것이야말로 중요한 문제이다. ㅇ '나의 이슈' 인지, '다른 사람의 이슈'인지 혹은 '공통의 이슈'인지를 말이다. ㅇ 각 이슈에 대해서는 단호하되 사람들은 따뜻하게 대하라. (2) 사람들 ㅇ 이슈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 ㅇ 따뜻한 마음을 품는다는 것은 단지 직원 개개인을 인격적으로 대하고 존중하라는 의미일 뿐이다. (3) 리더 ㅇ..

[ 밑줄/연결 ] 좋은 일자리 전략은 분명 구체적이다. 보통의 수준보다 인력에 휠씬 더 많이 투자하는 방법과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결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에는 (1) 회사가 제공할 제품과 서비스의 양 (2) 업무 표준화와 권한 부여 간의 균형 (3) 직원 간의 업무 할당 (4) 직원의 규모와 지속적인 개선에 대한 직원의 참여가 포함된다. (좋은 일자리 전략) 모범 소매유통업체는 기존 업계 관행과 다른 네 가지 운영 옵션을 적용하여 직원과 고객, 투자자에게 동시에 가치를 제공한다. 그 운영 옵션은 다음과 같다. 모범 소매유통업체는 고객에게 경쟁업체보다 적게 제공한다. 제품 종류를 적게 제공하는 것과 판촉 활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비용을 크게 줄이고 직원 생산성을 높이며 직원을 ..

[ 밑줄/연결 ] 성공한 리더는 새로운 사고방식을 수용해야 한다. 리더는 상품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혁신할 뿐 아니라 패러다임, 사고방식과 사고 모형, 그리고 각자의 경험관까지 중심해 놓고 혁신해야 한다. ----> 맞는 말이지만 큰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 성공한 리더는 이랬을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그 리더가 늘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맥락 지능은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이... 다음 세 가지 과정이 필요하다. (1) 상황 및 환경의 변화 범위를 인지한다. (2) 특정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 중시되는지 파악한다. (3) 상황이 바뀔 때 적절한 시점에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해 영향력을 행사한다. (세 가지 사고 모형) (1) 복..

[ 밑줄/연결 ] 규모(Scale)과 민첩성(Agility)... 기업이 성장하고 생존하는데 필요한 2가지 주요 조건 스타트업처럼 민첩하게 사고하며서 중견 기업처럼 성장(시장점유율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매출을 확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시스템 사고는 사물들 자체보다는 사물들 간의 상호 관계를, 정적인 snapshot보다는 변화의 패턴들을 인식하는 틀이다. 성장 전략을 수월하게 추진하기 위해 사업을 단순화, 표준화, 통합하는 것이었다. 나는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을 뿐이다. ---> 내가 본 모든 임원들이 이 부분에 약한 것 같다. 뭘 하자고, 해야 한다고 만 하지, 어떻게 하자고, 해야 한다고 하는 임원은 별로 못봤다. 사업상의 제반 요소들이 성장 전략..

[ 밑줄/연결 ] 비즈니스에서 팽배한 '인간 행동 이해 모형'은 인간을 예측 가능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라고 가정한다. 정체가 분명한 신호를 가지고 최적화된 선택을 할 수 있는 존재로 보는 것이다. 현재 비즈니스 문화의 정수 안에는 인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뇌, 그리고 거기서 벌어지는 생각 프로세스를 분석해야 한다는 '가설'이 뿌리 내리고 있다. ----> 2023년 1월에도 이런 가설에 기반한 책은 계속 나오고 있다. "왜 이렇게 됐는지 도무지 모르겠어." 이것이 우리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험, 선택, 결정의 실상이다. 회사나 기관 이름만 가린다면, 이게 어디의 전략 분석서인지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동어반복 일색이었다. ----> 2023년도 마찬가지 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 밑줄/연결 ] 혁신적인 고객 가치를 만들 수 없을 때 가장 범하기 쉬운 실수가 다른 누군가 만들어 성공한 가치 제안을 모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업이 늘면 늘수록 세상에는 고만고만한 비즈니스만 횡행하고 독자성이 없어진다. 결국 가격 경쟁이 시작되고 회사의 이익은 감소하고 만다. ----> 이런 주장에 가장 깊고 좋았던 책은 (어떤 연구실적이 있길래 하버드 경영대학원 역사상 첫 한국인 종신교수가 되었는지 정말 궁금한) 문영미교수의 책이었다. 비즈니스를 만드는 요소 : 고객 가치 + 이익 + 프로세스 비즈니스에 필요한 의문 : Who + What + How 비즈니스 모델 변화를 생각할 때 반드시 필요한 아홉 가지 질문을 법칙으로 정리한 것이며 중요한 결정(의사결정 항목)의 결정체 [ 자평 ] 낡은 것은 ..
- Total
- Today
- Yesterday
- 돈
- 파괴적 혁신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이노베이션
- 경영혁신
- 최진석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상대성이론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불교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스케일의 법칙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경계의 종말
- 안나 카레니나
- 인공지능
- 부정성 편향
- Ai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고도를 기다리며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혁신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사회물리학
- 플랫폼의 시대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양자역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