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1장: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 질문. Question, Question and Question) (광고에서, 인생에서, 세상에서 제일 중요한 딱 세가지) 첫 번째는 '질문'입니다. 질문은 문제이고 문제를 뒤집으면 목표가 됩니다. 그래서 '질문'이 제일 중요합니다. 두 번째는 '질문'입니다. 우리는 프레임 안에서 살 수 밖에 없는 존재입니다. 질문은 가장 쉽게 프레임을 만듭니다. 그래서 '질문'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면 가장 확실하게 코끼리를 생각하게 할 수 있을까요? ㅇ 혹시, 코끼리를 직접 타 본 적이 있으세요? ㅇ 전 세계에 코끼리 숫자가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세요? ㅇ 보통 코끼리 한 마리는 무게가 얼마나 될까요? "나랑 결혼해 줄래?" ---> "(나랑 결혼하면) 아파트..

[ 밑줄/연결 ] 레오나르도 다빈차가 "완벽한 상태는 더는 아무것도 뺄 게 없는 상태"라고 정의를 내린 지 500년이 지났다. 14세기의 신학자 윌리엄 오컴이 "적게 들이고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일을 많은 것을 들여서 하는 것은 쓸데없는 짓이다." 라고 지적한 지는 700년이나 되었고, 노자가 "지식을 얻으려면 날마다 하나씩 보태고, 지혜를 얻으려면 날마나 하나씩 빼라"라고 가르친 지는 무려 5,000년이 넘었다. (빼기의 잠재력을 최대한 이용하는 법) (뒤집어라) ㅇ 더 많은 것을 추구하기 전에 더 적으 것을 추구하라 ㅇ 빼기를 먼저 한 다음에 더하기를 하라. ㅇ '빼기' --> '깨끗하게 비우기', '덜어내기','드러내기' 같은 표현을 사용해라. 그리고 전환을 시도해라. (확장하라) (증류하라) ㅇ..

[ 밑줄/연결 ] 나는 프로 경영자를 이렇게 정의한다. 1. 어떤 상황에 놓인 회사에 가더라도 단기간에 '문제의 본질'을 발견할 수 있는 사람 2. 그것을 간부나 사원들에게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 3. 이를 통해 간부나 사원의 마음과 행동을 '하나로 묶어' 조직의 전진을 꾀할 수 있는 사람 4. 그리고 당연히 최후에 '성과'를 낼 수 있는 사람 (회사 개조 1단계: 조직의 강점과 약점을 진단한다) ㅇ "OOO사의 사업 특징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회사 개조 2단계: 사업 조직에 '전략'을 불어넣는다) (회사 개조 3단계: 전략의 오판을 낳는 시스템을 바로잡는다) (회사 개조 4단계: '글로벌 전략'으로 승부를 건다) ㅇ (회사 개조 5단계: 생산의 주도권을 확보한다) ㅇ (회사 개조 6단계..

[ 밑줄/연결 ] (기업분할 : 인적분할 vs 물적분할) (기업은 어떻게 분할하는가?) ㅇ 회사의 사업부를 분리해서 자본과 부채를 나눈 후 기업을 신설한다. ㅇ 물적분할은 신설된 법인의 주식을 모회사가 전부 소유하는 형태 ㅇ 인적불할은 존속회사 기존 주주들이 소유 비율대로 신설법인 주식을 갖는 것 ㅇ 기업분할을 하는 이유는 사업구조, 경영구조, 지배구조를 개편하기 위한 목적 때문이다. ㅇ 사업부를 나눠서 몸집을 가볍게 하고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경영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ㅇ 부실사업부를 분할해서 매각하면 사업구조가 건실화될 수도 있으며, 물적분할로 지배구조를 재편해서 경영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 ㅇ 대체적으로 사업부 내에서 부실하거나 이익률이 낮은 부분을 정리하는 차원으로 진행되는 ..

[ 밑줄/연결 ] 문제는 '어떤' 문제에 '먼저' 초점을 맞춰야 할지 잘 몰라서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일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당신이 지금 당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뭐죠?" (1단계:매출 Sales) ㅇ 가장 기본적 단계로, 기업은 무엇보다 '현금 창출'부터 집중해야 한다. (2단계:수익 Profit) ㅇ 기업이 재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확장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3단계:체계 Order) ㅇ '효율성 확보'가 중심이고, 경영이 계획대로 정확히 진행되는지 확인한다. ㅇ 궁극적인 목표는 경영자인 '당신'이 없어도 성장이 가능한 것이다. (4단계:영향력 Impact) ㅇ '근본적 변화'에 초점을 둔다. ㅇ 고객경험 개선과 관련되며 사원, 타사, 커뮤니티와 기업이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다룬다. (5단계..

[ 밑줄/연결 ] 아마존의 신제품과 서비스의 50% 실패한다고 한다. 왜일까? 무엇이 성공할지 확신할 수 없으므로 끊임없이 새로운 상품을 내놓기 때문이다. 빠른 시간에 적당한 완성도의 신제품을 선보인 후 시장 반응이 좋으면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아니면 거둬들이는 방식이다.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인터넷 기업의 의사결정 시간은 얼마나 걸릴까? CEO까지 올라갔다가 실무진까지 내려와서 액션을 취하는 데 걸리는 기간이 3일 정도라고 한다. 이렇게 빠르니까 문제가 생길 경우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통상 국내 대기업의 의사결정 시간은 어떻게 될까? CEO까지 올라갔다 다시 실무진으로 내려오는 데 보통 5주가 걸린다. 베조스는 의사결정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한다. 1종 결정과 2종 결정이다. 1종 결정..

[ 밑줄/연결 ] 크럭스(Crux)는 세 가지 전략 기술을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결과를 의미한다. (1) 어떤 이슈의 경중을 판단하고 (2) 이들 이슈를 해결하는 데 어떤 어려움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것 (3) 자원의 분산을 방지하고, 한 번에 해결하려는 조급함 대신 집중력을 발휘하는 것 전략은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과 행동의 혼합을 말한다. 크럭스란 복잡하게 얽힌 여러 이슈 중에서 매우 중요하면서도 해결 가능한 구간을 말한다.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믿고 당신의 전략을 신뢰하려면 직면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논리와 주장 그리고 증거가 있어야 한다. 아무도 말하지 않는 전략업계의 더러운 비밀은 전략수립에 관한 어떠한 이론도 없다는 점이다. (문제의 진단) 전략수립의 시작은 ..

[ 밑줄/연결 ] 'Pilllar'라고 부르는 네 가지 측정지표는 다음과 같다. 1. 차별성 : 제안 및 목표와 더불어 브랜드가 가진 독특한 의미 2. 적합성 :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얼마나 적합한가 3. 선호도 : 소비자가 브랜드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4. 지식: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개인적인 이해 소니의 히데유키 후루미(Hideyuki Furumi) 소니 모바일커뮤니케이션의 글로벌 판매 마케팅 수석 부사장... "우리는 100개나 되는 상품에 집중할 수 없다. 하지만 의미 있는 차별성을 띤 소수의 상품에 집중하는 것은 가능하다.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에서 경쟁하는 것이다. 우리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은 사업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해졌다는 것이다. 특히 내부적으로도 그렇게 됐다. 직원들은 자신감을 잃어..

[ 밑줄/연결 ] (개혁 추진자와 저항자의 유형) (개혁 선도자(이노베이터) (과격 개혁형) ㅇ 구체계를 과격하게 부정하고 개혁의 논리로 앞서 나가는 사람 ㅇ 단 몇 명 뿐인 변종 ㅇ 사상적 선구자지만 때때로 너무 돌출되어 조직의 지지를 받지 못함 ㅇ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만들어내는 실무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음 ㅇ 인재지만 방치하면 위험함. ㅇ 이런 유형이 개혁 리더가 되면 중간에 개혁활동이 통일성을 잃어버리기 쉬움 (실천 추진형) ㅇ 강한 리스크 지향성, 균형감각, 논리적/실무적으록 구체화하며서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사람 ㅇ 여러 압박에 강하고 결정적 순간에는 기존 조직을 잘라낼 수 있는 용기가 있음 ㅇ 강력한 개혁 리더십 체계 수용 필요 = 개혁 리더 (적극 행동형) ㅇ 개혁 리더를 행동으로 지원 ..

[ 밑줄/연결 ] 번 아웃은 다음 세 가지 특징이 있다. ㅇ 에너지 고갈과 소진 ㅇ 직장이나 업무와 관련된 거부감 또는 부정적인 생각의 증가, 냉소주의 ㅇ 업무 효능감의 감소 번아웃 전문가 크리스티나 매슬랙(Christina Maslach)과 수전 잭슨(Susan Jackson), 마이클 라이터(Michael Letter)에 따르면 번아웃의 근본 원인은 여섯 가지로 다음과 같다. 이는 대다수 관련 학술 연구의 기반이 된다. (1) 과도한 업무량 (2) 통제력 성실 (3) 보상 또는 인정 부족 (4) 빈약한 인간관계 (5) 공정성 결여 (6) 가치관 불일치 좋은 기업 문화는 올바르게 실행된 조리법과 같다. 적절한 재료(직원)로 적절한 지시(정책)을 따라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 사람(경영진)이 필요하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인공지능
- 돈
- 플랫폼의 시대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불교
- 양자역학
- 혁신
- 이노베이션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스케일의 법칙
- 경계의 종말
- 경영혁신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고도를 기다리며
- Ai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파괴적 혁신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안나 카레니나
- 최진석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사회물리학
- 상대성이론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부정성 편향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