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장A와 팀원B가 있다고 치자.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A가 말을 하면 B는 적당한 추임새를 넣는다. B가 하는 보고나 발표라면 B가 말을 하고 A는 적당한 추임새를 넣는다. 이상적인 대화라면 총 10번의 정보교환 중 A와 B의 비중은 50:50이다. 현실적으로는 8:2 ~ 6:4 정도도 괜찮은 비율이다. 어떠한 경우이든 A만 말을 하고 B는 듣는 시간이 한계점을 넘어 짜증이 나고 힘든 시간이 된 이후에 A의 말은 망언이다. 말의 목적과 임계 시간을 넘은 말은 폭력이고 망언이다. 지시이란 A의 10마디 말에 B의 2-3번의 적당한 추임새로 구성된다. 그 추임새는 A의 말에 대한 확인/재반복/되새김질이어야 한다. 이것을 보통 소통이라고 한다. (어느 신문 칼럼)
智將, 德將, 勇將 어느 고지를 점령하는 목표가 있다고 하자. 지장은 지도를 펴놓고 상세한 전략과 방법, 각종 무공 초식과 무기를 나열한다. 정말 그의 해박함에 다들 혀를 내 두른다. 기립박수와 갈채가 나왔다. 범증이나 제갈공명도 이 정도로 해박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끝이다. 회의 참석한 모든 장수들은 막사로 돌아가서 잠을 잤다. 그의 요설은 인간이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아니 정확히 뭘 해야 하는지, 뭐부터 해야 하는지 아무도 알 지 못한다. 다만 감동과 탄복의 여운이 남았을 뿐이다. 그렇게 지장이 이끌던 군대는 자다가 몰살했다. 오늘 회의는 새로 온 용장이 이끈다고 했다. 그는 아침에 눈을 뜨자 마자 적진을 향해 돌진했다. 다른 병사도 필..
Follower가 보는 리더십 자신의 배나 비행기로 한번도 태평양을 건너 보지 못한 선장이 있다. 다만 그는 베게 만한 매뉴얼을 달달 외우는 천재다. 자다가도 외우고 어느 페이지 몇 번째 구절도 외운다. 여러분은 그가 모는 배 혹은 비행기에 기꺼이 여러분의 목숨을 맡기겠는가? Front line이 보는 기획부서 실행을 전제로 만든 계획이 실행을 통하지 않고 증명된다는 것을 오만이다. 고객과 경쟁사는 부처님 손바닥 안의 손오공이 아니다. 기획자는 부처도 아니고…오만의 극한
일터와 일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변화하는 시스템 안에 있는 것들, 변화의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것들은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다. 나의 일, 일터와 조직이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이 주제에 대하여 2020년을 기준으로 10년 쯔음을 끝어서... 2000년 즈음, 2010년 즈음 읽었던 책들을 다시 펼쳤다. 많은 고수들이 어떻게 예견을 했고 어떠한 일들일 실제 벌어졌는가?를 살펴 보았다. 또한 2019년 현재 고수들이 앞으로 10년, 20년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같이 보고자 한다. 2003년 MIT슬론경영대학원 설립 50주년 기념 도서인 ‘MIT경영의 미래’ (2004년, 국일증권경제연구소)’가 우선 가장 눈에 띄었다. 4장 ‘인적자본과 21세기 조직’, 7장 ‘신기술의 영향력과 전략..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이나 글을 잘 하는 사람을 똑똑하다고 생각한다. 오케이 이 정도는 그럴 수 있다. 하지만 똑똑한 사람을 훌륭한 사람 (즉, 인격이 좋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크게 관련성이 각 각 없는 것이다. 대하소설이나 역사책을 많이 쓰신 노학자를 훌륭한 어른으로 생각하거나... 특히 시나 소설, 그림 등 지적활동이나 예술활동을 오래한 사람을 인격자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지적인 창조 작업에) 경험과 지식이 많다 = 지적이다 = 고매한 인격 전혀 필요성과 인과성이 없는 것이다. 인격은 지식과는 완전히 다른 문제다..... 요즈음 대중매체 (TV나 유튜브 같은)가 활성화되서 많이 알고 특히 말을 잘하는 사람들이 여기 저기 많이 등장한다. 그런 사람들의 사회적인,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서는 고매..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회물리학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안나 카레니나
- Ai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지식론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돈
- 불교
- 부정성 편향
- 고도를 기다리며
- 상대성이론
- 파괴적 혁신
- 스케일의 법칙
- 게티어 문제
- 인공지능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이노베이션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경영혁신
- 최진석
- 혁신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샤룩 칸
- 인식론
- 게티어
- 양자역학
- 개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