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제1장. 절대로 얼버무려서는 안 되는 것) 잘 알지 못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행위가 '무엇'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그 목적을 달성하면 '어떻게 되는' 것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적어도 고따마 붓다는 출가자의 노동을 철저히 금하였다....오로지 해탈/열반만을 희구하는 자(출가자)들에게는 농업이든 상거래든 모든 노동 생산의 행위는 금지되어 있다. 이것이 고따마 붓다의 불교의 기본적 입장 중 하나이다. (제2장. 불교의 기본 구조 : 연기와 사제) 제행: 원인에 의해서 생겨나는 것 모든 현상은 원인(조건)에 의해서 형성되고 따라서 언젠가는 반드시 소멸한다. 이 '모든 현상은 원인(조건)에 의해서 성립하는 것'을 법칙으로 하여 개념화한 것이 이른바 '..

[ 밑줄/연결 ] (서양 최초의 문학 작가 : 호메로스)"힘은 희망뿐만 아니라 절망에서도 온다." (그리스의 영웅 서사시 : 일리아스)"인간의 본모습이 드러나는 것은 운명에 과감히 맞설 때문이다.""행복은 자유 안에 깃들어 있고, 자유는 용기 안에 깃들어 있다." (트로이 전쟁의 후일담 : 오디세이아)"최고의 선택은 없다.그 선택을 최고로 만드는 나와 오늘만 있을 뿐이다." (그리스 비극을 완성한 시인 : 소포클래스)"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어제 죽어간 이들이 그토록 꿈꾸던 내일이다." (로마를 대표하는 서정시인 : 호라티우스)그 유명한 '카르페 디엠(Carpe diem)'구절이 있는 시는 서정시에 속한다....오늘날 문학과 미술, 음악에 붙는 '클래식'이란 말도 호라티우스에 의해 정의된 것이다. "..
어느 분이 독후감을 쓴 2000권의 책 중 분야별로 추천한 책인데.... 뭐 2000권을 읽든, 20000권을 읽든 그 만큼 읽었다 하여 대수롭지는 않다고 생각한다만... (책을 10배 읽었다고 하여 10배 지혜로워 진다거나, 10배 인격이 좋아지는 사람을 본 적 없다. 10배 교만해 지고, 거만해 지고, 오만해 지고, 건방져 지는 사람은 봤다.) 책이야 그 정도 이상을 읽은 나도, 대부분은 읽은 책이고 공감이 가는 겹치는 부분이 뭔가 함 골라 봤다. (소설) 조지 오월, 테드 창 , (경제/경영) : 밥벌이를 (잠시) 벗어난 후 난 이 분야 책은 거의 안 읽는다. 공감이 가는 책은.. 칼 폴리니, 앤드류 그로브, (종교/철학) 이 분야도 아마 블로거보다 내가 더 읽은 것 같다. 추천된 책이 나는 별스럽..

'좀비 영화의 아버지(Father of the Zombie Film)', '죽음의 대부(Godfather of the Dead)' 라고 불린다는 호러/특히 좀비영화의 교과서라고 불리우는 조지 로메로 감독(1940 ~ 2017년)의 작품"1968년 이후로 좀비 영화를 만든 사람은 누구도 조지에게서 영감을 받지 않았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공포를 통해 은유를 찾은 많은 예술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 애드거 라이트 (영국 영화 감독) - "오늘날 우리가 좀비에 대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은 그로부터 시작되었다." - 타임지 - 로메로 감독의 대표작들은 살아있는 , 시체들의 새벽>, 시체들의 낮>으로 구성된 '시체 3부작'이다. 지난 주 읽었던 조용현교수님의 에서 이 제일 괜찮다고 하여 봤..

[ 밑줄/연결 ] 평균적으로 한 사람이 75세 이후 짧은 기간에 소비하는 의료비가 75세 이전의 의료비와 거의 같은 수준이라고 한다. (나의 은퇴 자산 설계는 대충 이러했다)(1) 퇴직 후 80살까지는 현재 생활비 수준의 연금 소득 확보 : 월 500원을 안정적으로 수령할 수준(2) 80살 이후는 현재 생활비의 70% 수준의 연금 소득 확보(3) 연금 외 자산 목표는 부부 두 명 가운데 한 명이 세상을 떠나면 한 명이 좋은 시설의 실버타운에 들어갈 보증금 수준 확보 DC형으로 전환해서 연간 수익을 3~4%의 보수적인 투자만 하더라도 6~7년이 지나면 상당한 운영 소득을 기대할 수 있다. 개인연금...50대 초반부터 준비하는 6~7년 동안 가능하면 연간 최대 불입액인 1,800만원을 모두 불입하기를 권한..

[ 밑줄/연결 ] 경제적 자유의 의미 : 타인에게 나를 이해시킬 필요가 없다.....항상 타인에게 자신을 이해시키려면서 살아 왔다. 어떻게 하면 나의 진심을 알릴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나의 능력이나 열정을 알릴 수 있을까? 나이가 들어가면서 직장생활에 따른 리스크는 극복하기 쉽지 않은 반면에, 은퇴에 따른 리스크는 극복이 가능하다. 보험은 확률상 지불한 돈보다 적게 돌려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다. 그래서 보험은 자산이 아닌 비용으로 생각해야 한다. (합리적인 은퇴조건)생활비 = 월세와 이자비용 포함 (은퇴조건 1 : 투자수익금 > 생활비)투자수익률 = 세후 배당수익률 + 주가상승률투자수익률이 10%라면 생활비 4000만 원을 충당하기 위해서 필요한 투자자산의 규모는 4억원 (은퇴조건 2 : 3년..
2013년 5월 23일... 아들과 노래방에 가서 불러 본 전체 노래를 정확하게 알지 못했다.

[ 밑줄/연결 ] 귀신론은 소외론이고 귀신은 소외의 공포가 외화된 것에 다름 아니다. 우리는 귀신에서 인간과 인간간의 유대를 상실하고 고립되고 파편화되어 가는 현대인들의 실상을 보게 된다.그리고 좀비에서 권력과 자본에 의해 조작되어 자동인형이 되어가고 있는 군중들을 보게 된다.---> 이런 생각, 이런 해석 본 적이 없다. 신선하다. (1978년)미국인에게 '쇼핑의 추억'이 부모, 자식을 비롯한 어떤 관계 보다 더 기본관계임을 꼬집고 있다.자본에 의해 대랑 조작되고 있는 소비대중 그것이 바로 좀비의 또 다른 얼굴이다. 올리버 색스는 그의 저서 에서....주인공은 버진이라는 이름의 50세의 남자.이 세계는 그저 주어진 것이 아니다. 부단한 노력과 분류와 기억과 연상을 통해 우리가 만든 것이다.하지만 버질..

영화보다 영화의 제목과 영화 음악이 더 유명하여 익히 알고 있었던 영화https://youtu.be/P4Zez0ZCJSY?si=iq9Gxjc2m6C9YhSM 1924 파리 올림픽 육상 금메달리스트 에릭 리들과 해럴드 아브라함을 그린 영화다. 보는 내내 지루하여 몇 번을 보다 말다를 반복했고, 보고 나서 크게 다시 볼 필요성은 없을 것 같았다.내가 영국 사람이 아니라서, 이런 영국의 역사적인 이벤트에 공감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각자 나름대로 사는 것일 뿐..--------------------------------------'성숙해지라'..'성숙해진다'고 해서 어찌해야 할지 다 알게된다는 말은 아니겠지만....핵심이 되는 것들을..

세상에 있는 모든 '엄마'들이라면 공감을 했을 영화 '엄마'가 되는 과정을 지켜 본 '아빠'들이라도 이해되고 공감을 했을 영화라고 봤다. 우선 이런 이야기를 어떤 분이 썼는지가 궁금했다. 분명히 '엄마'인 분이 쓰시지 않았을까 싶었다. 예상은 틀렸다. 로드리고 가르시아(Rodrigo García, 1959년 ~)라는 콜롬비아 출신의 각본가가 감독까지 했다. 놀랍지만 역시나 했던 것은 이 분이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아들이라는 사실이다. 영화 최고의 연기는 아네트 베닝(Annette Bening, 1958년 ~)이었다. 아네트 베닝에게 딸 뻘은 아닌 것을 알았지만, 나오미 왓츠(Naomi Watts, 1968년 ~)도 이렇게 연기를 잘하는 배우인지 몰랐다. 조연으로 나온 케리 워싱턴(Kerry Was..
- Total
- Today
- Yesterday
- 고도를 기다리며
- 돈
- Ai
- 스케일의 법칙
- 부정성 편향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불교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최진석
- 경계의 종말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이노베이션
- 안나 카레니나
- 인공지능
- 경영혁신
- 파괴적 혁신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혁신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플랫폼의 시대
- 상대성이론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양자역학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사회물리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