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NUrIB/btq53RQXMYn/X9jZEfsPV4DJYhBPjyk6Kk/img.jpg)
[ 밑줄/연결 ] "싸움을 벌이고 있는 개의 크기가 아니라, 개가 벌이고 있는 싸움의 크기가 중요하다. " - 아치 그리핀 정공 전략에는 공격적인 PR이 필요하다. 모든 시연회에 참석해서 경쟁이란 경쟁에 모두 나서라. 단 여기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그리고 승리할 경우 승리했다는 사실을 동네방네 떠들고 다녀라. P(Proof, 증명) > B(Benefits, 혜택) > F(Features, 특성) [ 자평 ] 요즈음에는 전략을 다루는 책들이 거의 없는 것 같다. 거대 담론을 논하기 싫어하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 같다. 오랫만에 다시 읽어 본 전략에 관한 책이다. 큰 판과 틀을 놓고 생각해 보는 것은 좋은 것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0yPC/btqRVqgFqEM/JG0Sy2tY3Fkc3PUsyPWv70/img.jpg)
[ 밑줄/연결 ] 신시장을 지배하는 기업은 맨 먼저 시장에 들어간 기업이 아니다. 신시장을 지배하기 위한 핵심 성공 요인은 '빨리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시점에 움직이는 것'이다. 그리고 적절한 시점이 맨 먼저인 경우는 드물다.....움직여야 할 최적의 타이밈을 찾아내야만 한다....'재빠른 2등 전략(Fast Second Strategy)'라고 부른다. 재빠른 2등 전략은 업계의 표준이 되는 지배적 디자인이 출현하는 타이밍을 알아차리고 최적의 시점에 시장에 진입, 지배적 디자인의 등장에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선도 기업이 되는 전략이다. 대기업이 시장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작은 신생 기업의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이것은 그다지 유익한 조언이 아닐뿐더러 오히려 해가 되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uB5Ik/btqQIaMBrww/WXanPTbykaoamOlZDXtaS0/img.jpg)
[ 밑줄/연결 ] 할아버지는 인생의 매 순간 마다 똑같은 교훈을 거듭 되새겼다. 근면함이야말로 사랑하는 가족을 돌보는 방법이자, 국가의 자유를 지키는 방법이며, 모두의 삶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라는 교훈을 항상 되뇌며 잠깐이라도 일을 그만두면 모든 것이 허물어지는 줄로 믿었다. 그리고 그런 신념에 따라 열심히 일했다. 아버지는 좋은 아버지가 되기 위해서였따. 자식들이 당신을 귀감으로 보고 자라며, 부자가 될 가망은 없고 오히려 때때로 생계가 불안할지라도 열정과 꿈을 쫓으며 살아가는 일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기 위해서였다.... 할아버지가 몸담은 분야의 핵심...즉, 같은 상품을 더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하도록 비효율성일 제거하고 매년 조금씩 품질이 향상되도록 연구 개발 과정을 감독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hUjj/btqMNwx0Zdj/r9daZkozJUJOzS2w3ka5E1/img.jpg)
[ 밑줄/연결 ] 2004~2009년은 페이스북, 트워터, 드롭박스, 에어비앤비와 같은 오늘날 세계를 무대로 각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첨단 스타트업들이 태어나서 급성장을 이룬 시기이다....이 고속 성장의 배경 중 하나가 바로 기존의 마케팅에 기술을 접목시킨 그로스 해킹이었다. (들어가는 글: 그로스 해킹을 소개합니다) 그로스 해커는 마케터와 코더가 결합된 형태로, "우리 제품의 고객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가"라는 전통적인 질문에 대해 A/B 테스트, 도달 페이지(landing Page), 구전 요소, 이메일 도달율, Open Graph 등을 사용해서 답을 제시하는 사람 그로스 해커는 기술자들을 이끄는 기술자 그로스 해커는 마케팅을 마케터가 해야 하는 일이 아니고 제품 자체에 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PDnV/btqMgtPJoM9/f4sup93jKfG0Gq8Be472i1/img.jpg)
[ 밑줄/연결 ] 미국의 영업 연수를 연구하면서 놀란 것은 스스로가 '몸과 감각으로 수없이 쌓아 온 것이 영업 기술과 영업 전략으로 정리되어 누구라도 실천하기 쉽게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었다. ---> 나도 마찬가지다. 영업을 하지는 않지만 영업이 큰 역할을 하는 회사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알 수 있다. --> 2000년 초에 본 닐 라컴 (Neil Rackham)의 'SPIN기법'등을 넘는 국내 영업 전문가의 책을 본 기업이 없다. 많은 톱 세일즈맨의 발상과 노하우 및 경험 법칙을 평균적인 영업 담당이라도 이해해서 체득하기 쉽도록 일반화하고 있다. '아는 것'과 실제로 '할 수 있는 것' 사이에는 10배이, 차이가 있다. 게다가 '할 수 있는 것'과 그것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사이에는 10배의 격차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7vJcN/btqJV6QSvG6/kFKzwk1afxdqhoAJtjNdCK/img.jpg)
원래는 이언 맥밀란 (Ian MacMillan)와 리타 건터 맥그레이스 (Rita Gunther McGrath)가 쓴 아래책에 있는 내용인데, 동아 비즈니스 리뷰에서 요약한 기사인듯... 이 책에 보면 2019년 ~ 2020년 국내에서도 hot한 '디커플링'이란 개념이 뜬금없이 나온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한다. 이 칙에 있는 소비자 가치사슬을 집중 분석하고 의미를 부여 했다고 볼 수 있다. 리타 건터 맥그레이스 (Rita Gunther McGrath) 교수의 책은 읽을 필요가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JUuf7/btqJDYLNlGI/4DR0PgjmZ7LxwSELIVULkK/img.jpg)
대기업은 연도계획을 수립하는 시점이다. 어지간히 'big picture'/큰 그림들 좋아한다. 흔히 큰 그림을 그리고, 큰 꿈을 꾸고, 큰 동기를 부여해야 크게 이룬다고 생각한다. 'Good to Great'를 짐 콜린스가 지적한 '크고 담대한 목표'가 중요하다는 떠벌임에 너무 몰입한 것일까? 제프 헤이든에 주장에 나는 동의한다. "동기 부여는 행동하게 하는 원인이 아니라 행동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주장한다. 그는 끝까지 지속하게 해주는 원동력은 동기가 아니라 '작은 성공'에서 생기며 그 '작은 성공'이 모일 때 비로서 '커다란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년 1년에 '하프 마라톤 완주', '팔굽혀펴기 1만회', '윗몸 일으키기 1만회'라는 목표는 거의 이룰 확률이 없다. 대신에.. '하루 10..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psCdA/btqJDYRIz2m/BwEkdi9y8M2WjvKJ0opcn0/img.jpg)
[ 밑줄 ] 투자자는 기업 가치가 올라가길 원하고, 그러자면 기업은 끊임없이 성장해야 하는 것이죠. 이것이 수많은 창업가와 기업가들이 '성장'을 외치는 이유입니다. '옐로모바일'이 단기간에 엄청난 자금을 끌어 모을 수 있었던 건 '성장'을 증명했기 때문일 겁니다. 덩치를 제법 키운 스타트업은 너나 할 것 없이 작은 스타트업을 합병하고 있습니다. M&A를 성장 전략으로 삼은 옐로모바일이 왜 실패했는지를 지금 들여다봐야 하는 건 그래서죠. 성공 사례에서도 모든 요소는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요소로 포장된다는 점에서 실패 사례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믿기 어렵다. 스타트업에서는 돈 쓰는 걸 'buring'이라고 하는데, 돈을 태운다는 의미다. 오픈빨은 길어야 한 달이다. 오픈빨이 사라지면 매출은 사라진다. 옐로모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1hCHT/btqI67CajfC/47Ndksu6d5HYfA570w2VpK/img.jpg)
어느 블로그에서 도용한 내용인데.. 어디인지는 출처를 알 수 없다. 내가 본 사람은... 1번, 2번, 10번은 뭐 매우 흔하게 보았다. 5번/6번은은 실제 그런지는 몰라도 그렇다고 실제 자기 입으로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7번은 실제 그렇게 말하는 것은 잘 못들어 봤으나, 결국 그렇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9번은 실제 말하거나 그렇게 행동하는지 모르지만, 외부에서 싸움하기 보다는 내부에서 싸움질을 많이 하는 것으로 보아 대외 경쟁력이 약한것 같은 사람들이 많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양자역학
- 경계의 종말
- 플랫폼의 시대
- 상대성이론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사회물리학
- 고도를 기다리며
- 돈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부정성 편향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최진석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파괴적 혁신
- 혁신
- 안나 카레니나
- 스케일의 법칙
- 불교
- Ai
- 이노베이션
- 인공지능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경영혁신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