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밑줄/연결 ]
2004~2009년은 페이스북, 트워터, 드롭박스, 에어비앤비와 같은 오늘날 세계를 무대로 각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첨단 스타트업들이 태어나서 급성장을 이룬 시기이다....이 고속 성장의 배경 중 하나가 바로 기존의 마케팅에 기술을 접목시킨 그로스 해킹이었다.
(들어가는 글: 그로스 해킹을 소개합니다)
그로스 해커는 마케터와 코더가 결합된 형태로, "우리 제품의 고객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가"라는 전통적인 질문에 대해 A/B 테스트, 도달 페이지(landing Page), 구전 요소, 이메일 도달율, Open Graph 등을 사용해서 답을 제시하는 사람
그로스 해커는 기술자들을 이끄는 기술자
그로스 해커는 마케팅을 마케터가 해야 하는 일이 아니고 제품 자체에 구축되어야 하는 것으로 본다. 시제품이 나와서 공유되고 최적화되는 과정이 수차례 걸쳐 반복되면서, 거대하면서도 급격한 성장의 길로 들어선다.
그로스 해커는 전통적인 마케팅 교본을 버리고 그것을 검증하고, 추적 가능하며, 확장 가능한 방법만으로 대체하는 사람..그들은 광고, 홍보, 돈 대신 이메일, 클릭 당 지불 광고(Pay-per-click ad), 블로그, 플랫폼 API를 도구로 사용한다.
(Step 1: 그로스 해킹은 제품 시장 궁합에서부터 시작한다)
최악의 마케팅 의사결정이 무엇인지 아는가? 아무도 원하지 않거나 필요로 하지 않는 제품을 갖고 시작하는 것이다...."원하는 제품이 아니라 갖고 있는 제품을 들고 시장에 나가는 것이다."
에릭 리스(Eric Ries)는 제품 시장 궁합(PMF)에 도달하는 최고의 방법은 '최소 존속 제품 minimum viable product'으로 시작해서 피드백을 통해 개선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누구를 위한 제품인가? 그들은 이걸 왜 사용하는가? 나는 이걸 왜 쓰는가?
(Step 2: 나만의 그로스 해킹 찾기)
전통적인 마케팅 모델에서 가장 교활한 부분은 '성대한 출시 잔치' 신화이다.
(Step 3: 1을 2로 만들고, 2를 4로 만드는 법: 구전 효과 만들기)
실제로 당신 제품은 퍼뜨리기 편하게 만들어졌나요? 제품 자체가 정말 말할 가치가 있는 건가요?
애플의 경우 '아이폰에서 보낸 메시지입니다.'
만약 구전효과를 만들고 싶다면 그것은
당신의 제품 자체에서 나와야 한다.
그것을 공유해야 하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
공유시키는 방법 자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Step 4: 순환 고리의 마무리: 유지와 최적화)
Bain & Company에 따르면 고객 유지율을 5% 상승시켰을 때 회사 수익성은 30% 증가할 수 있다고 한다. Market Metrics는 기존 구매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확률을 60~70%이지만, 신규 고객에게는 5~20%에 그친다고 발표했다.
[ 자평 ]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책에 있다.
스타트업 이나 온라인 기반의 제품,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은 참고할 만 하다.
나 같은 off-line기반의 사업이 중심인 대기업에서는
'이런 신기한 방법이 서양 기업에서는 유행이구나!' 정도의 감흥 뿐이다.
'평행우주 속의 경영 > 양적 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st Second by 콘스탄티노스 마르키데스 (0) | 2021.01.02 |
---|---|
나는 무조건 성공하는 사업만 한다 by 애덤 데이비드슨 (0) | 2020.12.20 |
솔루션 영업의 기본 전략 by 다카하시 가츠히로 (0) | 2020.11.01 |
마켓버스터(Market Buster)의 5가지 전략 (0) | 2020.10.02 |
스노우볼(snowball) 시장 창출 전략 (0) | 2020.10.0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경영혁신
- 안나 카레니나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파괴적 혁신
- 양자역학
- 상대성이론
- 불교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경계의 종말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이노베이션
- Ai
- 고도를 기다리며
- 인공지능
- 스케일의 법칙
- 부정성 편향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돈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플랫폼의 시대
- 최진석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사회물리학
- 혁신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