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iL5Vm/btq1hanaz26/CfR9RHKsfcWLQHKkRHkma1/img.jpg)
[ 밑줄/연결 ] 캐리 멀리스(Kary Mullis)는 종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tion)을 발명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DNA 대량 복제를 가능케 한 기술이다....멀리스의 발견이 워낙 중요해서 어떤 과학자는 생물학 연구가 멀리스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할 정도다....그런데 그런 놀라운 발명을 가능케 한 천재성이 외계인의 존재를 믿고 에이즈를 부정하게 한 걸까? 지능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특성에는 인지 성찰 말고도 지적 겸손, 적극적 열린 사고, 호기심, 정확한 감정 인지, 성장형 사고방식 같은 것들이 있다.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고작 자신이 편견을 재배열할 뿐이면서 자신은 생각을 하고 있다고 믿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nrDNq/btqTIqy6SGS/V3ebV8rdjeMVQedOwnkVI1/img.jpg)
[ 밑줄/연결 ] 현재 일어나는 변화의 성격과 방향도 모르면서 남들이 뛴다고 무작정 따라 뛰기만 하면 오히려 잃는 것이 더 많을 수도 있다.....최근 담론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이를 새로운 돈벌이 기회로 바라보는 산업 담론이나, 모두가 자기계발에 매진하여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고 채근하는 생존 기술 담론이 주를 이룬다. ---> 맞는 말이지만 이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 첫 번째 변화의 성격과 방향을 알 때 까지 기다릴 수가 없거나 아무리 기다려도 알 수가 없을 지도 모른다. ---> 두 번째 모르면서도 뛰기라도 해야 비슷한 방향에서로도 동조까지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그래서 기업에 있는 사람들도 바보가 아님에도 그냥 뛰기라도 하는 것이다. 내가 가려는 데가 어디인지, 그곳에 가면 무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tFG67/btqR1Dsupah/cGXeKFqEFECPBumu3yx3w0/img.jpg)
[ 밑줄/연결 ] 편안하게 여러 가지 발상들을 풀어놓을 수 있는 능력, 모호함과 모순에 익숙해지는 능력, 틀에 박힌 사고 방식을 극복하는 능력, 풀어야 할 문제를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 깊게 뿌리박혀 있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해서 마음을 여는 능력, 논리력만큼 상상력에도 의지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생각들을 해내고 통합하는 성향,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패를 견딜 수 있는 담대함이 필욯다......이런 재능들은 일관된 인지 방식의 다양한 측면으로 드러난다. 나는 이것을....유연한 사고(elastic thinking)라고 부를 것이다. 유연한 사고는 분석적 추론과 달리 과학자들이 '상향식(bottom-up)'과정이라고 부르는 방식을 통해서 나타난다. 뇌는 컴퓨터처럼, 가장 상위의 실행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gNxkQ/btqRAkztMcC/Hjvw62Hbojjix17YFJUbN1/img.jpg)
[ 밑줄/연결 ] 기억이란 정보를 기호화하고(기록하고), 저장하고, 다시 불러오게 할 수 있는 기능이다. 1960년대 말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 사이의 구분은 잘 정착되었다. 미국의 앳킨슨(Atkinson)이나 시프린(Shiffrin) 같은 연구자들이 제안한 고전적 이론은, 정보가 우선은 단기 기억을 거쳤다고 필요한 경우 장기 저장에 접근한다는 것이다. '작업 기억'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부터 단기 기억이라는 용어를 대신했다. (단기 기억은 지금도 때때로 사용되긴 하지만 역사적인 의미밖에 없다). 영국의 연구자 앨런 배들리(Alan Baddeley)는 현대적인 형태로 본 이 개념의 창시자다. 작업 기억은 텍스트 이해나 학습 또는 추론 같은 다양한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정보를 임시적으로 보유하고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drJF/btqRpuXTi9R/XKbEsVE7Lqol6XKTeFVURk/img.jpg)
[ 밑줄/연결 ] 퍼스의 실용주의(Pragmatism)은....철학적 발상이나 이론을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라 도구로 보아야 한다고 믿었으며 그 타당성도 삶에서의 현실적 결과에 따라서 판단해야 한다고 믿었다. 무의식은 척추동물의 뇌에 표준으로 갖추어진 하부구조이지만, 의식은 선택사항에 가깝다. 인간이 아닌 대부분의 다른 동물들은 의식적, 기호적 사고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어도 충분히 살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산다. 반면에 무의식이 없다면 어떤 동물도 살 수 없다. 인간생리학 교과서에 따르면, 인간의 감각계는 1초마다 1,100만 비트의 정보를 뇌로 보낸다......사람이 실제로 다룰 수 있는 정보량은 1초에 16~50비트쯤이다. 그러므로 만일 의식이 모든 유입 정보를 다 처리해야만 한다면, 뇌는 당장..
존 카트라이트 (John Cartwright)교수의 에서... 학계는 신피질이 구성될 때 어느 정도 수준의 가소성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양극단의 논쟁을 벌이고 있다. 한쪽에서는 대량 모듈성 가설(massive modularity hypothesis)을 주장하면 가소성은 어려운 일이라고 강변한다. (Tooby and Cosmiders, 1992년).... 반대편에서는 신피질이 몇 가지 유전적 제약을 받긴 하지만, 대부분은 발달적인 경험에 의해 빚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Finlay, 2001년) 환경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 장기간 변화하지 않는 안정되고 예측 가능한 환경 및 규칙성 선호되는 학습 시스템 ㅇ 높은 가소성 ㅇ 낮은 인지적 제약 ㅇ 낮은 가소성 ㅇ 높은 인지적 제약 해당 시스템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lIQ8M/btqRrQltDwh/Vk3RU359gjH8nO7rz8iMuk/img.jpg)
존 카트라이트 (John Cartwright)교수의 에서... 허브트 사이먼은 '만족화'에 기반을 둔 전략을,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서 합리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전략적 이득의 예상치를 정한 후, 해당 해결책이 예상치에 도달하는 순간 탐색을 중단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1990년) 중요한 것은 우리의 마음이 비용과 이득에 대한 분석을 수학적, 형식적으로 풀어내지 않는다는 것이다.......합리적인 시간 내에 작동할 수 있는 신속하고 간단한 규칙을 제공해 주었을 뿐이다.... 카너먼은 '경험칙과 편향' 연구에서는 흔히 오류를 유발하는 엉성한 정신적 기전으로 취급됩다. 그러나 기거렌처는 경험칙을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 환경 내 정보 구조의 이득을 취하는 방법'이라는 보다 긍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aZcj/btqP11BEyp4/XUne7I1ppUMaFVrQM6Cz31/img.jpg)
[ 밑줄/연결 ] "의식은 모두 언어는 아니지만 언어로 생성되고 언어로 접근된다." - 줄리언 제인스 정신과 물질, 주관과 객관, 영과 육.....직관, 감각 자료, 소여(the given), 원감정(raw feels), 센사(sensa), 실체적 지각(presentation), 표상(representation)......의식과 관련된 문제는 해결될 기미도 없이 줄기차게 제기되고 있다. "의식은 아무리 길을 걸어도 경계를 발견할 수 없는 광대한 공간이다." - 헤라클레이토스 진화상에서의 의식의 기원......희망, 공포, 애정, 지식, 쾌감, 고민, 욕망 등과 같은 내성의 대상인 주관적 경험은 어디에서 생길 수 있었나?.....어떻게 단순한 물질에서 이러한 내면세계를 갖게 되었을까? 그리고 만일 물질에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y4BxN/btqKDbboOYn/EggkvPvXSyUG7fSBTJW3sK/img.jpg)
[ 밑줄/연결 ] 인간의 뇌를 마치 신비롭고 형언할 수 없는 최상의 구조물이라거나 육체와 영혼을 이어주는 매개체와 같은 장기라고 생각한다면.......우리가 뇌에 대해서 좀 지나치게 과대평가를 해온 것도 사실이다. 단기기억은 오래 남지 않는다. 기껏해야 1분 정도 지속될 뿐이다. 그러나 정보를 실제로 의식적으로 이용하는 일, 즉 현재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은 단기기억에서 처리한다. 현재 생각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사고할 수 있는 이유는 이들이 단기기억 속에 있기 때문이다.... 평균 단기기억은 한 번에 최대 4개의 '아이템'까지만 가능하다고 한다......과거 수년 동안은 인간의 단기기억이 평균 7(+-)2개라고 생각했다. 1950년대 조지 밀러(George Miller)의 실험에서 나온 결과로서, 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ZxHtV/btqJVPgNXNu/RK96daaR32LBNBqOksFXA1/img.jpg)
어느 책인지는 모르겠음 (뇌의 구조와 기능) 뇌는 대뇌와 소뇌, 사이뇌, 뇌줄기 4부분을 나뉜다. 가장 큰 것이 대뇌이며, 그 아래에 소뇌, 중심부에서 아래를 향해 사이뇌와 뇌줄기가 있고, 척수와 연결된다. 대뇌: 사고, 성격, 감각 운동, 기억 시상: 감각자극의 중계장소, 인식과 의식 조절 시상하부: 체온,수면,식욕,감정,뇌하수체의 조절 소뇌: 운동의 조정과 평형 다리뇌: 눈과 얼굴에 전달되는 뇌신경 연결 등 중뇌: 몇 가지 신경로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교차한다. 심장과 혈관, 호흡계통을 통제하는 중추가 들어 있다. 어른 남자의 뇌 무게는 1350~ 1400g, 여자는 1200~ 1250g 정도이다. 신생아의 뇌 무게는 370~ 400g이며 남녀의 차이는 없다. 생후 6개월에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케일의 법칙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돈
- 이노베이션
- 플랫폼의 시대
- 파괴적 혁신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인공지능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고도를 기다리며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경영혁신
- 상대성이론
- 사회물리학
- 경계의 종말
- Ai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혁신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최진석
- 양자역학
- 불교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부정성 편향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안나 카레니나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