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 ] ㅇ 인류가 지능을 갖게 된 것도, 우리가 생각을 하게 되는 과정도 모두 다윈적 과정에 의한다는 것이다. ㅇ 복잡한 신경계를 지닌 모든 생물은 매순간 삶이 내놓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즉 '다음에는 무엇을 할까'하는 것이다. - 수 섀비자 - 럼보, 로저 루인, 1994 ㅇ 피아제(Piaget)는 지능을 가리켜 여러분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을 때 사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ㅇ 1860년 대쯤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친구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생각은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다윈적 과정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ㅇ 몇 십 년 동안 우리는 과잉 생산된 시냅스의 선택적 생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가장 유명한 분은 역시 제럴드 에델만 (Gerald Maurice Edelman) ㅇ ..

[ 밑줄 ] ㅇ 새로운 세계에서, 발전된 경제의 경쟁 우위는 더 이상 원료나 노동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반짝이는 생각, 재치 있는 구상, 적합한 조직 구조와 같은 지식(Knowlege)에서 나온다.. ㅇ 컨설턴트인 앨런 버턴 존스.."지식은 생산의 본성을 변화시키고 있고, 그러므로 노동, 직업, 회사, 시장, 그리고 경제 활동의 모든 측면을 변형시키고 있다. 그러나 지식은 아직도 충분히 이해되지 못했고, 따라서 그 가치가 제대로 평가되지 않은 경제적 자원이다." ㅇ 지식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지식을 알아내며, 어떻게 지식을 충분히 가졌는지 확신할 수 있는가? 이런 주제들에 대해 연구하는 사람들......지식에 대한 연구는 철학의 한 분과로서 인식론이라 불린다. ㅇ 소크파테스와 테아이테토스의 대화편....

[ 배운 것들 ] (13.1 : 가설) : 일련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어떤 일을 상정하는 것으로, 아직 사실로써 증명되지 않았지만, 추구해 볼 만한 가치를 지는 그런 추측 ㅇ 가설(Hypothesis)은 일련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어떤 일을 상정하는 것... 어떤 문제에 관한 시사된 해답으로, 아직 사실로써 증명은 되지 않았지만, 추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조건을 지닌 추측 이미 알려진 앎보다는 찾아낼 새로운 앎과 관련이 깊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실이나 문제들에 관한 잠정적인 설명이나 해답으로 여겨질 수 있다. ㅇ 가설은 사실에 관한 약간의 관찰을 근거로 직관적으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아, 비약적/비논리적인 경우가 짙다. ㅇ 가설은 아래와 같은 요구조건들에 들어맞는 해답이 들어 있어야 한다. - ..

[ 배운 것들 ] ㅇ 동물학자인 니콜라스 틴베르헌은 늑대벌이 굴 주변의 주요한 지형지물을 눈여겨보면서 학습한다는 가설을 세웠다...실험결과는 늑대벌 암컷은 사냥에 나서기 전에 굴 주변의 지형지물을 보고 학습함으로써 나중에 집을 잘 찾아서 돌아옴을 명확히 입증했다. ㅇ 진화의 역사에서 생존과 번식을 좌우했던 많은 문제는 꼭 후천적으로 학습되어야 한다. 인간이건 다른 동물이건 말이다. 학습 역시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한 심리적 적응이다. ㅇ 학습은 경험을 통해 행동이 변함을 말한다. 아이가 구구단을 외우거나, 늑대벌이 굴의 위치를 익히거나, 돌고래가 조련사의 훈육으로 묘기를 부리게 되는 것 등은 모두 학습이다....그러나 어떤 환경에서든 무조건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는 본능적 행동조차도 실은 특정한 환경적 입력..

연애에서 식성까지 우리의 행동을 결정짓는 IQ의 맨얼굴 (The Intelligence Paradox) [ 책에서 배운 것 ] ㅇ 지능,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일반 지능은 연역하거나 귀납해서 판단하고, 추상적으로 생각하며, 유추를 이용하고, 정보를 통합하며, 그것을 새로운 영역에 적응하는 능력을 말한다. ㅇ 믿든 안 믿든, 모든 인지 능력은 공통점이 있고, 그게 일반 지능이다. 따라서 IQ검사로 측정된 것이 바로 지능이다. 지능은 우리가 온갖 다양한 인지 검사를 치를 수 있게 해준다. ㅇ IQ검사가 지능을 완벽하게 측정해주지는 못한다. 하지만 체중계, 혈압계 역시 측정할 때 마다 조금씩 다른 수치를 나타낸다. 키, 발 길이, 시력을 재더라도 마찬가지다. 어떤 인간 특성을 측정하더라도 완벽하게 믿을 수는 없..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이노베이션
- 경영혁신
- 스케일의 법칙
- 고도를 기다리며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불교
- 파괴적 혁신
- 사회물리학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안나 카레니나
- 양자역학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혁신
- 부정성 편향
- 직감하는 양자역학
- Ai
- 경계의 종말
- 플랫폼의 시대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돈
- 상대성이론
- 인공지능
- 최진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