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 ] 약물, 도박, 인터넷 사용, 초코렛 등이 전부 비슷한 방식으로 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1부: 뇌는 무엇을 원하는가? ) 약물 중독 혹은 의존성(drugaddiction or depedence) 고통과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약물 탐색과 약물 섭취에 있어서 사용자가 더욱 통제력을 잃은 심각한 상태 행동 통제력의 상실과 고통 및 부정적 결과가 강조되었다는 점... 이전과 동일한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약물을 필요로 하는 상태, 즉 내성이 발달한다. 뇌의 구조와 기능 대뇌피질(cerebral cortex)...사람의 경우 전체 뇌의 75%를 차지... 측두엽이 손상을 입으면, 사물을 인식하고 그 이름을 부르는 데 문제가 생김 전두엽이 손상을 입으면, 인성에 변화가..

[ 밑줄 ] 의식의 불씨가 자리 잡은 대뇌피질에는 두뇌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로 무의식적인 과정이 빽빽이 들어차 있다. 따라서 지능을 반드시 의식적이요, 사고적인 존재라 정의하는 것은 잘못이다. 직관의 정의를 내리면..... (1) 의식에서 재빨리 떠오르는 것 (2) 우리가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근본 원인들 (3) 행동을 유발하기 충분한 동기를 수반하는 것.... 나는 직관이 어떻게 움직이는 것으로 믿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다음 두 가지 이론으로 구성된다. (1) 사용하기 편리한 어림셈법 (2) 두뇌의 진화 능력 어림셈법 = 발견적 사고.... 가장 중요한 정보에만 주목하고 다른 정보들은 무시한다는 점에서 장단점을 명확하게 나열한 대차대조표와는 다르다. 날아오는 공을 받기 위해 공의 궤적에 대한 ..

[ 밑줄 ] 정신과 영혼은 뇌 안에서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 과정이며 사고와 감정은 전자 화학적반응의 체계화된 뒤범벅 이상이 아니다. 분자는 우리 정신의 기초이다. 뇌는 HW와 SW가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컴퓨터와는 다르다. 뇌 기능 '프로그램'은 고도로 특수한 신경 세포의 회로 조작으로부터 저절로 나타난다... 뇌의 경우 스위치 프로그램이다. 스스로를 프로그램한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다. 대뇌피질의 기능은 4억 년 전 처음 세상에 등장한 이후 근본적으로 변화가 없다. 고도로 분화된 인간의 뇌와 그보다 덜 복잡한 연체동물의 뇌는 대뇌 피질의 용량 차이만 있을 뿐이다. 인간의 대뇌피질은 주름을 다 폈을 경우 A4 용지 네 장을 덮을 수 있는 크기다. 침팬지(유인원)의 대뇌 피질은 유전적으로는 인간과 거의..

[ 밑줄 ] 다음은 일상적으로 우리가 쓰는 표현 중 '생각하다'가 포함된 문장이다. 대부분 어떤 목적을 가진 의식적 활동을 표현할 때 '생각하다'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용규의 에 의하면 사고는 넓은 의미로 느낌과 상상, 의욕, 기억, 연상, 의지 등을 포함하는 '심리적 활동'차원과 감각을 통해 어떠한 대상으로부터 얻은 내용을 지식으로부터 판단과 논리적 추론을 거쳐 간접적으로 얻는 '정신적 활동'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의 신경학자인 제럴드 에덜먼(Gerald M. Edelman)은 '1차적 의식'(primary conscious)을 기반으로 하는 '2차적 의식'(seconary conscious) 혹은 '고차원적 의식'(higher-order conscious)을 구분했다. 1차적 의식은..

[ 밑줄 ] '생각'이라는 용어는 심적 생활의 세 가지 전혀 다른 특징을 가리킬 수 있다. 첫째, '생각'은 일정한 종류의 심적 능력을 가리킬 수 있다. 시력이라 청력과 연관되는 심적 능력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고력과 연관되는 심적 능력- 혹은 능력들-도 있다......생각이라는 능력과 다른 심적 능력들, 예컨대 지각이나 언어와 연관되는 심적 능력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둘째, '생각'은 일정한 유형의 심적 상태나 사건을 가리킬 수 있다. 어떤 대상에 관해 생각하는 것은 어떤 식으로든 대상을 마음 앞으로 가져오는 것이다.....생각의 핵심적 본성은 어떤 것일까? 모종의 물리적 상태를 가리키는 용어로 생각을 설명할 수 있을까? 셋째 특징은 '생각'이 독특한 종류의 활동과 관계가 있다.....무..

[ 밑줄 ] 32장. 박쥐처럼 생각하는 법 6장. 앎이란 무엇인지 아는 법 이러저라한 것을 아느냐 모르느냐를 판단할 수 있으려면 먼저 앎의 본질을 알고 있어야 한다. 직사각형이 무엇인가를 설명하려면 우선 네 개의 변을 가진 폐쇄 도형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톰이 P라는 사실을 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반드시 P는 참이어야 한다. 만일 서울이 대한민국의 수도라는 사실을 톰이 안다면,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라는 명제는 참이어야 한다. 어떤 방식으로든 간에 톰이 그 P라는 명제에 동의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톰이 P라는 명제를 확신하느냐 혹은 믿느냐를 결정할 때 흔히 제시되는 필요조건이다. 많은 철학자들은 앎이란 일반적으로 타당성이 입증된 참인 믿음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타당성 입증에는 상당한 시..

[ 밑줄 ]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지능이란 타고난 지적 능력 전반을 의미한다. 이는 유전되는 것으로 교육이나 훈련에 의해 얻을 수 없으며 근면함이나 열의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 시릴 버트 경 외 (1934년) 린다 고드프레드슨(Lida Gottfredson)은 지능을... "지능이란 매우 일반적인 정신 능력으로 추론, 계획, 문제해결, 추상적 사고, 복잡한 생각의 이해, 빠른 학습, 경험에서 배우는 능력을 포함한다. 지능은 단순히 책을 통한 학습 능력이나 좁은 의미의 학업 능력, 혹은 시험을 잘 보는 능력이 아니다. 지능은 좀 더 광범위하고 깊이 있는 차원에서 주변환경을 파악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 차리고, 대상을 이해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알아내는 능력이다." 라고 ..

[ 밑줄 ] ㅇ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지식에 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는데, 그 형태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1) 세상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 누군가가 모든 지식을 소유하려 든다면, 또 전체적인 상황을 통제하고 계획까지 세우려 한다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는커녕 오히려 난처한 처지에 몰리게 될 것이다. - 대부분을 사람들은 고전엣 답을 구하겠다며 삼국지, 손자병법, 후흑학 등을 뒤적거리지만 결과적으로 아무런 소용도 없다. 비교적 단순했던 전통사회의 경험과 사상으로 복잡하기 짝이 없는 현대사회를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2) 인공지능(AI)이 서서히 인간을 대신하고 있다. - 사람들은 예상보다 휠씬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다. -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단순노동이나 심..

[ 밑줄 ] ㅇ 지능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지능은 한 가지 능력인가? 아니면 여러 가지로 구성된 능력인가? 지능은 사람의 뇌 속에 들어 있는 것인가? 지능은 바꿀 수 있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변화하는가? 어떤 사람을 지능이 뛰어나다고 하는가? 나는 왜 이렇게 생각하는가? 지능에 대한 나의 생각이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비슷한 점은 무엇이고 다른 점은 무엇인가? ㅇ 지능은 추상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관련이 있다.. (Sternberg, 1986년) ㅇ 심리학자 루이스 터먼(Lewis Terman)은..."사람의 지능은 추상적 사고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라고 주장했다...(1921년).....최초의 표준화된 지능 검사를 만드는데 기여.. ㅇ 추상적 사고...관계와 형태, 특히 인간의 감..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케일의 법칙
- 플랫폼의 시대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상대성이론
- 안나 카레니나
- 돈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파괴적 혁신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경계의 종말
- 혁신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이노베이션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인공지능
- 고도를 기다리며
- 부정성 편향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불교
- 경영혁신
- 최진석
- 양자역학
- Ai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사회물리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