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밑줄 ]

 

01. 접속사회로의 전환: 인간관계가 끈끈한 사회 --> 개인주의가 강화 --> 온라인에서 '약한 관계'의 '강한 효과'라고 부름.

02. NEO경제주도세력의 등장: 자동차/조선 같은 중공업 --> 디지털/SW 같은 산업들이 한국경제를 이끌 것

03. 기술은 개인 중심으로: 기술이 사람을 찾아다니는 것. '네트워크화된 개인'

04. 자발적 참여의 증가: 온라인을 통한 사회 참여 증가. 

05. 양극화의 가속화: 사회 계층구조의 양극화와  거주지 자체의 차별화 --> 우월적 문화 등장

07. 현실원리를 넘어서: 직접 만지고 볼 수 있는 물체만이 실존 --> 가상현실. 비실재적 현실.

08. 디지털 기술로 인한 인간능력의 진화: 인간을 더욱 똑똑하게, 더욱 튼튼하게.

11. 창조적 파괴: 비효율 개선 위해 IT기술 도입 경향 증대. 

12. 경계의 소멸: 수동적 소비자 --> 능동적 소비자로 변모. 

13. 디지털 경제 패러다임의 등장: 균일/모방/단일성 -> 다양/창조/모험성

17. 정부의 유비쿼터스화: 언제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 유목 정부. 

 

[ 자평 ] 오래되었다. 앞으로도 볼 일이 없을 듯 하다. 버린다.

 

2006년에 출간된 책이다.

'21세기, 우리 앞의 20가지 메가트렌드와 79가지 미래 변화'를 제시한다고 한 책이다.

다시 읽어 봐도 IT와 관련된 부분은 상당히 맞는 것 같다.

다만 경제, 사회, 정치, 국제 관계로 범위가 확대될 수록 적중률이 크게 떨어져 보인다. . 

(선진국으로 도입, 동북아시자의 다자주의화 등)

 

20가지 메가트렌드 중 2020년 현재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만 간략히 추려 봐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