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 유명한 안드레이 타르콥스키(Andrei Tarkovsky, 1932 ~ 1986년) 영화를 이제야 처음 보았다.
나는 그냥 유명한 소련 감독, <솔라리스>(1972년)의 감독 정도 알고 있다.
전문가들의 평은 '영화 역사상 최고의 감독 중 한 명으로 평가 받으며, 특히 롱테이크를 통한 몽환적이고 명상적인 종교적/철학적 영화를 만들어 내는 감독'을 으로 유명하다는 정도의 평이다.
대충 유명한 감독들/철학자가 유명한 칭찬을 많이들 한 것 같다.
"타르콥스키의 영화 〈이반의 어린 시절〉을 자신이 본 영화 중 가장 아름다운 영화"라고 극찬했다. - 사르트르
배경 지식을 검색해 보니 이 영화에서도 이 감독의 아버지가 직접 시를 낭송하시는 부분이 나오는데, 감독의 아버지 <아르세니 타르콥스키>는 소련의 유명한 시인이며 모스크바 대학 교수였다고 한다.
영화가 나의 지적 수준을 넘어 있는 작품이라 힘들었다.나중에 전문가들의 평을 자세히 좀 참고해야 겠고 일단 인터넷에 있는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은..
'
영화 전체가 회상과 꿈으로 진행되는 타르콥스키의 역작.
이로 인해 촬영과 편집이 무척 현란한 작품이 되었으며, 당대 러시아의 상황에 중점을 두고 영화가 진행되기에 타국 관객들에게는 타르콥스키 영화 중 가장 난해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감독의 자전적인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 있는 영화로, 상징과 시적인 언어로 줄거리를 이어간다.
거울은 인간의 삶을 비추는 반영으로 이용되고, 사람들을 그 거울을 보면서 인생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삶의 근원적인 문제, 희생과 구원, 고향을 잃어버린 자의 향수 등을 독특한 언어로 그렸다.....
영화 속 화자의 의식 흐름을 받쳐주는 시들은 감독의 아버지 아르세니 타르콥스키의 작품들이고, 감독이 직접 낭송했으며 마지막 장면에 자신의 어머니를 출연시키기도 했다. "
"기억을 접어, 존재한 적이 없는 어머니를 용서하고 위로하다."
이 영화는 앞으로도 많은 해설, 그리고 영화도 몇 번은 볼 운명이 느껴진다.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
관객의 마음속을 들여다 보는 것 같은 신비한 눈빛...
마가리타 테레코바(Margarita Terekhova, 1942년 ~)
--------------------------------------------------------------
그냥 뚝 던지면...철학이 되는 대사들...
----------------------------------------------
영상과 대사의 멋진 조합..
이래서 영화를 영상 예술이라고도 하는 것이구나! 라는 비전문가적인 탄성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장면과 대사
---------------------------------------------------------
거울을 보는 것 같은, 거울로 보는 것 같은
기억이 보여지는 기억....
-------------------------------------------------------
맞는 말인데, 왜 시적으로 멋있지..
-----------------------------------------------------------
WoW..
---------------------------------------------------------------------
그러게요. 어머니
왜 우리에게 그런 기적은 일어나지 않는 걸까요 ? !!!
-----------------------------------------------------------------------
참 묘한 영상
거울이 나를 보는 것인지? 내가 거울을 보는 것인지?
관객인 나를 배우가 보는 것인지? 내가 거울을 통해 배우를 보는 것인지?
-----------------------------------------------------------------------------------------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의 신앙심 깊은 막내...
<알료샤>
-----------------------------------------------------------------
거위의 목을 친 후의 배우의 표정..
역시 배우는 배우다..
------------------------------------------------------------------
쉽게 이해가 안되요...ㅠㅠㅠ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의 노래, Song of the Little Road, Pather Panchali, 1955 년 (0) | 2023.04.08 |
---|---|
400번의 구타, The 400 Blows, 1959년 (0) | 2023.03.17 |
다이얼 m을 돌려라 , Dial M for Murder , 1954년 (0) | 2023.03.12 |
사냥꾼의 밤, he Night of the Hunter, 1955년 (0) | 2023.03.05 |
택시 드라이버, Taxi Driver , 1976년 (0) | 2023.03.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공지능
- 부정성 편향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경계의 종말
- 고도를 기다리며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스케일의 법칙
- 직감하는 양자역학
- 경영혁신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Ai
- 최진석
- 사회물리학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혁신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플랫폼의 시대
- 안나 카레니나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파괴적 혁신
- 양자역학
- 불교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돈
- 상대성이론
- 이노베이션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