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국내에서도 동명으로 Re-make된 영화의 원작인 베네수엘라의 공포나 미스터리로 분류되는 영화
루디 로드리게(Ruddy Rodriguez, 1967년 ~) 배우에 대해 찾아 보다가 원래 이렇게 아름답게 생긴 배우임을 알았다
국내 리메이크작을 보지 못했지만, 영화 포스터로 봤을 때 국내 리메이크작은 김윤진배우 볻는 루드 로드리게가 더 이 영화의 설정에 어울리는 캐스팅처럼은 보인다.
'Time Paradox'를 어떻게 이렇게 제대로 섞어서 뒤로 갈수록 점점 재밌게 만들었을까? 싶게 감칠만 나는 영화였다
내가 보기에는 공포나 공포가 아니라 드리마로 분류가 되어야 할 영화였다.
영화가 주는 핵심적 메시자가
아들을 위해서 30년 감옥생활을 하더라도 당당히 해내는 엄마의 희생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억에 남는 대사와 장면은
--------------------------------------
정말 그렇다.
아이일수록, 아기일수록 엄마는 신이다.
또한 이 영화에서 맞잡은 손은 아주 중요한 메시지를 준다.
엄마와 아이가 맞잡은 손, 아이와 아이의 친구가 맞잡은 손...
----------------------------
그냥 스쳐 듣기에는 너무 멋진 대화다.
인간이란 존재 전부를 일컫는 말인 것 같기도 하다.
우리는 시간과 공간이란 집안에 있는 꼭두각시일 뿐일수도.....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젤 하트, Angel Heart , 1987년 (2) | 2024.12.09 |
---|---|
댄싱 히어로, Strictly Ballroom, 1992년 (34) | 2024.12.04 |
렌트, Rent, 2005년 (3) | 2024.12.02 |
아나스타샤, Anastasia, 1956년 (1) | 2024.12.01 |
모래의 여자, Woman in the Dunes, 1964년 (2) | 2024.11.27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스케일의 법칙
- 상대성이론
- 고도를 기다리며
- 혁신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돈
- 게티어
- 개념
- 도파민의 배신
- Ai
- 사회물리학
- 안나 카레니나
- 인공지능
- 이노베이션
- 사고의 본질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지식론
- 경영혁신
- 부정성 편향
- 인식론
- 파괴적 혁신
- 불교
- 지식의 정의
- 최진석
- 게티어 문제
- 샤룩 칸
- 양자역학
- MECE
- 프레임워크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