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밑줄/연결 ]
'클라우드 자본'이라 부르는 자본의 돌연변이가 자본주의의 두 기둥인 시장과 이윤을 파괴해버려다.
자본주의의 매개체인 '시장'은 디지털 거래 플랫폼으로 대체되었다.
자본가는 클라우드 자본을 소유한 '신흥 봉건 영주'(Owner of cloud capital)라는 새로운 계급의 가신이 되었다.
노동 = 상품적 노동(임금으로 환산되는 시간) + 경험적 노동(일자리에 쏟아 붓는 노력, 열정, 재능까지 포함)
피공자의 땀, 노력, 영감, 선의, 돌봄, 눈물 등은 상품화할 수 없다.
자본 = 상품적 자본사물의 성격) + 권력적 자본(힘의 성격)이 모두 존재한다.
컴퓨터가 만들어낸 금융 파생 상품의 복잡성, 그리고 시장이 최선의 답을 안다고 믿는 신자유주의적 신앙
자본이란 대체로 다른 재화를 생산하는 목적을 지니는 물질적 재화의 형태를 지니고 있었거든요
봉건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은 본질적으로 명령할 수 있는 힘이 지주에서 자본재를 소유한 이들에게 넘어간 현상이었어요.
이제 우리는 빅테크와 빅 파이내스에게 우리의 데이터 중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 내주어야만 디지털 공유지에서 뭐라도 할 수 있는 처지가 되었습니다.
클라우드 자본은 임금노동과 무관하게 스스로를 재상산할 수 있어요....
거의 모든 인류에게 클라우드 자본의 재생산에 기여하라고 명령할 수 있거든요. 그것도 공짜로 말이예요!
빅테크는 수십억 명의 사용자들이 공짜로 제공하는 노동에 크게 기대고 있는거죠...
수십억 명의 평범한 우리가 자발적으로 클라우드 농노로 변해 아무런 보상도 없이 클라우드 자본의 소유주를 위해 자본의 재상산에 우리의 노동력을 바치고 있다는 것. 이것이야말로 클라우드 자본이 이룩한 진짜 혁명인 것이죠.
지대는 비옥한 토지나 화석 연료를 매장하고 있는 땅 등, 공급이 고정된 무언가에 대한 독점의 접근권에서 나와요
이윤이 세계 경제의 윤활유 역할을 빼앗기고 있다는 점이 점점 더 분명해 보입니다.
대신 그 자리를 클라우드 지대가 차지해가고 있죠.
클라우드 영주들이 추구하는 건 상품을 팔아서 이익을 극대화하는 게 아니라, 그렇게 경쟁하는 자본가들로부터 최대한의 지대를 얻어 내는 것이란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중국의 클라우드 금융과 디지털 중앙 화폐가 임계점을 넘어 버린다면, 미국이 지대추구형 자본주의 국가로서 누리고 있던 전례없는 권력은 흔들릴 수밖에 없었죠.
(자본주의의 순환 과정)
ㅇ 자본주의의 주요 연료로서의 이윤과 사적 대출
ㅇ 가치의 탈중앙화된 분배 기구로서의 시장
[ 자평 ] (과장된 면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분명히 깊게 몇 번 다시 생각해 볼 만한 주제를 던지는 책...특히 살아갈 날보다 밥법이를 더 해야 할 것 같아 (불안한) 직딩들은 반드시 읽어 보고 고민해 봐야 할 것 같다. 이렇게 될 것 같으니까...
비슷한 주제를 이해해 보기 위해 비슷한 시기에 두 권을 책을 병렬로 읽었다.
'테크노퓨달리즘'
부제는 (클라우드와 알고리즘을 앞세운 새로운 지배 계급의 탄생) Techno-Feudalism이란 책이다.
야니스 바루파키스 (Yanis Varoufakis)라는 그리스 (전) 재무부 장관이자 진보 경제학자라 하며 국제 풀뿌리 운동인 DiEM25 공동 설립자라 한다. 주로 자본주의의 폐해와 모순에 대한 글과 강연을 하시는 것 같다. 이 책말고 국내에도 두 권의책이 번역되어 있지만 같은 '딸에게 들려주는 경제 이야기'의 같은 판이다.
다른 한권의 책은 <자본 없는 자본주의 리부트>란 책이다.
조너선 해스컬 (Jonathan Haskel)이란 영국의 경제학 교수이자 잉글랜드은행 통화정책위원회의 외부위원인 분의 책이다. 정통 경제학자로 주로 생산성, 혁신, 무형 투자 및 성장에 관한 책을 쓰시고 강연을 하신다고 한다.
일반이라면 테크노퓨달리즘이 (은퇴 후 에도 찾아 올 수 있는 비참한 상황의) 미래를 예견하는 책이라 유용할 것 같다.
경제학 전공자나 경제 정책 관련 종사자나 투자자들은 <자본없는 자본주의 리부트>가 더 낫겠다.
'평행우주 속의 경영 > 질적 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없는 자본주의 리부트 by 조나선 헤스켈 (4) | 2024.10.06 |
---|---|
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by 박주용 (0) | 2024.08.25 |
스트래티직 씽킹 by 마이클 왓킨스 (0) | 2024.08.17 |
300% 강한 영업 by 황창환 (0) | 2024.07.14 |
로저 마틴의 14가지 경영 키워드 by 로저 마틴 (1) | 2024.06.07 |
- Total
- Today
- Yesterday
- 돈
- 상대성이론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파괴적 혁신
- 플랫폼의 시대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혁신
- 사회물리학
- 고도를 기다리며
- 최진석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Ai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양자역학
- 경계의 종말
- 부정성 편향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불교
- 이노베이션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직감하는 양자역학
- 경영혁신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인공지능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스케일의 법칙
- 안나 카레니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