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05년 개봉했다고 하는데 누군가의 추천으로 이제서야 보게 되었다.
남자 주인공은 베피 페퍼(Barry Pepper, 1970년~), 여자 주인공은 아나벨라 피가턱(Annabella Piugattuk,1982년~)이 맡았다. 특히 여자주인공 배역이 알래스카주, 그린란드, 캐나다 북부와 시베리아 극동에 사는 에스키모족 원주민을 일컫는 '이뉴잇'이라고 하는데 정말 그 출신인지 궁금했다. 위키피디아에 'Canadian Inuit actress'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영화에서 하는 말은 정말 에스키모족의 언어일 것 같다.
설원에서 펼치지는 아름다운 화면과 인간애를 느낄 수 있는 영화였다.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


에스키모 소녀의 말에 따르면 '죽음의 신'은 달 속에 산다고 한다..
달빛에 비친 소녀의 모습은 죽음을 넘어선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



오한에 떨고 각혈을 하는 소녀.... 그를 돌보는 남자...
문명화된 도구가 아무것도 없는 설원이라면, 인간의 아픔은 인간의 품으로 부등켜 안는 수밖에 뭐가 있겠는가.......
----------------------------------------------------------------------------------




대사가 없어도 화면이 말해주는 자연의 아름다움
-------------------------------------------------------------------------------


너무나 멋진 장면..
새하얀 설원에서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을 선에서 선으로 만나는 장면.....
너무나 멋진 장면이다...
-----------------------------------------------------------------------------------

이게 실화인지? 소설인지? 궁금하여 찾아 보았다.
이 영화는 캐나다 영화이다. 팔리 모왓 (Farley Mowat)은 캐나다가 사랑하는 자연주의 작가라고 한다.
책들을 훑어 보니 가장 유명한 책은 <울지 않는 늑대>인 것 같다.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센던스, Transcendence , 2014년 (0) | 2021.04.22 |
---|---|
매스커레이드 호텔, Masquerade Hotel , 2019년 (0) | 2021.04.21 |
고백, Confessions, 2011년 (0) | 2021.04.18 |
귀주 이야기, The Story Of Qiu Ju , 1994년 (0) | 2021.04.17 |
시티 라이트, City Lights , 1931년 (0) | 2021.04.11 |
- Total
- Today
- Yesterday
- 경영혁신
- 파괴적 혁신
- 개념
- 프레임워크
- 샤룩 칸
- 혁신
- 사고의 본질
- 고도를 기다리며
- Ai
- 부정성 편향
- 이노베이션
- 최진석
- 불교
- 형식 지정 기법
- 인공지능
- 지식의 정의
- 생각
- 안나 카레니나
- 게티어
- 직감하는 양자역학
- MECE
- 돈
- 상대성이론
- 게티어 문제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인식론
- 지식론
- 사회물리학
- 양자역학
- 도파민의 배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