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1994년 개봉한 장예모/장이모우(Zhang Yimou, 1950 ~ )감독, 공리(Gong Li, 1965년~)주연 영화...
1992년 베니스국제제영화제에서 황금사자장, 공리가 여우주연상을 타면서 유명해 졌다고 한다.

상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공리가 주연한 영화라는 것이 중요하다.

내게는 정말 중요한 화두를 던져 주었던 영화다.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 자본주의 사회로 넘어 가면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조직은 어떤 관점에서 갈등을 보고, 어떤 방식으로 해결을 해야 하는가?

농경, 산업, 자본, 곧 온다는 인공지능사회까지 합치면
우리는 이 모든 사회를 경험하는 첫 세대가 될 수도 있다.

이런 지점을 뚫어서 보고....장예모는 냉철한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어떤 관점에서 어떻게 해결을 해야 하는가?"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



이 방향 하나만 일관되게 견지하는 '귀주'를 보고 나는 리더의 강인함, 민초의 강인함을 보았다.
돈이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 해법인 사람과 vs 사람이 문제가 아니라 돈이 해법인 조직
------------------------------------------------------------------------------------------------------


그렇다. 권력은 두려움을 무기로 협박하고, 자본은 그저 돈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권력과 자본은 사람을 달래지 않는다.
--------------------------------------------------------------------------------

그렇다. 권력과 자본은 늘 이런 말을 한다.
"별 것 아닌 것을..... 한 발 양보하면 해결되는 것을...뭘 그렇게 까지.."
자본과 권력을 조직적으로 타협적이려 한다....이런 저런 모든 사람들을 문제를 어찌 속속들이 다 들어주고 달래겠는가?
다 같이 살기 위해 네가/당신이/우리가 조금 물러나면 된다.....많은 사람을 불편하게 하지 말자고...
---------------------------------------------------------------------

그렇다....여관 주인은 핵심을 찔러 준다..
당신의 문제는 당신을 제외한 누구든, 모두에게는 하찮은 문제다.
나에게, 그 사람에게, 우리에게 당신은 문제를 당신이 생각하는 문제보다 더 매우 하찮다.
아니 정확하게 표현하면 그렇게 하찮게 여기는 나, 그 사람, 우리 사회가 되어 가고 있다.
---------------------------------------------------------------------------------------

싸움이 오래되면 같은 편끼리 내분이 일어난다.
작용에 반작용하는 의지와 힘이 다들 다르기 때문이다.....
귀주는 아주 소박한 차원에서 일관적이다.....그 사과 그것이 뭐라고...그리....
그 녀는 처음부터 끝까지 '사과'라는 아주 단순하고 간단하며 인간적인 공감과 타협을 목적으로 한다....
그 녀만이 끝까지 일관된 인간이다.
----------------------------------------------------------------------------------------

시장 자본주의든, 국가 자본주의든 사람이 모이고 조직이 생기면 이런 일을 어쩔 수 없이 생기는 것 같다.
그래....누가 누구편이 되는지는 세상을 살다보면 알게 된다.
그런 추정이 매우 틀리는 사회....아니 모두가 그 기준을 알게 되는 사회는...매우 썩은 사회이거나 매우 정의로운 사회일 것이다.. 그걸 가끔 틀리게 만드는 사람이나 조직은 개혁가이거나 반혁자일 것이다.
-----------------------------------------------------------------------------------------

가장 기억에 남는 멋진 장면이다. 돈을 거부하고 던져 버리는 귀주....
왜 각자가 가장 쉬운 해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맞닿아 있지 못하는가?
귀주는 그저 한 마디 사과를 하면 끝날 것이라 말한다. 촌장은 그저 돈만 받으면 끝날 것이라 말한다.
각 자가 제시한 해법은 상대방이 그냥 받아주면 바로 끝나는 것이다.....
제시된 해법이 문제가 아니라 서로가 문제를 어느 관점에서 보고 있는가가 해법이 서로 닿지 않는 이유인 것 같다.
귀주는 해법의 당사자가 인간과 인간이기를 바라는 것 같고, 촌장의 해법의 당사가가 인간과 돈이기를 바라는 것 같다.
-----------------------------------------------------------------------------

'쓸데없는 일 하지 마라'
모든 변화와 혁신을 추구했던 사람들이 가장 많이 들었던 말 중에 하나일 것 같다.
-------------------------------------------------------------------------------------

귀주의 질문이자, 감독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영화의 핵심적 질문인 것 같다..
왜 조직은/시스템은 개인에게 사과를 하지 않는가?
------------------------------------------------------------------------------------------

귀주는 결국 알게 된다..
조직이 시스템이, 자본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를........상대방이 해결하는 관점과 방식을 이해하게 된다.
----------------------------------------------------------------------------------------------------

귀주가 생각하는 해결의 관점과 모습은 이러했던 것 같다.
사람과 사람의 부대낌을 통한 해결.....만남서 선물과 마음과 음식을 나누는 해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