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읽은 책들

심리학 개론 by 신 응섭 외

비즈붓다 2025. 3. 26. 19:59
728x90

 

[ 밑줄/연결 ]

 

(사고)

 

학습이나 기억에 관련한 사고 과정...

생각한다(넓은 의미)... vs  '사고'는 문제해결, 추론이과 같은 좀 더 좁은 의미

 

1) 사고의 본질

 

생각을 구성하는 요소....생각의 궁극적인 요소

 

(1) 심상으로서의 사고.. --> 잘못

 

인간이 경험하는 대부분의 내용을은 심상으로 남아 있다.

"대문자 N을 90도 회전하면 어떤 문자가 되는가?" 라는 문제....

 

의식 속에 대상화되어 남아 있는 것이 사물이 심상

 

어떤 것을 사고하면 그것이 심상으로 나타나고 그 심상을 여러 가지로 조작하여 직면한 문제를 해결한다. 

 

사고과정이 없다면 반응에 대한 시행착오를 되풀이 할 수 밖에 없다. 

 

 

(2) 근육활동으로서의 사고..---> 잘못

 

Watson의 주장..

사고란 다른 행동과 마찬가지고 일종의 근육활동이라고 주장하고, 특히 혀와 후두의 아주 작은 근육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Smith(1949년)의 반론....사고는 뇌에서 생성되고 언어는 사고를 표현할 뿐이지 사고와 언어활동이 같은 것이 아님을 보여 줌

 

 

(3) 증추활동으로서의 사고..

 

사고의 기초가 되는 중추과정.....

 

주로 언어라는 상징에 의하여 부호화되어 기억 속에 저장된 관념적인 수준의 것....

 

 

관념들은 다시 사고작용에 의해 개념(concept)을 형성하며, 언어상징은 이렇게 형성된 개념을 대리한다.

개념은 관념과는 달리 직접 경험한 것 자체가 아니며 관념을 토대로 하여 사고의 결과로 얻어진 것이 된다.

따라서,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사고과정을 이해한다는 것이 된다.

예를 들어, 초가집, 기와집, 아파트 등에서 얻든 관념의 공통 특성이 모신 것이 '집'이란 개념이다.

 

최근에 와서 사고의 요소는 심리적 특성 중의 하나인 관념적 구조라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종합해 보면 인간 사고는 심상, 관념, 개념들을 토대로 하여 진행되며 언어상징에 의해 대리되는 관념 및 개념이 기본 소재가 되는 것 같다. 

 

 

---------------------------------------

2) 사고의 종류

 

문제해결과정을 이해하면 사람들에게 문제해결의 방법을 성공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는 것

 

(1) 문제해결사고..

 

문제의 구조 분석.

 

잘 정의된 문제는 문제의 최초상태와 최종상태가 명백한 경우  = 도달해야 할 목표의 기준이 명시되고, 해결책에 필요한 정보가 문제의 진술에 잘 세분화되어 있다. 

 

문제해결의 단계

 

문제 정의 --> 문제해결의 책략 세우기 --> 계획된 책략을 실행하는 단계 --> 목표를 향한 진도의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문제해결의 책략

 

넓은 수준에서 계획은 연산방식(algorithm)과 발견적 방식(heuristics)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차이는 계획이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것을 보증하냐의 여부에 있다.

알고리짐은 문제해결자가 그 방법의 작용을 모르더라도 특정문제를 항상 해결하는 방법

(일련의 규칙ㅇ으로써 그것만 따라 간다면 자동으로 정확한 해결책을 보게 된다.)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 요인

 

기능적 고착화....

 

인공지능

 

컴퓨터의 입력, 저장, 계산 및 인출이 인간의 기억과정 및 문제해결, 사고과정과 유사한점이 있음...

 

인간의 사고과정을 컴퓨터에 프로그램시키려는 컴퓨터 모형화(computer simulation)을 시도...

 

 

(2) 창조적 사고..

 

 

(3)  논리적 사고..

 

연역적 사고(추론)

 

 

 

[ 자평 ]

 

너무 오래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