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읽은 책들

'지식' 용어, 개념 정의

비즈붓다 2025. 3. 22. 11:34
728x90

(심리학 사전 by 양돈규)

 

지식(knowledge)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알고 있거나 이해하고 있는 정보

 

지식기반(knowledge base)

어떤 특정 현상이나 문제 또는 주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 또는 정보.

특정한 현상, 문제 또는 주제에 대한 지식 기반은 그러한 것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자료로 활용된다.

 

지식론(epistemology)

지식의 기원, 본질, 구조,과정 및 방법 등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인식론이라고도 한다.

지식론이라는 표현보다는 인식론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지식론( knowledge acquisition)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습득하는 것. 구체적으로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를 기억 체계(특히 장기 기억) 속에 저장하는 인지 과정을 의미한다. '지식 획득'이라고도 한다. 

 

지식론( knowledge representation)

외부에 존재하는 대상(사람, 물체, 사건이나 현상)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마음속에 존재하는 심적 형태의 내용

----------------------------------------------------

(세계철학대사전, 고려출판사)

 

지식(knowledge)

일반적으로 사물에 대해서 개념적으로 명확한 의식. 단순한 일상이나 막연한 기억은 지식이 아니다.

엄밀히 말하면 객관적인 인식내용, 인식에 의해 획득된 결과가 지식이다.

따라서 독단이나 공상은 지식이라 할 수 없다.

 

논리적으로 조직된 체계화된 지식, 혹은 그와 같은 지식의 탐구는 과학이라 불리운다. 

 

인식은 인간이 사회적 실천에 있어서 객관적 실재를 반영하는 과정으로서, 인식과정은 감정적 단계와 이성적 단계라는 두 단계를 통한다. 먼저 객관적 실재가 감각에 반영되어 의식되고, 이어 사유에 있어서 판단/추론에 의하여 객관적 실재의 본질 및 내적 연관이 반영된다. 그리고 객관적 실재가 바르게 반영된 인식내용이 참된 지식 즉 진리이고, 바르게 반영되지 않은 지식은 오류 혹은 허위이다.

 

참된 지식의 원천은 인간의 감각에 반영되는 물질에 있는 것이다.

표상, 개념, 범주는 그 자체로는 역사적, 사회적으로 얻어져서 축적된 것이며, 인간이 다시 감각을 통해서 인식하는 경우의 전제가 된다. 

 

지식은 인간의 인식과정에 있어서 언제나 모르는 것에서 아는 것으로, 불완적한 표면적 지식에서 본질적/다면적인 지식으로 발전하는 것으로서, 모든 지식은 지와 부지라는 대립의 통일이며, 상대적인 것이다.

 

----> 1992년에 고려출판사 편집주가 펴낸 책이라 한다. 느낌상 일본책을 그저 번역한 것이 아닌가 싶다.

 

------------------------------------------

(철학사전 by 엘리자베스 클레망)

 

지식(knowledge)

 

일상어/철학 : 주어진 영역에서의 정확하고 견고한 인식들의 집합

 

유사어: 인식, 과학

반대어: 믿음, 무지

관련어: 인식, 증명, 증거, 이성, 진리

 

지식은 인식보다 더 큰 외연을 가진다.

인식이 정확히 정의된 대상들에 대한 앎을 뜻한다면, 지식은 특정한 영역에서 형성된 정보의 조직된 전체(과학적 지식),  또는 특정한 능력을 함양해 주는 정보나 행위의 터득(실천적 지식)을 뜻한다.

 

지식은 합리적인 인식으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감각적인 인식, 관찰, 경험은 지식 형성에 크게 기여한다. 

 

거의 모든 철학자들은 지식의 본성, 가능성의 조건, 그 상이한 형태들에 관심을 가진다(현상학)

 

-----------------------------

(철학사전 by 정 영도)

 

지(knowledge)

 

일반적으로 그 무엇에 대한 연구 또는 인식을 통해서 알고 있는 내용을 뜻한다.

 

그 무엇에 대한 객관적 인식, 즉 존재자의 맥락, 본질, 근거에 대한 명료한 인식을 뜻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