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변화를 지니치게 강조한 나머지 탈진(burn-out), 변화로 인한 피로(change fatigue), 과로(overwork), 자신감 상실, 냉소주의 등의 현상이 만연한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내 경험이 그렇다. 회사는 탄탄한데 정권때 마다 CEO와 임원이 바뀌니 이런 현상이 나온다.---> 변화 저항, 변화 피로에 대해 내가 기억하는 책은... 아직까지도 많은 비즈니스 리더들은 '어느 목표에 도달해야 하는지 안다면 거기까지 가기 위한 경로를 짠 후 일을 시작하면 된다'는 단순한 논리를 변화 관리에도 적용하고 있다. 아이디어와 전략만 훌륭하다면 누구나 당연히 그 생각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믿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변화 방법 선택) 첫 번째 단계는 변화 목표를 달성하는 여러..

[ 밑줄/연결 ] 경영자의 가치관을 공유하라.리더란 "직원을 시켜서 경영자의 생각을 실현하는 사람"이라고.. ---> 이렇게 CEO의 생각, 방향, 전략, 계획, 지시 등이 cascading되어 (번역되고, 재해석되어)야 하는데....대부분 설사하듯이 그냥 내려온다. 무슨 말인지, 뭘 하라는 것인지 모르고 단어만 반복된다.---> 내 경험 상 대표적인 기억이 '국민기업'이었다. '기업'도 국가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의 하나이다. 경제적 주체이고, 그런데 국민 기업은 또 무슨 소리인지? 있지도 않은 개념을, 되지도 않은 정의로, 뭘 하자는 생각없이, 자기 위로와 만족만으로 만든 조어.. 리더의 일은 네 가지이다.'업무 관리'와 '인재 관리'가 두 개의 기둥 인재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 별스럽지 않..

[ 밑줄/연결 ] (02.왜 하필 1인 제조인가?) 늘어난 평균수명과 줄어드는 국민연금 수령액을 고려하면 우리는 최소한 70세까지 일을 해야만 한다. 도대체 어디에서 70세까지 일할 수 있을까? 나는 그 기회를 1인 제조, 즉 귀농이 아닌 귀공(歸工)에서 찾고 싶다. 제조물은 공급에 필요한 시간적-지역적 제약이 적기 때문이다.농수산물은 시간 내 처리하지 않으면 부패하거나 변질되어 가치가 급락하는 품목은 집중적으로 인력을 투입해야 하므로 1인 기업에 부적절하다.....사간적 여유를 가지고 혼자 생산, 검수, 납품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04. 1인 기업이 최적의 솔루션인 이유) 큰 블록 한 개는 작은 블록 몇 개가 합쳐져 대체될 수 있지만, 작은 블록은 큰 블록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때문..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식론
- 돈
- 부정성 편향
- 안나 카레니나
- 개념
- 양자역학
- 지식론
- 고도를 기다리며
- 지식의 구조화
- 생각
- Ai
- 최진석
- 샤룩 칸
- 형식 지정 기법
- 사고의 본질
- 경영혁신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게티어 문제
- 인공지능
- 게티어
- 이노베이션
- 지식의 정의
- 후감각
- 상대성이론
- 불교
- 프레임워크
- MECE
- 사회물리학
- 혁신
- 파괴적 혁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