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blog.kakaocdn.net/dn/djf4h4/btq4Xf0ynHa/rUEsXKjKknoNdlRf1cFZH0/img.jpg)
1999년 제작된 다르덴 감독(Jean Pierre Dardenne, 1951년~ ) 작품이다.
이 영화에서 처음이자 유일하게 본 '에밀리 드켄(Emilie Dequenne, 1981년~)'이라는 여배우의 영화라고 봐도 될 듯...
스토리도 없고 감동 포인트도 없고 기/승/전/결도 없고 영웅도 없다...
이런 영화는 이성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감성으로 느껴 보는 것이다.
그렇다고 그 흔한 감성코드나 감성팔이도 없다.
이 감독이 왜 명감독으로 평가되는지 알겠다.
세상의 모습을 어떤 해석도 없이 그져 보여 주는 것에 이 만한 내공이 있는 사람이 흔하지 않을 듯 하다....
세상은 그저 그렇게 있으며 해석은 우리 각자가 하는 것이다....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
----------------------------------------------------------
![](https://blog.kakaocdn.net/dn/bUOOFC/btq4XaSF1pY/Ttkck6LgQ7D5JyA6edXE3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vkUsi/btq4ZfE3nq0/ko4MJbWHyrL7uhNHS5TNW1/img.png)
딸을 연못에 던져 버리고 가버리는 알코올 중독자 엄마....
연못은 진흙뻘이다......주인공은 자기 인생에 대해 얘기한다...."진흙은 뿐이라..."
---------------------------------------------------------------------------
![](https://blog.kakaocdn.net/dn/lV1rn/btq4VMLxri7/Ke14YC7IEbsG9fa9sMVgT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lMp06/btq4YiI9JAU/NdRGMRD6A2uQGBCLWVT5J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Q3V8Y/btq40RRs7z3/9opu8Sz8ojL21Xh0nbgzb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pQEbE/btq4ZSiEECp/yAASWnrDR49i7vJ2TPzqQ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VKISN/btq4VMkvRCt/KFezECduN8Quz7OIdhjkD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eNUls/btq4Ytw0XyE/IChBF5MarfdKf8PmVhgHe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nzfN1/btq4YOnoCRb/QxrRHKtXsvj8q6kkLP34o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fOUJJ/btq4X6PA7sX/BtkcxxNkSUx88ywyKb2T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RZR9T/btq4YJ7As4x/kMEJRNGc2CzBNgK4pr3FA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rXRad/btq4VCbeSUH/HPO6F1V5LudwIV0s16WoTk/img.png)
기가막한 장면과 대사다....
이 영화에는 이 소녀와 마음을 터놓고 얘기하는 인물이 없다. 유일하게 자신과 이야기하는 이 장면 뿐이다.
사이먼 & 가펑클의 'The Sound of Silence'가 생각나는 장면이다....
이렇게 참혹하게 슬픈 장면을 한 사람의 얼굴과 몇 마디 대사로 건조하게 큰 슬픔으로 전달할 수 있다니...
----------------------------------------------------------------------------
![](https://blog.kakaocdn.net/dn/DMvky/btq4YtcG0E6/eLMxTDxwRudOhDWYPnlsg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YVeib/btq4XcCYkmY/6eqte3D2uxAoR0FKsrnruk/img.png)
참혹하게 감동적이고 슬픈 장면...
빼앗긴 일을 유지하고 싶어 자신이 하던 일을 들고 도망칠 수 없는 도망을 하는 소녀.....
나도 일을 하고 있지만, 얼마나 절실하게 저런 일을 부여 잡고 울어 봤을까?
우리에게 일이란 무엇인가?
-------------------------------------------------------------------------
![](https://blog.kakaocdn.net/dn/PLFZw/btq4XEZ5v6t/wNKNpiVOsiBTw0NUnBgPi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mMf9F/btq4Y6BujcY/mk2c3IeoOsm7mSc3J80mi1/img.png)
감독이 내 놓은 결말의 힌트는 무엇일까?
두 손을 마주 잡고 함께 짜는 빨래....넘어 졌을 때 일으켜 주는 마주 잡은 손??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우보이의 노래, The Ballad of Buster Scruggs , 2018년 (0) | 2021.05.22 |
---|---|
위험한 패밀리, The Family, 2013년 (0) | 2021.05.16 |
러브 인 더 클라우즈, Head in the Clouds , 2004년 (0) | 2021.05.09 |
5일의 마중, Coming Home, 2014년 (0) | 2021.05.05 |
돌핀 테일,Dolphin Tale, 2014년 (0) | 2021.05.0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이노베이션
- 부정성 편향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혁신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경영혁신
- 양자역학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Ai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안나 카레니나
- 사회물리학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최진석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돈
- 플랫폼의 시대
- 파괴적 혁신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불교
- 스케일의 법칙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인공지능
- 고도를 기다리며
- 상대성이론
- 경계의 종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