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밑줄 ]
애니메이션을 매끄럽게 표현하려면 프레임 속도가 최소 24FPS이상이어야 한다. 24FPS는 극장에서 필림을 사용하는 속도다. 즉 1초짜리 애니메이션을 만들려면 24장의 이미지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폴리곤
게임에서 3D 오브젝트를 표현하는 주된 방법은 폴리곤, 삼각형을 사용해서 3D 오브젝트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왜 삼각형일까? 단 세 개의 버텍스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다각형이기 때문이다. 버텍스란 다각형의 모퉁이에 있는 꼭짓점을 말한다....
삼각형을 사용하면 모든 3D 오브젝트를 빈틈이나 기타 변형 없이 쪽매 맞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충돌확인
- 두 오브젝트의 충돌을 처리해야 하는 게임이라면 일종의 충돌 확인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한다.
- 두 구체의 중심 사이 거리가 두 구체의 반지름을 합한 길이보다 짧으면 두 구체가 교체했다는 뜻이다.
[ 자평 ]
개발자가 아니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만 보았다.
수학과 물리가 이렇게 쓰이는구나~~ 라는 것을 체감하게 되었다.
(함수, 선형대수, 행렬, 기하학, 선운동역학 등 )
'읽은 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C미래 예측 보고서 by 미국 국가정보위원회 (0) | 2020.09.01 |
---|---|
핀테크 by 강창호, 이정훈 (0) | 2020.08.30 |
가상 현실이 어떻게 가능할까? by 로돌프 즐랭 (0) | 2020.08.30 |
전염의 시대를 생각한다 by 파올로 조르다노 (0) | 2020.08.25 |
메가트렌드 코리아 by 강홍렬 외 (0) | 2020.08.24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최진석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Ai
- 인공지능
- 상대성이론
- 양자역학
- 고도를 기다리며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스케일의 법칙
- 이노베이션
- 혁신
- 사회물리학
- 경계의 종말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경영혁신
- 돈
- 안나 카레니나
- 플랫폼의 시대
- 부정성 편향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불교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파괴적 혁신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