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밑줄/연결 ]

 

Neisser의 정의

"인지심리학이란 감각정보를 변형하고, 단순화하며, 정교화하고, 저장하고,인출하고 활용하는 등의 모든 정신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정보의 저장과 인출은 기억과정에 해당한다.

 

 

(정보처리 접근법)

 

인지심리학을 흔히 인간 정보처리론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인지심리학자들이 인지를 공부할 때 정보처리 접근법을 따르기 때문이다.

 

정보처리 접근법에서는 정보의 습득, 저장, 인출 및 활용이 여러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고 가정하고, 이들 각 단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시간에 순서에 따라 배열

 

화살표가 양쪽 인 것은 정보의 흐름은 양방으로 진행되기 때문

 

형태 인식 단계에서 자극의 형태가 인식되기 위해서는 그 형태에 관한 정보가 장기기억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감각 기억, Sensory store)

분석되지 않은 감각정보를 원래 그대로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보관하는 기억

자극이 사라진 후에 그 자극을 추가로 분석할 기회를 제공함

 

시각의 경우, 정보가 감각기관에 유지되는 시간은 약 1/4초(250msec)밖에 되지 않지만, 특정 시각 자극 시간인 5msec 에 비하면 아주 긴 시간

 

감각기관에 저장된 정보의 정체를 형태 인식(pattern recognition) 단계에서 밝혀내지 못하면....소멸됨

 

 

(형태 인식, pattern recognition)

'인식'이란 제시된 자극의 모양을 기초로 그 자극을 '고양이'라는 동물, 'ㄹ'이라는 문자,'사랑'이라는 단어 등으로 분류한다는 뜻...

 

형태 인식은 기억 속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짐

형태 인식은 자극의 정체가 확인되는 지각의 단계

 

 

(여과기, filter)

지각 정보 중 주의집중을 받은 것은 인식되는 반면, 나머지 정보는 인식되지 않는데, 이 나머지 정보를 걸러내는 일에 관여하는 주의의 한 부분.

 

동시에 마주하게 되는 많은 자극형태 중에서 어느 것이 인식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

이 여과기로 작용하는 것이 주의

 

또는 여러 형태 중 소수만 기억하고 나머지는 즉시 망각한다는 주장되 있는데, 이 경우 기억될 형태를 선별하는 것이 주의라는 주장도 있음

 

주의가 여과 단계 뿐 아니라 선별 단계(selection stage에도 나타나 있다.

여과기는 한 번에 인식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제한하고, 선별 단계는 기억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제한한다.

 

선별 단계: 형태 인식 단계 바로 다음 단계로 어떤 정보가 기억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단기 기억, short-term memory, STM)

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그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내용이 20~30초 밖에 보관되지 않는 기억.

전화를 거는 동안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일에 이용

보관할 수 있는 정보의 양(capacity: 최대용량)과 그 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시간(duration, 지속시간)은 한정되어 있다.

대부분의 성인은 단위수(digit: 0부터 9까지) 7개 정도는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장기 기억, long-term memory, LTM)

용량에 한계가 없고, 그 내용이 수 분에서 평생토록 보존되는 기억

정보를 장기기억에 보관할 수 있는 양은 거의 무한하며, 장기기억의 정보가 망각되는 일은 있다고 하더라도 서서히 일어남

 

 

(상향처리, bottom-up processing)

정보의 흐림이 감각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진행되는 과정....정보의 흐

 

반대로 장기기억에서 감각기억쪽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하향처리(top-down processing)라 함.

 

 

 

단기기억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정보를 유지하고 조직하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으로서의 역할임을 반영

 

점화(촉발, priming) : 사전 정보의 활용에 의해 자극의 재인 또는 탐지가 촉진되는 것

 

학습은 정보가 STM에서 LTM으로 전이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식의 표상과 조직)

 

(속성 비교 모형)

특정 개념의 속성을 범주의 속성과 맞추어봄으로써 그 개념을 분류한다고 주장하는 모형

범주에 해당하는 개념과 구성원에 해당하는 개념의 속성이 비교된다고 가정

'제비'의 속성과 '새'의 속성이 비교된다. 

 

(위계적 조직 모형)

의미 연결망에서 명시된 위계적 관계를 기초로 개념이 범주화(분류)된다고 주장하는 모형

범주에 관한 정보가 결합(association)을 통해 직접 기억에 저장된다고 가정

제비는 새와 결합되어 있고, 새는 동물과 결합되어 있다....

 

 

연결망 속의 각 단어는 지침(화살표)과 함께 저장되어 있다.

이 지침은 그 단어가 다른 단어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보여준다. 

 

지침(pointer)는 속성이 위계의 각 수준에서 어떻게 저장되어 있는지도 보여 준다.

'먹는다' 혹은 '숨을 쉰다'와 같이, 모든 동물에 속하는 속성은 가장 높은 수준에 저장되어 있다.

 

연결망 모형의 한 가지 장점은 정보 저장이 경제적이라는 점.....반복 저장될 필요가 없다...

 

경제성에는 비용이 든다. 카나리아는 먹는다는 사실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두 번의 추론이 필요...

카다리아는 새다....새는 동물이다. 

어떤 수준에 저장되어 있는 속성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위계 속에서 적절한 위치를 찾아가야 한다.

 

 

[ 자평 ]  익숙하지 않은 분야의 지식을 습득하는 최고의 방법은....교과서를 보는 것.... 

 

대학 심리학과에서 보는 교재 중 하나인 것 같다.

2025년 현재 9판까지 번역된 것을 보니, 꽤 읽히나 보다. 내가 본 것은 7판이고 필요한 부분만 봤었다.

 

이번에 자료를 정리할 것이 있어 재독한다.

2010년에 전공이 아닌 분야에 특정 영역을 알고 싶어서 봤다. 왜 기본 교과서를 보는지 감동했던 기억이 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