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밑줄/연결 ]

 

(채권의 평균수익률)

채권의 수익률 =  채권 금리BBB-라는 등급까지가 공식적으로 투자하기 적당한(안전한) 신용등급아래 표처럼 구분에 표시된 기간 동안 투자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채권의 수익률(=금리)...

한국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의견등록 입력이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 확인 후 회신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ww.kisrating.com

 

 

장내채권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채권의 경우 주식과 마찬가지로 한국예탁결제원이라는 공공기관에 상장(등록)되어 거래된다.

 

(채권의 위험 : 금리 위험)

채권은 기본적으로 고정적인 금리를 가지고 있음따라서 기준금리가 상승할 경우 채권에서 고정적으로 지급되고 있는 금리에 대한 매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듦이는 수요 감소로 이어져 채권시장에서의 가격이 이론적으로 하락하게 됨

 

금리 상승기에는 채권의 가격이 내려감. 다만 채권의 가격이 내려간다고 하더라도 상환일까지 채권을 가져간다면 투자수익률에는 아무런 영향이 발생하지 않음

 

다만,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의 변동은 잔여 상환일이 많이 남은 채권일수록 민감하며, 잔여 상환일이 3년 이하로 남은 채권은 가격 변동의 영향이 덜함.

 

우리가 투자하는 회사채의 만기는 대부분 1~3년이기 때문에 금리 변동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거나 아예 받지 않는다는 것이 채권 가격 변동의 또 다른 이론적 진실이다.

 

인플레이션이 심화되어 금리 인상 기조가 예상된다면 --> 상환일이 짧게 남은 채권 위주로 투자 or 현금보유 비중 증대

경제 불황이 심화되어 금이 인하 기조가 예상된다면 --> 상환일이 길게 남은 채권 위주로 투자

 

채권 직접투자에서는 내가 매수할 채권의 정확한 확정수익률을 산출할 줄 아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세전운용수익률 : 은행에서 활용하는 예금 금리와 동일한 영역. 해당 채권을 해당하는 가격으로 매수했을 때 상환일까지 받을 수 있는 수익률이 '1년 단위'로 계산되어 표시됨

 

선별한 종목에서

ㅇ 은행의 예금금리와 동일한 영역인 '세전준용수익률'의 수익률이 마음에 든다면

ㅇ 해당 채권을 투자했을 때 투자한 투자금액(액면금액)이 상환되는 '만기일자'의  일자가 괜찮다면

매수 검토를 진행

 

'세전운용수익률'은 해당 종목에 부도가 나지 않는 이상 채권 차격의 하락과 상승에 상관없이 확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확정수익률임

 

KRX정보데이터시스템을 통한 상장채권 발행 정보 검색

통계 - KRX | 정보데이터시스템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신용평가회사가 아닌  KIS채권평가, 나이스피앤아이, 한국자산평가 등의 채권평가회사들은 채권의 가격을 매일매일 평가하고 있는데 그 평가된 가격을 평균 낸 것이 바로 민평가이다.

 

장외채권

증권사는 채권 청약에 참여하거나 대규모 채권 거래를 통해 '도매가'로 채권을 사들여 이런 장외채권 서비스에서 '소매가'로 판매한다.

 

 

[ 자평 ]  편집에 좀...

 

채권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다룬 책과 달리 실제  HTS를 통해 구매하는 방법/절차를 보여 주는 방식으로 차별화를 도모하신 듯 하다.

 

다만 책에서 예시를 든 HTS가 한국투자증권인데 책 줄간시점이 2023년 5월 이라, 2024년 11월 기준으로 보면 UI가 많이 달라 졌다. 따라서 화면을 보면서 따라하기 식으로 해보면서 이해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HTS를 따라 해보면서 설명을 붙여서 이해시키는 핵심적인 스토리 전략이 UI가 바뀜에 따라 반감된 것  같다.

 

그 동안 채권에 대한 책을 꽤 읽었는데 이런 이유로 김형호교수가 설명과 엑셀 중심으로 책을 쓰는 똑똑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본을 지키면서  (상대적으로 적게 판갈이를 하면서) 책을 개정할 수 있는 것이다.

 

김형호교수의 책이 내용도 더 훌륭하지만 편집 방식도 더 똑똑한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