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1954년에서 1962년 사이, 9년간 프랑스 식민통치에 대항한 알제리민족해방전선(FNL, Font de Lib ration Nationale/)의 무장 독립투쟁과 프랑스군의 정치적 폭력행위 등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재구성한 영화
영화 음악에 엔니오 모리꼬네(Ennio Morricone, 1928 ~2020년)가 눈에 띄었다.
배경 정보를 좀 찾아 봤다.
"영화는 네오리얼리즘(2차 대전 이후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포착하고자 했던 운동)의 거장 질로 폰테코르보 감독이 기록영화를 찍듯 강렬하고 사실적으로 담아낸 불후의 걸작이다. 거친 질감의 흑백 화면 속에서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알제리 민중들의 분노에 찬 눈동자가 빛난다.
하지만 감독은 FNL을 영웅적으로 묘사하지는 않는다. 프랑스 군대의 잔혹함뿐만 아니라 FNL의 숙청, 여성이나 아이를 이용한 보복 폭탄테러 또한 여과 없이 같은 시각으로 투영해냈다.
왜 이 영화가 ‘가장 위대한 정치영화’로 불리는가에 대한 대답은 이런 리얼리즘 속에서 찾을 수 있다. 당시 프랑스 당국은 고문 사실 자체를 부정하며 5년간 국내 상영을 금지했다. 1966년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작. 엔니오 모리코네의 음악도 훌륭하다."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
--------------------------------------------------
아이들이 어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장면..
돌아보면 나도 어릴 때 아이들이 정의(??)란 이름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영화에, 여성이 정의(??)라는 이름으로 폭력을 행하는 영화가 열광했던 적이 있었다. 멍청하고 잔인했던 것이다.
호소자(Young Dragons, 1986년), 예스 마담(Yes, Madam, 1985년)
--------------------------------------------------
복수를 위한 암살, 복수를 위한 고문, 암살, 고문이 되풀이 되는 악순환의 멤돌이
-----------------------------------------------------
인간이 인간에 대해서, 인간을 위해 흘리는 눈물
-----------------------------------------------------
인간이 인간에게 베푸는 가장 옹졸하고 잔인한 선택지...
------------------------------------------------------------
역사상 아마 가장 길었을 30초 설정...
--------------------------------------------------------------
안타까운 새 신부의 눈물 한 방울..
------------------------------------------------------
진짜 영상인지, 영화적 영상인지 헷갈리는 군중 집회..
---------------------------------------------------
독립,,,자존심,,,자유
-------------------------------------------
대한민국도 비슷한 역사가 있기에 (추정하여) 이해가 되는 아픔
----------------------------------------------
찾아 볼 수 밖에 없게 만드는 엔딩
사디 야세프(Saadi Yacef, 1928 ~2021)
도심 테러의 지휘자인 알제자치지구 NLF 게릴라 사령관이었고, 영화 시나리오의 원작인 '알제전투 회고록(Souvenirs de la Bataille d’Alger)’을 쓴 작가였고, 감독을 섭외하고 제작비를 댄 영화 제작자였고, 직접 출연까지 해서 자신(El-Haadi Jaffar역)을 연기한 배우였다. 다시 말해 그는 해방전쟁의 분수령이 된 56~57년의 알제 테러의 주역이자 영화의 숨은 주역이었다.
2007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열린 영화 재개봉 행사에 참여한 야세프는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게릴라 작전 중 바지에 오줌을 싼 적도 있었지만(…) 그 시절이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시절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리고 사형수로 독방에 갇혀 지내면서도 “죽는 건 전혀 두렵지 않았다"고, "다만 단두대 앞에서 두려움에 넋이 나가 ‘알제리여 영원하라’고 당당히 외칠 수 없게 될까 봐 두려웠을 뿐이었다”고 말했다.
"네오리얼리즘 거장 폰테코르보는 뉴스 화면을 편집한 것 같은 흑백 다큐 기법으로 저 영화를 촬영했고, 출연진도 단 한 명을 뺀 전원을 일반 시민과 여행자로 채웠다."
20세기 무슬림 테러의 논쟁적 첫 장을 열다 (hankookilbo.com)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광의 날, Blades of Glory, 2007년 (1) | 2023.06.06 |
---|---|
당나귀 발타자르, Au hasard Balthazar , 1966년 (0) | 2023.06.04 |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North By Northwest, 1959년 (0) | 2023.05.29 |
풍운대전, God of War, 2017년 (0) | 2023.05.28 |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Cleo From 5 To 7, 1962년 (1) | 2023.05.28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상대성이론
- 경계의 종말
- 불교
- 경영혁신
- 사회물리학
- 파괴적 혁신
-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 돈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스케일의 법칙
- 양자역학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혁신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인공지능
- 이노베이션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부정성 편향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최진석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Ai
- 안나 카레니나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플랫폼의 시대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고도를 기다리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