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설적인 무성 배우 시대의 코메디 배우인 버스터 키튼( Buster Keaton, 본명은 Joseph Frank Keaton, 1895 ~ 1966년)의 무성 영화의 명작.
이 분의 작품 중에서 평론가들이 높이 평가하는 영화는 <셜록 주니어(셜록 2세)/1924년>, <제너럴/1926년> ,<카메라맨/ 1928년> 이렇게 세 편 정도인 것 같다.
대체로의 평을 보니
ㅇ <셜록 주니어/1924년>는 키튼의 코미디 영화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파격적인 편집과 특수효과를 사용해서 이전까지는 볼 수 없었던 장면들을 연출한 영화
ㅇ <제너럴/1926년>은 그의 작품들 가운데 최고 걸작(傑作)이라는 평가를 받는 작품
이 영화는 1926년 개봉 당시에는 흥행에 실패하였고 이 실패가 키튼의 몰락을 불러 왔다고 한다.
(검색을 해 보니)
" 1차 세계 대전에서 실제로 운용된 증기 기관차를 박살내고 500명의 엑스트라를 기용하는 등 75만 달러라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제작비로 제작된 영화였지만 흥행은 제작비의 1/5인 15만 달러에 불과했다."
여자 친구역의 마리온 맥(Joey Marion McCreery, 1902 ~ 1989년) 할머니껫 나오신다.
(2023년 시청기준) 거의 100년 전에 이 영화를 왜 다시 볼 가치가 있다고 하는지, 왜 버스터 커튼을 영화사에 남는 천재라고 하는지 등은 보는 내내 알게 되었다.
키튼이 1960년 아카데미(Academy Awards)에서 코미디 영화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상(Honorary Award)을 수상했고, 같은 해 명예의 전당(Walk of Fame)에 이름을 올렸다고 하던데 그럴만 하다.
기억에 남긴 장면은...
---------------------------------------------------------------------------
마치 아크로바틱 수준의 서커스를 보는 것 같은,
내 세대에는 익숙한 성룡식 코믹 액션의 원조는 이 분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는 장면
----------------------------------------------------------------
담뱃불로 난 구멍, 그를 통해 보는 연인...
참 기발한 설정.....
---------------------------------------------------------------
발 묶음 -> 손 묶임 -> 발 묶임...
탁월한 코메디언은 코메디언인 듯...
---------------------------------------------------------------
1920년대, 무성 영화 시대를 생각하면 블록버스트급인 화면..
투자비 많이 들었다는 것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장면...
--------------------------------------------------------------------------------
깜짝 놀란 장면..
-------------------------------------------------
보는 순간 혹시
1954년 2차 세계대전 당시 역경을 딛고 승리한 미군을 표현한 가장유명한 상징 중 가장 대표적인 것
이오지마(硫黃島) 전투의 성조기 게양이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이 오마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장면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레스크, Burlesque, 2010년 (0) | 2023.02.19 |
---|---|
내일을 향해 쏴라, Butch Cassidy And The Sundance Kid , 1969년 (0) | 2023.02.19 |
선 라이즈, Sunrise: A Song of Two Humans , 1927년 (0) | 2023.02.12 |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Sleepless In Seattle , 1993년 (0) | 2023.02.05 |
잔다르크의 수난, La Passion de Jeanne d`arc The Passion of Joan of Arc , 1928년 (0) | 2023.02.05 |
- Total
- Today
- Yesterday
- 파괴적 혁신
- 최진석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Ai
- 개념
- 지식론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게티어 문제
- 상대성이론
- 안나 카레니나
- 양자역학
- 이노베이션
- 인식론
- 경영혁신
- 스케일의 법칙
- 부정성 편향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혁신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인공지능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샤룩 칸
- 돈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불교
- 사회물리학
- 고도를 기다리며
- 게티어
- 직감하는 양자역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