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밑줄/연결 ]
비즈니스는 가치가 부여된 실체들의 교환이다.
(회의 운영)
ㅇ 일정표를 3일 ~ 1주일 정도 미리 배부
ㅇ 회의 규칙을 정한다. 예를 들어, 한 사람당 발언 시간을 2분으로 제한한다든지, 참석자는 한 사람도 빠짐없이 발언해야한다는 등...
ㅇ 회의 참석자들이 각자 행동으로 옮겨야 할 내용(해야 할 일, 다음 회의)의 개요를 짜고, 각자에게 할당된 과제를 짧게 요약해 반복한다.
ㅇ 회의가 끝나면 회의록 또는 메모를 작성해 곧바로 배부. 회의에서 논의한 주요 논점과 도달한 결론을 기록하고, 의견, 질문, 수정, 부연 설명 등을 요구한다.
딱히 이의를 제기하기 힘든 사명이나 비전은 큰 의미가 없다.
그 문장의 역을 생각해 본다. 문장의 반대 내용이 동의하기 힘든 것이라면, 그 선언문은 별 의미 없는 진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를테면, 어느 대학의 사명 선언문이 "유능하고 생산적인 시민을 배출하고자 한다."라면, 이것은 직원이나 학생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발휘하지 못한다. 이 선언문의 반대, 곧 무능하고 비생산적인 시민을 배출하려는 대학은 세상 어디에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관리자에게 직접 보고하는 직원 수는 8명을 넘지 마라
ㅇ 제조업처럼 노동력을 많이 투입하는 일은 통제 범위가 상당히 넓으며, 건축이나 영화 제작처럼 창조적인 작업은 통제 범위가 단 몇 사람에게 한정될 수 있다.
ㅇ 대부분의 조직에서 통제 범위를 자르는 기준이 되는 직원 수는 6명에서 8명 사이다.
---> 나는 정확하게는 domain에 대한 전문 영역이 있는 Gerneralist여야 한다고 본다.
----> 이 정삼각형의 딜레마를 설명해야 하는 시점이 있었는데, 어디서 봤나 했더니 이 책이었군...
----> 마찬가지로 품질, 비용, 시간도 정삼각형의 세 축을 담당한다. 하나를 느리면 둘은 줄게 되어 있다. 또한 매출도 달성하고 비용도 줄여서 이익도 달성하면서 현금도 만들라는 멍청이도 있다.
---> 관리자, 임원 심지어 CEO가 꼼꼼하게 세밀하게 챙겨야 일이 돌아 간다는 환상에 젖은 멍청이들이 있다.
---> Micro-Management가 조직과 조직원을 망친다는 것은 실증과 이론 모두에서 증명이 된 경영이론 중에 꽤나 타당하고 확실한 쪽에 속하는 이론이다.
[ 자평 ] 훑고 지나가는 정도로만... 휘리릭...
'평행우주 속의 경영 > 질적 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콘밸리의 폐기 경영 by 조영덕 (0) | 2022.12.25 |
---|---|
뺄셈의 리더십 by 김인수 (0) | 2022.12.18 |
비즈니스 내공 9단 by 도로시 레너드 (0) | 2022.12.18 |
디지털 비즈니스 디자인 by 진 W. 로스 외 (0) | 2022.12.09 |
디지털 시대 승리하기 by Nitin Seth (4) | 2022.12.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회물리학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혁신
- 경영혁신
- 최진석
- 플랫폼의 시대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안나 카레니나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이노베이션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양자역학
- 불교
- Ai
- 상대성이론
- 부정성 편향
- 인공지능
- 고도를 기다리며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파괴적 혁신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스케일의 법칙
- 경계의 종말
- 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