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철학자 카를 포퍼 (Karl Popper)는 민주주의를 '다수 국민이 마음을 먹었을 때 정권을 평화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했다. 이처럼 어떤 용어는 사람마다 다양한 해석을 낳기도 한다. 핵심 가치를 체화시키려면 그 단어를 외우는 데 머무르지 않고 핵심 가치에 따라 의사 결정(선택)을 하고 선택한 것을 실행하면서 행동이 몸에 배도록 한다. 여기에는 모범 사례를 모아 꾸준히 보여주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 중요한 것은 핵심 가치에 따라 임원/CEO가 결정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 또한 핵심 가치 성공 모범 사례가 정확하게 그 가치를 설명하고 증거하는 사례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듯한 포장은 금방 탄로가 난다. 직급 체계는 일본식, 보상 방식은 미국식 성과주의,..

[ 밑줄/연결 ] 일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투입(input) --> 활동(activity) --> 산출(output) --> 결과(outcome)로 구분해 볼 때 돌을 쪼는 일이나 환자를 고치는 일은 '활동'수준의 업의 개념이다. 건물을 짓는 일이나 국내 최초 로봇수술 1만 건 달성은 '산출' 수준의 업의 개념이다. 역사에 길이 남을 대성당을 짓는 일이나 500g이하의 초미숙아를 치료함으로써 생명 탄생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은 '결과'수준의 업의 개념이다. 조직문화의 수준이 높고 가치를 지향하는 기업일수록 '활동'수준보다는 '결과'수준의 업의 개념을 도출하고 이를 구성원과 자주 공유한다. '민주주의의 정의'? 어떤 이는 다수결이라고 했고, 어떤 이는 자유, 책임, 공평 등 교과서 같은 답변을 했다.....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사회물리학
- 샤룩 칸
- 파괴적 혁신
- 안나 카레니나
- 지식론
- 고도를 기다리며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인공지능
- Ai
- 돈
- 경영혁신
- 상대성이론
- 최진석
- 게티어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불교
- 지식의 정의
- 스케일의 법칙
- 직감하는 양자역학
- 게티어 문제
- 양자역학
- 혁신
- 부정성 편향
- 인식론
- 이노베이션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개념
- 데브옵스 도입 전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