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blog.kakaocdn.net/dn/0PoKY/btrdqi1YuYU/xSesQAR3rjA2kyi8rBTCR1/img.png)
[ 밑줄/연결 ]
![](https://blog.kakaocdn.net/dn/FMJeW/btrdrmbM0eO/mma5QrvTcrTdGBSfHL0Z4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l42vp/btrdqLQnP8z/qRbyuM9ySpzkyjt0Gg7Rf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imgj8/btrdniu0g2o/XxV6SdHBskcAcZEBwIdlkK/img.png)
관찰은 무언가를 주의 깊게 살펴보는 의도적인 행위로 눈에 띄는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과는 다르다.....관찰은 똑같은 것을 보면서도 의식적으로 신중하게 인식하는 과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yeo2r/btrdpqswFgL/FYcnCDyGyhNNIxeLXt1gS1/img.png)
앞의 그림에서 'Hidden Tiger'를 찾아보라.
----> 신선했지만 예시는 별스럽지 않았다.
---> 이런 게임에 익숙해 지면 이미 뇌는 영어로 써진 문자를 찾는 문제라는 것을 쉽게 안다. 그리고 그것을 찾는다.
---> 저자는 인식과 관찰의 중요성, 관점의 변화를 주장하지만 새로게 얻는 관점도 곧 고정화된다. 그렇다고 늘 변화하고 새로운 관점을 가지라는 것은 뇌와 우리 에너지를 지키게 한다. 우리는 그렇게 하도록 학습되었지만, 늘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진화되지가 않았다.
[ 자평 ] 그저 그런..
'관찰'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책들은 꽤 많고 잘 쓰여진 책도 더러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0vb3s/btrdkKr1bcC/CWwek7kYFwEkVQ7NCqIrj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t3SF/btrdqh9Qn4p/fTaxOvUGGP0Z2u6CpZ2c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8jb7/btrdpL4nBml/70oSrd6CpJ8eKWGW0fZUDK/img.jpg)
특별하게 읽고 나서 건질 것이 없다. 휘리릭 한번 훑고 반납했다.
책에서 제시하는 예시나 사례는 책을 좀 읽어 본 사람들은 매우 친숙한 것이고 주장의 메시지도 뭐 평이하다.
국내 비즈니스 저자들의 한계는 늘 있다. 대체로 세 종류인 것처럼 보인다. .
1) 책을 내면 평타는 하는 사람(기업)에 관한 책.....
그 자신이 깊게 연구한(경험)한 분야가 있고, 그 결과가 극히 흔해야 하며 또한 그 과정과 결과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많거나 관심도가 강해야 한다. 즉, 많은 사람들이나 소수라도 아주 강하게 그것을 욕망하는 사람들이 못 가진 것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대체로 성공했다고 인정이 되는 CEO들, 한 분야의 대가들이 그렇다. 이들은 그 자신이 콘텐츠이기 때문에 쓰면 어느 정도 팔린다. 그들에 대하여 써도 어느 정도 팔린다.
![](https://blog.kakaocdn.net/dn/bYpAx4/btrdr49LZM4/yJ5v7WybkPg8kgJQ8VKOD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BP91/btrdmCN9kRF/4m0nOiWCkYAsYYGv0tDW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1q9Ue/btrdqholgJU/v97skDit1ecErjCHo63P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KY9R/btrdqRbQHr5/a9pq5diKBe7K62jMpvkHXk/img.jpg)
2) 주장의 근거와 사례를 멋지고, 딱 맞고, 신선하고, 재미있고, 신가하고 등 등 인 경우.
잘 못 쓸 경우 중구난방이거나 (난 이런 것도 알고 있다는 식) 여기 저기서 다 본 것들 뿐이다.
국내 대부분의 비즈니스 저서들이 나는 이 경우가 가장 많다고 생각한다.
이를 뛰어 넘으려면 우리 말로 쓰여진 (자체 발굴하거나 번역된) 출처에서 뽑지 않은 다른 언어로 쓰여 진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일본어 등 등) 콘텐츠에서 사례를 가져 오면 된다. 그러나 이 정도로 훑어 보는 사람도 없고 그렇게 한들 돈벌이도 안 될 것 같다. 아래는 이런 컨셉으로 잘 정리하여 베스트셀러가 된 낸 책이라고 생각한다.
![](https://blog.kakaocdn.net/dn/SJpGe/btrdmBPfPir/6xGMLb2FmzbFbQ19Jy13Z1/img.jpg)
3) 사례나 근거가 부실하더라도 탁월한 주장이나 메시지,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으면 된다.
이런 것은 시대적 흐름과 대중의 욕망을 잘 잡아내는 탁월한 감각과 글재주가 있어야 한다. 이것은 또 다른 재능이다.
세스 고딘, 다니얼 팽크, 말콤 그래드웰 이런 작가들이 그렇다고 생각한다.
![](https://blog.kakaocdn.net/dn/x2RdY/btrdo9Y1UVc/bagoNkSN0OA1vwzwTR2TX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GIyHb/btrdrmpiQPH/qJHdYLoBHX3ipq1oDYNMP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6wTIB/btrdprrrwf9/7a7G4zCARanihRKiQ35P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LjtOp/btrdqKKKUIu/kekhkmjnZhlt23hyJNmQ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yzIC/btrdqiVccUO/07B04IKTqn6sBzJM440U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HfBtK/btrdrmQogEV/9IFF8UVU1NMISIL2OoRyr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obc6S/btrdtKQKe64/ptgVFztkgMBCK2nR3hTt10/img.jpg)
'평행우주 속의 경영 > 질적 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든 것 by 마이클 쿠수마노, 데이비드 요피 외 (0) | 2021.09.19 |
---|---|
AI 피보팅 by 김경준, 손진호 (0) | 2021.09.13 |
트렌드 인사이트 2030 by 로렌스 새뮤얼 (0) | 2021.08.17 |
온택트 경영학 by 마르코 이안시티 외 (0) | 2021.08.14 |
휴먼 클라우드 by 매듀 모톨라 (0) | 2021.08.1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직감하는 양자역학
- 경영혁신
- 이노베이션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Ai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돈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사회물리학
- 파괴적 혁신
- 인공지능
- 부정성 편향
- 불교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양자역학
- 경계의 종말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스케일의 법칙
- 플랫폼의 시대
- 안나 카레니나
- 혁신
- 최진석
- 상대성이론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고도를 기다리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