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존 카메론 미첼(John Cameron Mitchell, 1963년 ~)이 감독과 주연을 한 영화다.
특이한 것은 남자인 미첼이 여장성을 지닌 남자로 나오고, 여자인 미라암 쇼어(Miriam Shor, 1971년~)가 남성(헤드욱의 남편)으로 나온다는 것이다.
여튼 사랑에 대한 해석, 그것도 락 음악적 해석으로 이만한 영화가 있었을까 싶다.예전에 봤을 때는 나도 성소수자에 대한 편협한 시각(??)이 있어 거북한 영화였지만 나이 들어 다시 보니 다른 시각의 영화였고, 나도 그 만큼 세월이 흘러 많은 것에 관대하여 진 것 같다.
나는 프레디 머큐리가 죽었을 때도 좀 그렇고 그런 사람이 죽었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있다. 1991년 당시에는 에이즈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는 의미도 있었는지 그의 죽음에 대해 그렇게 긍정적인 헤드라인을 보지는 못한 것 같다.

프레디 머큐리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 것은 바로 2018년에 가장 hot 했던 영화 중 하나 덕분이다.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






빵터진 장면.....원어는 독일어다.....
이 어머니 꽤나 시크하다.....
-----------------------------------------------------------




당연하고, 예수님도 그걸 바라시지 않을까 싶다.
자기를 사랑하는 것만큼 만물을 더 사랑하기를 바라시지 않을까??!!!
-------------------------------------------------------






WoW. 완전히 멋진 해석.....사랑은 무엇을 창조하기 때문에 영원하다...
휘트니 휘스턴의 'I will always love you'를 들으면서 둘이 나누는 대화....
--------------------------------------------------



그러게....우리도 모두 지쳤을 수도 있다...
------------------------------------------------------------------

자기의 트라우마가 된 기억을 부셔버리는 주인공....자신의 여장을 찢어 버리는 주인공....
성정체성 혼란의 극복? 기억의 극복? 트라우마의 극복? 과거의 극복? 자아의 극복?
-------------------------------------------------------







기가 막히게 멋진, 락 음악으로 만든 사랑의 기원에 대한 시같은 노래....
-------------------------------------------
(다른 시선으로 더 배우기)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by 권오섭 외)
존 캐머런 메첼이 각본, 주연을 스티븐 트래스크가 작사, 작곡을 함
---------------------------------------------
(뮤지컬 영화 by 민경원)
이 영화의 원작은 드랙 퀸(여장 남자)전용 바에서 조그맣게 올린 오프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차츰 팬이 생기면서 알려지기 시작해 웨스트 빌리지 극장으로 옮겨 공연하게 된다.
대본을 쓴 미첼이 헤드윅 역을, 음악과 가사를 쓴 트래스크는 극 중 <헤드윅>의 밴드인 앵그리 인치의 리더 스크즈프 역을 맡았고, 트래스크가 이끌던 밴드 치터스가 앵그리 인치 밴드로 출연했다.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경 이야기 ,Tokyo Story ,1953년 (0) | 2021.06.19 |
---|---|
500일의 썸머, Days Of Summer, 2009년 (0) | 2021.06.13 |
찬실이는 복도 많지, 2019년 (0) | 2021.06.06 |
원 데이, One Day, 2012년 (0) | 2021.06.02 |
내일을 위한 시간, Two Days One Night, 2014년 (0) | 2021.05.29 |
- Total
- Today
- Yesterday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부정성 편향
- 돈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상대성이론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인공지능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스케일의 법칙
- 양자역학
- 안나 카레니나
- 불교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최진석
- 혁신
- 경영혁신
- 파괴적 혁신
- Ai
- 플랫폼의 시대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경계의 종말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직감하는 양자역학
- 고도를 기다리며
- 사회물리학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이노베이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