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읽은 이유 ]

 

부제: 유혹하지 않고도 상대의 마음을 움직이는 기술

 

[ 배운 점 ]

 

그저 그런....

 

이 책에서도 사례로 나오다 시피 하는 책인

댄 로암의 '생각을 Show하라'나 '생각을 말하는 사람, 생각을 그리는 사람'이 더 나은 듯.....

 

[ 주요 내용 ]

 

ㅇ 계획하기 -> 아이디어 묶기 -> 프레젠테이션

 

ㅇ 계획하기 : 설명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함

 

- 설명이란 무엇인가?

- 설명을 잘하기 위한 요소는 무엇인가?

- 왜 설명이 실패하는가?

 

ㅇ 설명은 어떤 특정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ㅇ 아이디어 묶기 : 설명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설명을 만드는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ㅇ

 

    - 설명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를 분류하여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

    - 아디이어 분류는 맥락, 스토리, 연결 고리, 서술...

 

큰 그림을 먼저 보고 세부 내용은 나중에 볼 필요가 있었다. 가령 회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업'이라는 큰 그림을 먼저 봐야만 한다. 수학 역시 그 두에 숨은 '논리'를 이해해야만 공식을 적용할 수 있다. 나는 내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내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깨달았다. 그것은 바로 '제대로 된 설명'이었다. 즉 '어떻게'가 아닌 '왜'를 먼저 생각하는 방법이다.

 

ㅇ 설명을 잘 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우리는 사실을 생산하지 않고 존재하는 사실들을 분류하고 정리하며 여기에 정보력과 확신을 불어 넣는다. 그래서 다시 말하면 설명은 창의적인 행동이면서 있는 사실을 유용하고 정보력이 있으며 기억에 남을 만한 아이디어로 바꾸는 행위이다.

 

아이디어란 사람들 앞에 놓인 무언가를 보는 관점이다.

 

통찰력은 눈앞에 놓인 것에 대해 새로운 무엇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 저절로 생기는 것이다.

 

'내가 볼 수 있게 만들어라.' 이는 설명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최상의 결과일 것이다.

 

ㅇ  설명은 사실들을 묶어 분류하는 기술이기도 하지만 '왜?'라는 질문의 답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왜 그렇게 해야만 하는지, 왜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지에 대한 답인 것이다. 설명은 사실이나 법칙, 세부 사항들에 크게 집착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사실이나 법칙, 세부적인 내용들이 왜 말이 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지식의 저주란 사람들이 일단 무언가를 알고 나면 알지 못한다는 게 어떤 느낌인지 상상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이 역시 공감의 문제다. 우리의 지식 수준은 다름 사람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능력과 그들의 이해 단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한다.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의 잣대로 상대방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ㅇ 우리는 무엇을 이미 알고 있을 때 모르는 척하는 것이 어렵다. 우리의 지식이 우리를 '저주'한 것이다. 우리는 다른 이의 심경을 바로 재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하는 데 어려움을 느긴다.

 

ㅇ 의사에서 목수에 이르기까지 모든 직업에는 그들만의 언어가 있다.

 

ㅇ 대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는 '어떻게 다른 사람들이 관심을 갖도록 설명하느냐'에 관한 문제이지 제품의 기능이나 디자인, 아이디어의 좋고 나쁨에 관한 문제가 아니다. 효율적인 설명 방법이 없다면 뻗어나가는 데도 한계가 있다.

 

ㅇ 아이디어를 쉽고 명확하게 설명하고 싶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분류하고 묶기'다. 즉, 아이디어의 큰 줄기를 묶어서 거품 밖에 있는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형태로 설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ㅇ 무엇을 분류하고 묶어야 할까? '분류하고 묶기'는 청중의 입장과 요구에 맞게 아이디어를 소개하는 간단한 과정이다.

 

ㅇ  설명이 '어떻게'와 '왜'를 다룬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다. 먼저 '왜'를 알아야 했고,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어떻게'에 초점을 두게 되었다.

 

ㅇ 기초적인 내용부터 시작하기로 했다.....발표를 초보자 수준으로 조정하여 시작할 수 있었다.

 

ㅇ 대부분의 맥락은 청중들도 동의하는, 논란의 여지가 적은 아이디어로 구성되어 있다. 설명의 시작은 상대방의 동의를 얻어내는 데서 시작한다. 청중이 설명하는 내용에 동의하고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흘러간다고 확신해야 그 설명이 성공한다.

 

ㅇ 일반적인 스토리는 1) 뭔가를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인물이 기본적으로 등장 -> 2) 그 인물은 원하는 것이 없거나 문제가 생겨 절망하고 있는데 -> 3) 어느 날 장애물을 극복하게 되어 결국 성공에 이른다.

 

- 홍길동을 만나보자. 그는 문제가 있고 고민이 있다.

- 홍길동은 해결책을 발견하고 시험해 본다.

- 이제 홍길동은 행복을 느낀다.

- 여러분도 홍길동처럼 행복을 느끼고 싶지 않은가?

 

ㅇ 저울의 왼쪽은 '왜 내가 관심을 가져야 하지?'라는 '왜'에 핵심이 있다. 이는 '맥락'과 '동의'에 해당한다....맥락과 동의는 우리가 풀어야 할 첫 번 째 과제다.

 

ㅇ 사실은 스토리의 '본질'을 제시한다. 스토리는 사실에 '의미'를 부여한다.

 

ㅇ 본질과 의미는 설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우리 대부분은 Fact-telling에만 의존해 Story-telling의 힘을 잊곤 한다. 지나치게 사실에 초점을 둔 나머지 이야기를 하는 도중에 설득력을 잃고 실패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를 적절히 섞으면 사실에 맥락과 의미를 부여하여 청중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

 

우리는 갈등과 인물을 원한다. 그리고 맥락과 해결을 원한다.  시청자는 그들이 느낀 것을 기억한다.....뭔가를 느끼게 해주어 기억할 수 있는 설명을 만들어내는 것이 핵심이다.

 

ㅇ 스토리가 적절하지 않은 상황

 

1) 과정을 설명할 때: 어떤 과정을 거쳐 일을 완수하는 데 초점을 둠. 과정 설명은 대개 2인칭 관점에서 설명할 때 휠씬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2) 스토리가 적절하지 않은 문화에서 설명할 때 : 레시피나 사용설명서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형태....여기서의 질문은 '내가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에서 '내가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가 될 것이다.

 

ㅇ 지식의 저주를 피하는 방법

 

-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다고 추정하지 않는다.

- 가능한 한 가장 기초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 한 발 물러나 넓은 관점에서 주제를 바라본다.

- 세부 사항과 예외를 잊고 핵심에 초점을 둔다.

- 이해하려는 것이 정확히 아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한다.

- 아이디어를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개념에 연결한다.

 

ㅇ 창조하려면 제한하라.....우리가 예상치 못한 힘든 장애물과 조우할 때 우리의 인지적 고리는 느슨해지고 비정상적인 연결 고리들이 무의식 속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ㅇ 기존의 설명에서는 소셜 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많은 기능과 특징들이 소개되지만 '왜 내가 소셜 미디어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없었다. 왜 소셜 미디어가 그렇게 큰 파장을 일으켰는지, 왜 소셜 미디어가 여러분의 인생을 바꿀 것인지 알려주는 설명은 없었다.

 

ㅇ 규칙은 "여러분은 반드시 이런 방법으로 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원칙은 "이런 방법이 효과가 있으며.....기억이 미치는 한 항상 그래왔다"고 말한다....두 가지의 차이점을 잘 알아야 한다.

 

ㅇ 7가지 기존적인 대본의 요소를 순서대로 나열

 

1) 동의 : 논란의 여지가 적은 서술로 설명의 방향에 구조를 잡아 준다.

 

2) 맥락 : 문제 및 불편함과 해결책의 제시

 

   - 명확한 용어로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진짜 문제를 진술

   - 문제가 있으면 불편함이 따르기 마련

   - 미래의 비전, 즉 해결책을 제공할 시점. '만약 ~ 한다면'이란 서술로 시작하여 문제가 해결된 모습을 청중이 상상하게 한다.

 

3) 스토리: "홍길동은 새 제품이 예정대로 출시되지 않아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 X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터널 끝에서 빛을 볼 수 있었다."

 

4) 연결고리 : X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지? Y도 이런 방법으로 작동하지. 굉장히 비슷해.

 

5) 서술 : 홍길동이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이 간단한 과정을 따라 하는 것이다.

 

6) 해결책의 실행: 홍길동은 X로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되리란 것을 알기 때문에 이제 푹 잘 수 있다.

 

7) 행동으로 옮기기 : X가 여러분의 회사를 유지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알고 싶다면 이 웹사이트로 가 보세요

 

 

ㅇ  'C'에 있는 사람은 '왜'에 대한 정보가 더 필요하다. 반면에 'R'에 있는 사람은 '어떻게'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더 필요하다.

 

ㅇ 'A'에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설명을 시작하면 이미 주제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은 한 번 더 확신을 하게 된다. 하지만 'L'에서 시작하는 비용은 매우 크다. 저울 왼쪽에 있는 사람들은 완전히 배제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저울의 'A'에서 시작하는 것이 모든 사람에게 확신을 주는 방법이다.

 

연결 고리는 유사점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미 알고 있는 것에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스토리텔링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접했을 때의 경험을 전개하는 것입니다. 제 경험에서 볼 때 주제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는 연결 고리가 훌륭한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ㅇ 글로 설명할 때의 단점: 독자들은 글을 정독하는 것이 아니라 훑어 본다. 요즘처럼 스마트폰 기기와 영상에 익숙한 세대는 집중하는 시간이 짧아서 글은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특별히 좋은 매체라고 보기 어렵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