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이상하게 이 영화는 감독의 이름, '이와이 순지(lwai Shunji1963년~)'로 기억에 남는다.
'가족'하면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생각나듯이, '감성'하면 이와이 순지가 자동적으로 떠 오른다.

눈과 배우 한 명, 나까야마 미호(Nakayama Miho, 1970년~). 두 힘이 영화를 끝까지 끌어가는 순백의 영화

이 영화를 나는 영화관에서 딱 한 번 보았는데 그 때 이후 '아픈 사랑에 대한 감성'을 생각할 때 첫 손가락에 들어가는, 기억에 지워지지가 않는 명작이 되었다.

잊혀진 아쉬움과 그리움이라는 감성을 어떻게 담아내고 그려낼 수 있는가?를 보여준 명작.
동양적인 방식으로, 선(禪)적인 방식으로 여백을 두어 담아낸 그리움에 대한 명작.

이 영화를 본 이후 내가 이 영화를 볼 당시 나이의 아들이 있는 세월이 지났다. 아직도 이 영화를 생각하면 아래 대사가 들리는 듯 하다.

おげんきですか(お元気ですか)”
“쑥스러워서 이 편지는 차마 보내지 못하겠어요.”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
-------------------------------------------------------------------------

아마 이 영화 덕분에 일본에 눈을 보러 가는 사람들이 많아 졌을 것이다.
순수와 설렘, 그리움과 애절함, 슬픔과 아쉬움이 함께 내리리는 눈과 설원
--------------------------------------------------------------------------------

남녀 뿐이라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의 관계는 고통의 연속이며, 기쁨의 연속이다.
---------------------------------------------------------------------

자기에 대한 사랑을 감지하지 못했던, 못하고 있는 안타까움.
-------------------------------------------------------------------------

감기, 눈, 얼음, 죽음
-----------------------------------------------------------------

아마 일본 영화 중 가장 유명한 장면이고, 일본어 대사 중 가장 유명한 대사가 아닐까 싶다.
누군가, 무언가와 이별해 본 사람들의 마음을 대변해 주는 가장 아름다운 대사가 아닐까 싶다.
이런 마음을, 이런 설정과 이 한 마디로 잡아 낼 수 있는 각본/감독을 다 한 슌지의 감성이 놀랍고 고마울 뿐....
-------------------------------------------------------------------------

가장 안타깝고 애절하고 슬픈 장면
대사 없이 가장 복잡한 감성이 쏟아지는 연필 스케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