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blog.kakaocdn.net/dn/5xaNn/btrjr1zPxAN/yKGVkEQsIXkd4fsQjL9zK0/img.jpg)
[ 밑줄/연결 ]
"사람? 사람이 대체 뭔데? 의식? 육체? 아니면 기억? "
"네가 그 사람인 걸 어떻게 확신하냐고."
"그건..."
진환은 답을 할 수가 없었다. 내가 진찌 석진환이라는 확신? 그의 말처럼 아무런 증거가 없었다. 설마 나는....
초고층 메가빌딩들. 각각의 빌딩이 집약적으로 생활권을 형성해 주거부터 직장까지 모든 삶을 해결할 수 있게 되자 사람들은 더 이상 건물밖으로 나오지 않게 되었다.
"세상에 진정 가치있는 일은 단 한 가지라는 진실을 말예요. 우리가 고민해야 할 유일한 철학적 문제는 오직 죽음뿐이야."
포스트 휴먼(Post-Human)들. 외모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그들에겐 인종도 젠더도 그저 패션 정돌로 여겨지는 듯했다.
"돈으론 저 사람들 못 사, 조금씩 미친 사람들이거든."
"뇌량이라는 부위에 통신 임플란트를 이식하는 건데, 참여한 모든 사람들의 뇌가 하나로 이어져서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돼. 다수의 의식이 다수의 육체를 공유하며 살게 되는 거지"
"의식은 철저하게 개인적인 경험이거든. 측정할 방법도 입증할 방법도 없소."
그래. 기억이야말로 나를 규정하는 진짜 본질이야.
'나'라는 자아. '의식'이라는 이름의 시공연속체(Consciouness Continuum).
(작가의 말)
무릇 작가라는 사람들은 하고 싶은 말이 태산보다 높게 쌓인 사람들이며, 독자라는 사람들은 작가의 깊은 마음을 캐내고 싶어 안달 난 광부들이 아니겠습니까.
---> 1000% 동의한다.
---> 하여 광부같은 독자에게 예의가 있으려면 하고 싶은 말이 태산 같은 사람만 책을 써야 한다. 자기계발로 자기 이름 알리려 , 홍보하려고 책 내는 '직장인 30일 만에 책내기' 같은 쓰레기류는 없어 져야 한다.
다시 철학의 시대가 올 것야, 분명
---> 1000% 희망한다. 생각하는 시대가 좀 와야 한다. 말초적 반응과 오징어 게임만 몰두하는 시대 말고...
세 명의 진환은 자기 동일성(Self-Identity) 문제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입장을 인격으로 형성화한 인물들입니다. 컨티넘은 의식의 연속성, 심리적 계속성을 지지하는 이론들을, 보디는 유전자를 포함한 육체의 물리적 요소를 중시하는 신체동일론을, 메모리는 정보의 보존과 동일성을 중시하는 기억이론을 상징하지요.
---> 훌륭하고 감동적이다.
--->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SF소설 버전
![](https://blog.kakaocdn.net/dn/cn3Ya5/btrjlP8urqT/dSfCTie7AlWiWYrtAN37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bBrx/btrjxc8pmuz/CRpqf81stMLwe82EypsY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MkEp/btrjlpIYKIN/0XPiGBz2g4mSnaGKsTyk0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mHTq/btrjoQFwJGE/ZC1wS70TrzzgZbK2KHvv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rYhh/btrjr26xYc4/XrsG2B6286uYmlTmKzRS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T9M4v/btrjlPgiIrW/akTSzD3BcBs6gkpKEhWK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8sVv/btrjvSWEXfp/6OPCKcx4E7EH3GTjMthMW0/img.jpg)
[ 자평 ] 진짜 일어 날 것 같고, 안 일어나도 꼭 생각해 봐야 할 문제를 제시한다. 잘 썼다. 고맙다.
전작에서 내공을 봤기 때문에 호감도가 생긴 상태에서 읽은 SF소설
![](https://blog.kakaocdn.net/dn/XlLSs/btrjmVG5EkI/toG9ZXKoq45a0fVvEVd1l0/img.jpg)
'읽은 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킨 인 더 게임 by 나심 탈레브 (0) | 2022.02.19 |
---|---|
백년 동안의 고독 by G. 마르케스 (0) | 2022.02.13 |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by 홋타 슈고 (0) | 2021.10.30 |
과학방법 by 김명석 (0) | 2021.10.30 |
돈, 피, 혁명 by 조지 쿠퍼 (0) | 2021.10.02 |
- Total
- Today
- Yesterday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돈
- Ai
- 경영혁신
- 부정성 편향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인공지능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최진석
- 스케일의 법칙
- 불교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경계의 종말
- 고도를 기다리며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상대성이론
- 안나 카레니나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사회물리학
- 이노베이션
- 혁신
- 플랫폼의 시대
- 양자역학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파괴적 혁신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