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지식의 퇴화화 인플레이션) '인식의 진보'라는 말은 과연 타당한가? 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발표된 총 학술 논문의 수는 천만 편 이상에 이르고, 현재는 해마다 약 3만여 종의 학술 잡지에 60만편의 논문이 실린다고 한다.(Rescher, 1982년)....정보의 홍수... '오로지 현재에만 집착하는 시대'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지식과 출판물이 무한대로 생산되는 상황에서는 극히 짧은 시간 동안만 번쩍하다가 이내 잊혀져 버리는 것들이 허다하다.두 번째 문제는 이제 누구도 학술서의 일부를 읽고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에 있다....오늘날에는 지식의 퇴화뿐 아니라 지식의 인플레이션이라는 말까지 심심찮게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진정한 진보란 학문의 인식의 발전과 함께 이성과 지혜, 도덕과 책..

[ 밑줄/연결 ] (들어가며_마침내 초지능의 시대가 열렸는가) 일반적인 설명은 LLM이 단지 통계적인 단어 예측을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용자가 제공한 맥락을 고려해 다음에 나올 가능성이 가장 큰 단어를 선택한다. 하지만 이는 지나치게 단순화된 설명이며.... 사용자의 언어로 편리하게 표현되는 이들의 답변은 엄청난 개인적 지식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된 인류 경험의 많은 부분에서 비롯된다. 생성형 AI는 카메라나 마이크 같은 실제 세계의 기기로부터 직접 학습해 인간이 만든 콘텐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것이다. 생성형 AI는 언젠가, 아마도 머지않아 내부 동작을 스스로 점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동안 뇌를 시각화하는 것과 비슷한 이 능력은 이들이 자신의 설계 사항을..

[ 밑줄/연결 ] (서론: 지성의 진화) 진화론이 나온 지 한참 된 1996년 시점에 미국 철학자 다니엘 데닛(Daniel Dennett)은 다윈의 진화 개념을 '사상 최고의 아이디어'라고 평가했다.----> 예전에 번역본이 있었던 것 같은데, 아닌가? 이게 2025년 3월 나왔다. 성공하고 진보하려면 세계는 열려 있어야 한고, 끊임없이 수정 가능해야 하며, 편견에 물들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해서 과학은 지적인 힘과 함께 도덕적 권위도 갖게 된다. 제 1부: 프로이트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 새로운 세기의 감성 (1. 동요의 서막) 플랑크는 이 작은 다발을 우주의 토대를 이루는 그 이상 나눌 수 없는 기본요소라고 보았다. 말하자면 복사의 '원자'인 셈인데 플랑크는 이를 '양자(Quantum)'라고 ..
- Total
- Today
- Yesterday
- 게티어
- 불교
- 돈
- 지식론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사회물리학
- 고도를 기다리며
- 파괴적 혁신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부정성 편향
- 이노베이션
- 양자역학
- 스케일의 법칙
- 인식론
- 게티어 문제
- 경영혁신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안나 카레니나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상대성이론
- 인공지능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샤룩 칸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최진석
- 혁신
- Ai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