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네델란드의 물리학자 헤라르뒤스 엇호프트(Gerard't Hooft)가 처음으로 제시한 홀로그램 가설(holographic principle). 1993년 그는, 3차원으로 보이는 공간영역 속에 담겨 있는 모든 정보는 그 공간영역의 2차원 경계면에 담긴 홀로그램 정보로 대신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21세기의 첨단과학도 정보야말로 물질, 에너지, 공간, 시간보다도 더 근본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기 시작하고 있다. (1부: 완벽한 우주 만들기) 근본적으로, 양자이론에는 시간의 개념이 없다. 그리고 상대성이론의 시공과 중력은 양자화되어 있지 않다. 클로드 섀넌(Claud Shannon), 기체 에너지의 엔트로피를 열역학적으로 기술하는 수학공식과 한 계의 정보량을 기술하는 수학공식은 ..
과학
2021. 9. 22. 09:4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i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직감하는 양자역학
- 고도를 기다리며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샤룩 칸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불교
- 부정성 편향
- 상대성이론
- 인식론
- 게티어 문제
- 혁신
- 개념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사회물리학
- 파괴적 혁신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최진석
- 경영혁신
- 스케일의 법칙
- 게티어
- 지식론
- 양자역학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인공지능
- 돈
- 안나 카레니나
- 이노베이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