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blog.kakaocdn.net/dn/bHZZhg/btqSZwmmYe7/iSiWdDaLRKlmKx1ZH9oTMk/img.jpg)
1917년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일어난 성모 마리아 환시 사건은 워낙 유명한 일이라 책으로도 몇 권 있기는 하지만 거의 절판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zV6TL/btqS6XQuRQo/XwAKapWxMjPkx3K0WEc3I1/img.jpg)
영화는 세 명의 아역들과 루시아 모니즈 (Lucia Moniz) (love actually에 조연으로 나온 배우)가 살려 냈다...
![](https://blog.kakaocdn.net/dn/BOhbU/btqS3aQDoIy/ivsgkN2U16ph8gn6YnkwT1/img.jpg)
기독교나 카톨릭교도가 아닌 내가 기억한 장면은....
![](https://blog.kakaocdn.net/dn/bsFqvM/btqS4Ngke9H/tDgItbDEAlwX7xsU8cRKNk/img.png)
--> 이 소녀의 모습에서 나는 <엘비라마디간, 1972년 >의 피아 디거마크(Pia Degermark), <로미오와 줄리엣, 1978년>의 올리비아 핫세(Olivia Hussey), <테스, 1980년>의 나스탸샤 킨스키(Nastassja Kinski)를 보는 듯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uzSDW/btqSXks89jD/9fjONgWHp3LLuT9AXDNlZ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xaD9i/btqS4M2NVTn/KZRi3VjsMfyIdsFEHZJUJ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WJae/btqSZwfH5dX/IjWDJYcI1oWGDLr9FoxX3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Km6he/btqS1VTH6K6/g5Yuwz71GpINAq5aO7zsT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Mxe6w/btqS9YIoYLB/RKC6dKHfkFYQaH44qyli51/img.png)
신을 믿거나 믿지 않거나.....가장 많이 하고 싶은 말.....
"어디에 계십니까?"
![](https://blog.kakaocdn.net/dn/bapvpD/btqSXjntjbR/ZU2idj7Zi4Z1K0Vpj64Q1K/img.png)
종교인과 과학자의 차이...
이해할 수 없는 극한에 다다르면 믿는다 -> 종교
이해할 수 없는 극한을 믿지 않는다. -> 과학
![](https://blog.kakaocdn.net/dn/buVfA2/btqS90GbeHT/ARyxIGAk1Mm7KsvFfWbHp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avGj6/btqS1UN5C3k/kKJZv2C1701gbK1dKPGym1/img.png)
다른 곳에서도 많이 인용되는 아인슈타인 할배의 말...(이 분 과학자인지? 철학자인지? 사상가인지? )
![](https://blog.kakaocdn.net/dn/MMG0C/btqS9ZAwv90/GMSKk362L8JgmhyaQRUDf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6nJ1t/btqS1Wrw3N0/eZwQdtmd6nBVBcy5KH3eh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rtRIB/btqS6XJLly3/9RJ4watVHMKHjYmZHuJKqK/img.png)
1917년 실제 촬영된 영상인 듯...
![](https://blog.kakaocdn.net/dn/PRGm1/btqS6XpuqUz/3F3EAyACJ2DlJg1Ln793U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KOMmT/btqS3awjKkV/NCnjOZcfQJXJVJGDsN5LNK/img.png)
실제 주인공 모습들..
![](https://blog.kakaocdn.net/dn/cEF5GE/btqTcQXBOHq/3E6AzdJk29GM0PKWvxr5v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NYei1/btqS3a39Qjr/GyxisSSdP1IXbhcLfEd2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41e55/btqSX8zksd3/kWyO0SatqFKD4cakqPl6TK/img.png)
기적인지? 아이들의 상상인지? 카톨릭 교회의 조작인지? 나는 관심이 없다...
아인슈타인 할배 말처럼 매일 기적을 본다고 생각하면
매사가 기적인 것이다....
아니라고 생각하면 인간의 집단적 믿음이 발생시킨 자기확증편향일 수도 있겠다..
다만 각각의 주장과 근거를 함 읽어 볼 필요는 있겠다..
인터넷을 뒤지다가 조작이라는 주장의 글을 봐서... 남긴다..
(< 파티마의 마리아 예언 >은 교황청의 조작극이었다 : 네이버 카페 (naver.com))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터널 선샤인 / Ex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 2004년 (0) | 2021.01.17 |
---|---|
프라하의 봄 /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 1989년 (0) | 2021.01.10 |
땡큐 포 스모킹, Thank you for smoking , 2005년 (0) | 2021.01.09 |
내 이름은 둘러마이트, Dolemite Is My Name , 2020년 (0) | 2021.01.08 |
굿 라이어 , The Good Liar , 2019년 (0) | 2021.01.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스케일의 법칙
- 안나 카레니나
- 최진석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고도를 기다리며
- 혁신
- 플랫폼의 시대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불교
- 경영혁신
- 이노베이션
- 직감하는 양자역학
- Ai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파괴적 혁신
- 양자역학
- 경계의 종말
- 돈
- 사회물리학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부정성 편향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상대성이론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인공지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