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밑줄/연결 ]

 

(지식이란 무엇인가?)

 

지식과 정보를, '어떻게 아는 것'과 '어떤 것을 아는 것'을, 명백한 것과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편의상 '정보'는 상대적으로 '날것'이고 구체적이며 실용적이 것을 가리킬 것이고,

'지식'이라는 말은 '익힌 것'을, 사고 과정을 거쳐 가공되거나 체계화된 것을 뜻한다.

 

지식을 정교화하고 분류하는 것의 중요성....

 

지식은 누적적....지혜는 누적적이지 않으며...

 

지식 폭발: 근대 초 유럽에서, 인쇄술의 발명이나 지리상이 대발견, 과학혁명의 연쇄작용으로..

 

비언어적 행위들도(건축이나 요리, 천 짜기, 치료, 수렵, 토양 경작 따위도) 지식의 정의 안에 포함할 것

 

에스파냐의 인문학자 후안 루이스 비베스..."소농들이나 수공인들이 저 많은 철학자들보다 자연을 더 잘 안다." 

 

용도를 기준으로 삼는 것....사회학자 귀르비츠는 일곱가지 유형의 지식을 구별: 지각적, 사회적, 일상적, 기술적, 정치적, 과학적, 철학적 지식

 

 

(제2장. 유럽의 지식인들)

 

인쇄술, 일자리를 만들다

 

인쇄술의 발명이 가져온 한 가지 중요한 결과는 학자들에게 열려 있는 직업상의 기회들이 넓어지는 것이었다.교정쇄를 교정하거나 색인을 달았고, 번역을 하거나, 인쇄-출판업자한테서 의뢰를 받아 아예 새로 책을 쓰기도..

 

베네치아에서는 16세기 중반에 인문학 교육을 받은 일단의 문필가들이 펜으로 생계를 이어 가고 있었는데...

 

 

(제5장. 지식의 분류: 커리큘럼, 도서관, 백과사전)

 

"인간 사고의 범주들은 결코 어떤 한 일정한 형태로 교정할 수 없는데, 이 범주들이 끊임없이 만들어졌다 무너지고 다시 만들어지기 때문으로서, 즉 범주들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변하는 것이다. ' 뒤르켐

 

 

(제7장. 지식의 판매: 시장과 인쇄술)

 

"지식은 신의 선물이다. 따라서 팔릴  수 없다." - 중세 격언

 

"배움은 그 자체로 장사다. " - 존슨 -

 

"종교의 자유니 양심의 자유니 하는 말들은 지식 영역 안에서 자유 경쟁이 갖는 지배력을 표현하는 것일 따름이다." - 마르크스

 

인쇄술과 지식의 상품화

 

시장에서 팔리는 상품들의 가격 목록이 정기적으로 인쇄돼서 배포.

 

인쇄술이 모든 종류 지식의 상업화를 재촉진했다..

 

사업가들을 지식을 퍼뜨리는 과정, 곧 '계몽 사업'에 더 바싹 끌어당겼다..

 

책과 잡지는 다른 책이나 잡지들의 광고를 많이 실었다. 

 

주요 출판 중심지였던 세 도시  : 16세기 베네치아, 17세기 암스테르담, 18세기 런던

 

 

베네치아, 16세기

 

15세기에는 베네치아에서 유럽 다른 어느 도시보다 많은 책이 인쇄됐다 (대략 4500종었으니, 200만 권쯤이 됐다는 의미)

 

저자에게 저작권을 내주는 것..

 

이윤을 겨냥한 지식의 생산, 18세기 '소비자 사회'의 출현

 

 

(제8장. 지식의 획득: 지식 소비자들)

 

"지식은 두 종류가 있다. 우리가 직접 어떤 주제를 알거나, 아니면 우리가 이 주제에 관한 정보를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알거나.' 

- 존슨 - 

 

 

(제9장. 정보의 신뢰성)

 

"지식은 두 종류가 있다. 우리가 직접 어떤 주제를 알거나, 아니면 우리가 이 주제에 관한 정보를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알거나.' 

- 존슨 - 

 

피론의 부활

 

그리스 철학자 엘스스의 피론...'피론주의'

현상들을 넘어서서 지식에 이르렀다는 모든 주장에 대해 판단을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

 

편파성, 곧 이해관계 또는 '편향'이라는 문제는 17세기에 나온 역사 서술 관련 저작들에서 주요하게 다룬 주제들 가운데 하나

 

자연철학, 특히 17세기....

현상계 너무 세계의 (예를 들어 원자 세계의) 발견과 그 뒤로 이어진 이 세계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들...

 

존 로크..<인간의 이해력에 관한 시론>(1690년))...'지식과 견해'에 관해 다루면서

"우리의 정신적 능력은 물체들의 내부 구조와 진정한 본질들까지 파고들어 가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

 

수학적 접근 방법

 

데카르트의 <방법 서설>(1637년)...최소한의 공리들로부터 자신의 지적 체계를 연역해 낸 것....

기하학적 접근 방법에 대한 열광....

 

라이프니츠의...일종의 보편수학이 있어서 서로 생각이 다른 철학자들이 같이 앉아 사실을 계산해 낼 수 있게 되기를 분명히 바랐다.

이 목적을 달성할 수단은 '보편 언어' 또는 '사고의 자모(alphabetum cognitionum)'을 고안해 내는 것...

 

경험주의의 출현

 

경험주의 또는 귀납법이 보편적 접근 방법....

언명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이유는 오로지 네 가지 뿐 :  감정, 권위, 이성, 감각-지각

 

[ 자평 ]

 

원제목은 '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I' (2000년)

 

제1권 ‘구텐베르크에서 디드로까지’ 특히 이동하는 인쇄술이 발명된 1450년경에서 시작해 당대에 모을 수 있는 정보의 총화였던, 드니 디드로의 『백과전서』가 출판되기 시작한 1750년경까지를 다룬다.

 

주요 내용은 지식인 집단의 등장, 대학 등의 기관에서 일어난 혁신, 교회와 국가의 통제, 지식의 상업화, 지식의 신뢰성 문제 등을 다룬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