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blog.kakaocdn.net/dn/caBxfg/btsHLxuEX5k/HwbQX78UTp82tFyzWaIK1k/img.webp)
베를린 천사의 시(Wings Of Desire , 1987년)로 유명한 빔 벤더스(Wim Wenders, 1945년 ~) 감독의 1984년 칸 영화제 황금 종려상 수상작품
장르는 로드무비로 분류되며, 빔 벤더스 감독은 로드무비의 거장이라 일컬어 진다고 한다.
해리 딘 스탠튼(Harry Dean Stanton, 1926 ~ 2017년)과 나스타샤 킨스키(Nastassja Kinski, 1961년 ~)부부로 나오는데, 딱 봐도 아버지와 딸 정도의 나이가 아닐까 싶었는데, 이 영화 촬영당시 이미 57세셨다고 한다.
나스타샤 킨스키는 <테스, Tess, 1979년 > 그 자체로 내게는 기억되는 배우다.
![](https://blog.kakaocdn.net/dn/uSdqQ/btsHMAc0BaS/OiR0lN8FFop1afqssqTna1/img.jpg)
내게는 단순함. 영화의 색깜. 음악..
그리고 인간 끼리의 근원적 소통의 부재/불가능을 말해주는 영화로 기억될 것 같다.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
-----------------------------------------------
![](https://blog.kakaocdn.net/dn/sgVV0/btsHLgNqeJO/eVGrvObgMj0a2ocRhta3X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ObV2/btsHKa1Fq5h/TrR4hU83gEQZziU6YkRkn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xeht/btsHKLAkpEd/kfTkHquWmtzpBLZREKNR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Fo7bo/btsHKnmgV7w/bOO7hV0FVd1a1AfBTcn9zk/img.png)
미래. 인생. 삶을 말하고 있는 것 같은....
허무함과 불안함...
------------------------------------------------------
![](https://blog.kakaocdn.net/dn/wrTuC/btsHMvplPpP/7RjcdMRtHRgOCBVIi2OAG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9b2I9/btsHMAxj0Ve/L6DFRfIKvmmDkEfrsd7oB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5bXxr/btsHMvJDlYk/Ymwnwo5uaJyJBizRDQfVx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fYdo1/btsHLr2opAJ/SEaYz11dFlkmi4NpKoKeI0/img.png)
이 생에, 이 삶에 피투된 우리를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시대와 공간, 환경에 대한 어떠한 동의와 선택도 없이 던져진 우리..
-------------------------------------------------------------
![](https://blog.kakaocdn.net/dn/cM03Lg/btsHMAD4Ne7/dd3ORc67Kb750aifKkNf2K/img.png)
색깜이 정말 이쁜 영화
------------------------------------------------------------
![](https://blog.kakaocdn.net/dn/Mlmv2/btsHLPu2R3w/uyHp3vGjLXtQH7qX8sxwM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mV2ow/btsHKR796sC/GDo9IZbvECn9Ode2MOgyq0/img.png)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Like Father, Like Son, 2013년>의 아버지와 아들이 각 자의 길을 걷다가 만나는 장면은 이 영화에서 뻬낀 것이 아닐까?
![](https://blog.kakaocdn.net/dn/bkjTTm/btsHKFmCLjN/eik1PnCurluITmRpCUX4pk/img.png)
----------------------------------------------------------------------------------------
![](https://blog.kakaocdn.net/dn/bvtpN4/btsHLcEqLPi/RAf5hMUbwI3DSzbURKbsj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tQ867/btsHKMzb26k/zdyJC7E0iKhiVPn63NBEh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mVlv/btsHKlB7G1v/fvkKjgceDEYnj149EWkrZk/img.png)
삶은 기억될 수 있어도, 소통되기는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는 멋진 장면
우리가 대화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타인이 아닌, 자신이 자신과의 대화일 뿐인지도 모르겠다...
------------------------------------------------------
![](https://blog.kakaocdn.net/dn/cavzii/btsHLafwEYk/kHH8rK6MgOMSkfUJiOA0E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w1jVU/btsHKR799cR/5BKH3kDoCPv0QwEhwFGJ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dPLAh/btsHKJJe69z/cYk3r6OrD7HEpe6k1FrcuK/img.png)
나스타샤 킨스키가 연기력도 상당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던 장면
--------------------------------------------
![](https://blog.kakaocdn.net/dn/d9EAkv/btsHKF1fJyT/MQzLquJjXBKmG0PLQ7g411/img.png)
연출과 촬영의 천재성이라고 본다..
상대방의 얼굴에 비친 나의 얼굴로 전체를 완성해 주는 shot
----------------------------------------------------------
![](https://blog.kakaocdn.net/dn/bKUUTB/btsHLtsmWI1/o9ax8PwHO92tpCKy4tZXe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GQp17/btsHL3T8y1Q/EHC0zSeLiaCAwM2YBTVZz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oDKry/btsHKRG9xTI/JCJQLv0GF4vsoorouQPj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PxMqj/btsHMxHsuXT/Hzxf1VNkJNUaYOWkXVUeNk/img.png)
아이를 키우는 사람으로서, 이 대화 칼릴 지브란의 <아이들에 대하여>가 생각나는 대사였다.
"아이들은 그대들을 통해서 왔지만, 그대들로부터 온 것이 아닙니다.
"아이들은 그대들과 함게 있지만, 그대들의 소유가 아닙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YITB/btsHKNSfgH5/ZeAoB8h3en3287CmEfMgwK/img.jpg)
-------------------------------------------
![](https://blog.kakaocdn.net/dn/ckMhXV/btsHMzkSDYp/C6e8JnSdeynZdKIWJJX8P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Kser/btsHKL1mQJO/wlegmpq9c6SVJnUUhLwpDk/img.png)
......알 것 같다.....
왜 대하기가 싫은지....
----------------------------------------------------------
![](https://blog.kakaocdn.net/dn/wnJi2/btsHLheucj3/Tkiqptu12jICJd1LIQtoo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vHT9U/btsHLtMGAyf/qHGO0XRCkTja9o5rMNBX8K/img.png)
결국 이 두 부부가 소유한 것은...
황량한 텍스에 있는 파리라는 땅이 아닌.....
두 사람의 사랑의 순간에 맺어진 인연과 기억인 것인지도 모른다.
--------------------------------------------------------------------------
(세계 명작 영화 100선 by 이 일범)
20세기 후반부 미국 최고의 극작가이며 배우기기도 한 샘 셰퍼드가 쓴 <모텔 연대기>을 토대로 로드무비의 거장인 독일 출신 빔 벤더스(<베를린 천사의 시>, <도시의 앨리스>)가 연출한 작품으로 1984년 칸느 영화제 그랑프리를 비롯하여 3개 부문을 수상..
![](https://blog.kakaocdn.net/dn/kXa4B/btsHKorWxRP/KkknDvzMy5lJP1A91KFCV1/img.jpg)
1980년대 최고의 화제작이다.
소외와 영혼의 고독에 관한 일련의 강력한 작품으로 '뉴 저먼 시네마'를 이끈 감독의 대표작으로 손색이 없다.
독일인인 빔 벤더스도 실존주의 시각으로 유럽과 미국의 근본적인 충돌을 '파리'와 '텍사스'로 어둡게 형상화시킨다.
황량한 사막의 텍사스는 미국의 축소판이고, 현대적인 파리는 유럽의 본질이다.
벤더스의 영화는 불안한 현재로부터 신화적인 과거로 가는 의되된 여행에 관한 것이다.
그 여행이 실패하는 것은 놀라움이라기보다는 여행의 필수조건인다.
영화는 우리에게 꿈이란 우리가 여행하는 유일한 목적지일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감독은 인간이 믿음과 느낌의 교환을 통해 실제로 연결될지는 모르나, 일단 그런 유대가 단절되면 고독의 바다로 뛰어들게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의 기대리며>에서 인물들이 그냥 기다리듯이 그냥 걸어갈 뿐이다.
그는 서부의 고독자인 동시에 초월적인 떠돌이며 앞으로도 항상 그럴 것이기 때문이다.
트래비스가 사는 황야는 미국 가정의 참모습이다. 쓸쓸하고 견고한 이미지....
그녀와 스탠튼이 아마도 자기들 생애의 최고의 연기를 펼치는, 유리를 사이에 두고 하는 대화는 정말로 그들이 겪는 현대인으로서의 소외를 정점으로 끌어올린다. 한마디로 영화는 마법을 타고 춤을 춘다고 할까?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엽귀근, Getting Home, 2020년 (0) | 2024.06.06 |
---|---|
오발탄, Aimless Bullet, 1961년 (0) | 2024.06.06 |
미치광이 피에로, Pierrot Goes Wild, 1965년 (0) | 2024.05.19 |
런치 박스, The Lunchbox , 2014년 (1) | 2024.05.15 |
샤이닝, The Shining , 1980년 (0) | 2024.05.0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상대성이론
- 돈
- 혁신
- 양자역학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불교
- 사회물리학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인공지능
- 플랫폼의 시대
- 안나 카레니나
- 최진석
- 이노베이션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부정성 편향
- 스케일의 법칙
- Ai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경계의 종말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파괴적 혁신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경영혁신
- 고도를 기다리며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