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영화 혁명가'로도 불리는 거장 장 뤽 고다르(Jean-Luc Godard, 1930 ~ 2022년)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

 

프랑스의 대표적인 old 배우로 1960 ~1970년 대 알랭 들롱(Alain Delon, 1935년 ~)과 쌍벽을 이뤘던 장폴 벨몽도(Jean-Paul Belmondo,1933 ~ 2021년)와 1960년대 프랑스 영화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여배우이며 고다르 감독의 첫 번째 부인이었던 안나 카리나(Anna Karina, 1940 ~ 2019년)가 주연 작품

 

대체적인  '현대인들의 고독과 사랑, 일탈과 파멸’을 고다르 식으로 그린 풍자적인 영화'라고 해석한다.

"인생과 영화는 차이가 없다."라고 인터뷰에서 말하듯이, 영화 자체에 인생을 넣은 듯 하다.

 

흥행에 대해서 조금도 관심이 없는 것 같은 이런 영화가 다시 나올 수 있을까 싶다.

내가 본 영화 중에서 가장 대사 한 문장, 한 문장 자체가 프랑스 철학같은 영화였다. 

실존주의철학, 분석철학, 그리고 아주 많이 비트겐슈타인의 냄새가 났다.

 

이 정도 영화면 여러 비평가들이  물고 뜯어 해체한 문장들이 많을 듯 하다.

 

"영원한 안식에 당도하기 위해 떠나는 로드무비"

"그들은 테세우스가 되고 아리아드네가 되어 삶의 미궁에서 탈출한 것이다. 그들은 무의미로 가득한 규격화된 삶으로 벗어난다. "

 

페르디낭도 얼굴에 다이너마이트를 감고 자폭한다. 이 장면은 영화의 꼭지점이다. 이 장면에 대해 조성애는 ‘한 번의 폭발음은 마치 불교에서 깨달음의 일갈과 같으며, 다음에 이어지는 정적 속에서 하늘과의 경계도 없이 같은 색깔로 파도 한 점 없이, 고요히 끝없이 펼쳐진 바다는 보이지 않는 영원한 중심을 보여주는 불교의 니르바나 상태를 설명한 추상화’같다고 해석하였다.  

출처 : 불교언론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출처 : 불교언론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39. 고다르의 ‘미치광이 피에로’(1965) < 문학산의 시네마 다르마 < 2020 연재모음 < 지난연재 < 기사본문 - 불교언론 법보신문 (beopbo.com)

 

39. 고다르의 ‘미치광이 피에로’(1965) - 불교언론 법보신문

감염의 시대는 격리의 시간이다. 강의는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회의도 작은 화면에서 진행한다. 격리의 시대에 집은 안식처이기 보다는 갑옷처럼 일상을 구속한다. 장 뤽 고다르의 ‘미치광이

www.beopbo.com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

대사 대사 한마디가 그대로...

철학적인 영화

-------------------------------------------------------------------

이해하려는 자와 이해하지 않으려는 자의 차이

듣리도 듣지 않고, 떠들되 뜻이 없고, 보여주되 보지 않는...

들려도 듣지 못하고, 말해도 전하지 못하고, 보되 알지 못하는

------------------------------------------------------

조용하지만 위대한 통찰이다.

외로운 사람은 말하지 않는 말이 많은 법이다.

------------------------------------------------------

뒤집어서 바보만을 만나게 된 날은

삶을 산 날이 아니다.

------------------------------------------------------

뭔가를 원하는 사람은,

살아 있는 사람이다.

--------------------------------------------------

 

책 속의 삶과 현실의 삶이 같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만나면 슬프다. 무섭다.

-------------------------------------------------------

영화사에 이런 기발한 발상과 장면은 없었을 것이다. 

천재긴, 천재..

---------------------------------------------------------

삶은 늘 아름답기에는 때로 슬프지.

삶은 늘 아름답지 않게에 때로 슬프지

------------------------------------------------------

차를 타고 바로 바다로 돌진하는 명장면

-----------------------------------------------------

쇼킹하다...

촌철살인

--------------------------------------------------------

비트겐슈타인의 일기가 생각나는 장면

-------------------------------------------------------

관객에게 말을 거는 표정..

-------------------------------------------------------

---------------------------------------------------------

적어도 나는 이것이 때로는 나를 상당히 설명해 주는 대사로, 가슴에 와 닿았다.

------------------------------------------------------------------

누군가에 대해서 쓰여진 소설이 아니라, 

그 누군가 자체가 쓰여진 소설이 있을까.

-----------------------------------------------------------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보다는 얇지만, 그 보다는 따사롭다.

-----------------------------------------------------

아마, 알랭 들롱은 이 연기를 못했거나,

하더라도 장폴 벨몽도 보다는 약했을 듯..

----------------------------------------------------

삶은 행위 그 자체로 아름답다.

-------------------------------------------------

-------------------------------------------------------------

 

---------------------------------------------

달리는 차를 멈추고 키스하는 명장면..

-----------------------------------------------------

 

참고)

마지막 장면에서 영원의 이미지인 바다 위에 페르디낭과 마리안의 목소리가 흘러든다. 그들은 독백으로 랭보의 ‘영원’이라는 시의 구절을 읊조린다. 바다의 이미지에 그들은 랭보의 시를 판서한다. “나는 다시 찾았어, 무엇을 영원을, 그건 바다야, 태양과 함께”라는 랭보의 시어는 그들이 영원성으로 편입했음을 암시한다. 영원으로의 귀속은 랭보의 시를 통해 입증하고 그들의 방황은 ‘지옥에서 보낸 한철’이며 ‘지독한 오후 5시’를 보냈다.....

 

바다는 그들과 우리가 돌아갈 귀의처이자 인류의 모태이다. 그들은 영원 회귀했다. 로드 무비는 ‘우리는 왜 세상에 던져졌는가’와 ‘우리는 이곳에서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를 질문한다. 그들은 결국 죽음으로 영원한 안식에 당도한다. 타나토스를 통한 삶의 에로스 완성, 심리적 열반, 영원성의 성취이다.

출처 : 불교언론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