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밑줄/연결 ]
(진짜 내 자신은 어디에 있을까?) 나가르주나(용수) <중론>
자신이란 정말로 존재하는가. 이는 오래전부터 인류에게 큰 화두였다.
불교에서 인간의 존재를 오온의 집합체로 보는 관점이 하나의 토대가 되었다.
즉, 우리가 인간이라고 생각하는 존재를 관찰한 결과 그곳에는 계속 형성돼가는 오온의 집합체가 있을 뿐 불변하는 진짜 나는 없다, 어디까지나 오은이 모인 상태에 인간이라는 이름을 붙인 데 불과하다는 뜻이다.
(불확실한 세상에 확실한 것이 존재할까?) 몽테뉴 <수상록>, 데카르트 <성찰>
확실한 것은 없다 = 회의주의
몽테뉴는 끝까지 '나는 무엇을 아는가?'라는 표어로 회의주의의 궁극적 형태를 추구했다.
극단적인 의심이라는 사고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나는 틀림없이 존재한다. 이것이 정말 확실한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 자평 ] 뭘... 글쎄...읽는다고, 읽었다고 인생이 더 수월해지지는 않을 것 같다.
제목과 함께 책 표지에 있는 '철학을 하면 인생이 더 수월해진다!'라는 문구가 흥미를 돋워 훑어 읽었다.
'읽은 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제서야 이해되는 불교 by 원영 (0) | 2023.11.11 |
---|---|
백석 시, 백 편 by 이 숭원 (0) | 2023.11.11 |
왜 칸트인가 by 김상환 (1) | 2023.10.29 |
우리는 매일 슬픔 한 조각을 삼킨다 by 프레데리크 시프테 (Frederic Schiffter) (0) | 2023.10.28 |
그림으로 배우는 클라우드 by (0) | 2023.10.21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고도를 기다리며
- 플랫폼의 시대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안나 카레니나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파괴적 혁신
- 이노베이션
- 경계의 종말
- 부정성 편향
- 상대성이론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인공지능
- 최진석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혁신
- 스케일의 법칙
- 경영혁신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사회물리학
- Ai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돈
- 양자역학
- 불교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