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찰스 디킨스의 <위대한 유산>을 원작으로 한 영화 중 가장 원작에 가까운 버전이라 하여 보게 되었다.

전체적으로는 괜찮았지만, 소설 자체가 너무나도 'Great'하여 그에 미치지 못했다. 

 

가장 궁금한 배역은 해비셤역과 에스텔라역이였다. 

이런 사연을 가진 캐릭터가 있을까 싶은, 그래서 어떻게 생겼을까 하는 궁금증이 많았던 해비셤역은 마티타 헌트(Martita Hunt, 1896 ~ 1969년)가 맡았으나 수척할 정도로 말랐을 것 같은 상상을 했기에 그렇게 어울리는 배역은 아닌 듯 했다.

 

어린 에스텔라역은 <Hamlet, 1948년>에서 올리비아 로렌스와 같이 오펠리아역을 했던  전설적인 여배우인 진 시몬스(Jean Simmons, 1929 ~ 2010년)이 했으며 정말 에스텔라 같았지만 조금 더 어린 배역이 했어야 하지 않았을까 싶다. 

Jean Simmons

나이 든 에스텔라역은 발레리 홉슨(Valerie Hobson, 1917 ~ 1998년)이 연기 했으나 너무나도 순하고 착해 보이는 인상이라 상상했던 에스테랄와는 맞지 않은 얼굴이었다.

 

기타 어린 핍역은 토니 웨이저(Tony Wager, 1932년 ~)이 좋았고, 약간 날카롭고 말랐다고 상상했던 것과는 다르기 완전 뚱뚱했지만 소설에 나오는 것처럼 날카롭게 냉혈하게 보였던 재거스역을 한 프란시스 L. 설리반(Francis L. Sullivan, 1903 ~ 1956년)의 연기가 좋았다.

 

스타워즈의  벤 (오비-완) 케노비 역의 알렉 기네스(Alec Guinness, 1914  ~ 2000년)의 필모그래피를 보니 주인공의 친구인 허버트 포켓 역으로 데뷔를 하지 않았나 싶다.

Alec Guinness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

누가 어떻게 이 캐릭터를 소화했을까?가  너무 궁금했던 미스 해비셤...

하얀 결혼식 드레스를 입은 아주 수척한 비비안 리 처럼 생기지 않았을까 상상했으나....

--------------------------------------------------------------

오히려 어린 시절의 진 시몬스가 비비안 리와 무척 닮았다는 생각을 들었다.

-----------------------------------------------------------------------

내가 읽은 번역본에서는 비디가 핍과 나이 차이가 별로 없는 여자로 나오는데, 영화에서는 아줌마로 나온다.

원서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겠지만..

-------------------------------------------------------------------------------

신사가 되면 = 행복할 것이다.... 

부자가 되면  = 행복할 것이다....

이런 미래 욕망을 거짓말 때문에 인간이 살고, 인간이 울고, 인간이 웃고, 인간이 좌절하고....

--------------------------------------------------------------------------

위대한 유산? 

그 위대한 유산이 뭔지? 가 이 소설의 중심 주제이다.... 

----------------------------------------------------------

허위를 인정하면서 슬퍼할 수 밖에 없는....

친절하게 되고자 하는 욕망에서 본 허위의 불친절...

-------------------------------------------------------------------

시대와 장소, 환경과 사람에 따라  맞지 않는 '선함'이 있을까? 

----------------------------------------------------------------------------

'나'란 그러므로,, 

어마어마 한 사기이다.

--------------------------------------------------------------------------------

'정' 때문이 아니라, 정말 아무 것도 아니라면 기억되지 못한다.

--------------------------------------------------------------------

자기도 못하는 것을 말할 때는 지시가 아니라 '부탁'을 해야 하는 것이다.

-----------------------------------------------------------------

4차산업혁명, AI 시대에 더 적합한 인물...

-----------------------------------------------------------------------------

내가 보기에는 소설과는 다른 맛을 낸 화끈한 영화라는 매체에 맞는 결론....

이 소설의  끝은 어떤 맛인지? 여운을 남겼던 것 같다. 

하지만 이 영화는 화끈한 해피 엔딩으로 결론을 내 버린다. 

애매함을 버렸지만, 해석의 다양성/회색적인 상상력을 잃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