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bizbuddha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bizbuddha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275) N
    •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460)
    • 읽은 책들 (678)
    • 잡생각 (103)
    • 평행우주 속의 경영 (303)
      • 구조 만들기 (19)
      • 양적 성장 (62)
      • 임계점과 티핑 포인트 (10)
      • 질적 변화 (184)
      • 죽음의 연명 (27)
    • 한줄 베끼기 (240)
    • 내 인생의 단어 (58)
      • 탄생 ~10대 (0)
      • 10대~ 30대 (9)
      • 30대 ~ 50대 (17)
      • 50대 ~ (31)
    • 500년을 기획하는 사람 (1)
    • 인간의 순수한 증명 (0)
    • 지능 (176)
      • 인간지능 (56)
      • 인공지능 (120)
    • 쉽게 살기 위한 공식 찾기 (21)
      • 방정식 (14)
      • 알고리즘 (4)
      • 좋은 방정식과 알고리즘 (3)
    • IT (94)
    • 과학 (49)
    • 애비밴드 (1)
    • AI 프롬프트 (52) N
  • 방명록

2025/05/10 (8)
결재 문서 초안 작성 요청 AI 프롬프트

( 프롬프트 예시 ) 아래 내용을 중심으로 내부 결재 문서 초안을 작성해줘 추진 배경 및 목적양사 CEO MOU 후 아마존과 한국형 언어 모델 개발 공동 개발 논의 중NDA 또는 MOU 후 개발진행 예정개발 제품은 아마존 클라우드에 서비스를 통해 당사의 기술력 향상 및 신규 서비스 성장에 기여하고자 함주요 내용개발은 양사 서비스기획 및 R&D 인력이 TF를 구성하여 공동 참여전체 일정은 6월 시작하여 2025년 내 완료 목표(잠정 11월)한국어 데이터는 당사가 아마존으로 제공PoC는 한국의 특정 기업을 선정하여 NDA 맺고 진행 예정총 비용은 양사에서 50대 50으로 집행 예정일정 및 예산일정 : 6월 시작하여 11월 완료 (단, PoC는 12월 시작하여 3개월 별도로 추진)예산 : 총 비용을 양사 50..

AI 프롬프트 2025. 5. 10. 11:44
보고서 초안 작성 요청 AI 프롬프트

( 프롬프트 예시 ) 너는 AI 서비스 회사의 기획담당이사야.MS 본사와 미팅 준비를 위해 아래와 같은 보고서가 필요해. 문서의 목적 : MS 서비스 기획 및 개발 담당 부서의 공동 개발을 위한 회의문서의 독자 : MS AI 언어모델 기획 및 개발 담당 조직반드시 포함할 내용 : 6월 개발시작하여 11월에 개발완료 목표 일정. 한국 출시를 고려한 사전 마케팅 및 영업방안 업무 병행 추진 ( 챗GPT 결과 ) 보고서: MS 서비스 기획 및 개발 담당 부서와의 공동 개발을 위한 회의 준비1. 문서 목적본 보고서는 Microsoft 본사의 AI 서비스 기획 및 개발 담당 부서와의 공동 개발을 위한 회의를 준비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본 회의에서는 양사의 협력을 통해 AI 언어모델 관련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AI 프롬프트 2025. 5. 10. 11:32
모르는 업무에 대한 내용과 절차를 물어 보는 AI 프롬프트

( 프롬프트 예시 ) 창업한지 얼마 되지 않은 스타트업 CEO야.직원 채용 후 업무 부여 및 이에 대한 평가를 해야 할텐데 적절한 업무 내용과 절차를 알려줘.특히 요즘 스타트업들이 많이 활용하는 OKR를 사용하고 싶은데, 그 도구를 중심으로 정리해줘.각 세부 단계를 자세히 알려줄래. ( 챗GPT 결과) 스타트업 CEO로서 조직을 빠르게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 설정과 실행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은 스타트업의 민첩성과 성과 중심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아래는 OKR을 중심으로 한 직원 채용 후 업무 부여 및 평가 절차의 전반적인 단계입니다.🔹 1단계: 채용 및 온보딩목표: 조직의 미션과 문화에 맞..

AI 프롬프트 2025. 5. 10. 11:28
제품 개발 일정 초안 잡기 AI 프롬프트

(프롬프트 예시) 오늘은 5월 10일이야.너는 한국 AI 서비스회사의 대표로 MS 본사의 개발팀과 한국형 AI 모델 개발을 위해 회의를 준비해야 해.회의 자료 중 개발 일정표를 제시하고 논의할 생각이야.6월에 시작하여 11월에 개발완료하는 5개월 짜리 한국형 AI 언어모델 개발계획 일정표를 만들어줘표 형태로 해줘. (챗GPT 결과) 아래는 6월부터 11월까지 총 5개월간 진행되는 한국형 AI 언어모델 개발계획 일정표입니다. 회의 자료로 활용하기 적합하도록 표 형태로 정리했습니다.📅 한국형 AI 언어모델 개발 일정표 (2025년 6월~11월)월 주요 단계 세부 내용6월기획 및 데이터 수집..

AI 프롬프트 2025. 5. 10. 11:22
이메일 초안 작성 AI 프롬프트

ㅊㅊ (챗GPT 결과) 물론입니다. 아래는 비즈니스 격식을 갖춘 이메일 초안입니다:Subject: Request for Preliminary Virtual Meeting – Joint Development of Korea-specific AI ModelTo: [MS 아시아 퍼시픽 담당 임원 성함]Cc: [필요시 관련자 메일 주소 기입]From: [귀하의 성함 및 직책]Date: [보내는 날짜]Dear [Mr./Ms. 성],I hope this message finds you well.In light of our mutual interest in the joint development of a Korea-specific AI model, we would like to propose a preliminary..

AI 프롬프트 2025. 5. 10. 11:16
세상 모든 행복 by 레오 보만스 역음

[ 밑줄/연결 ] (행복은, 결국 사람이다. by ) 100개의 목소리에 공통적인 울림이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첫째, 행복의 절대적인 원천이 타인과의 관계라는 것이다.사랑하는 친구, 가족, 연인이 없는 삶은 행복할 수 없다. 돈, 권력, 명예는 타인의 인정과 사랑을 얻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이 '수단'을 과도하게 추구하여 정작 타인과 벽을 쌓게 되는 모순을 범하며 살고 있다. 둘째, 우리가 행복에 있어서 '돈'의 역할을 과대평가한다는 점이다.돈 보다 타인에 대한 신뢰감, 다양성의 인정, 개인의 자유에 대한 깊은 존중감이 더 중요. 마지막으로 행복이 유전적 기질에 의해 일정 부분 좌우되지만, 개인의 노력으로 성취할 수 있다는 사실행복은 '외적'인 조건이나 상태에 의해 주어진 것이 아니라, 개인이 주관..

읽은 책들 2025. 5. 10. 10:53
HBR 리더십 인사이트 by HBR리더십연구회

[ 밑줄/연결 ] (리더십의 시작은 신뢰) 조직이 무너지거나 흔들리는 가장 큰 원인은 리더가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하버드경영대학원 교수 프랜시스 프라이(Frances Frei)와 리더십 컨소시엄 창업자 앤 모리스(Anne Morriss)는 리더가 신뢰를 쌓는 방법으로 진정성, 논리, 공감 3가지를 주장한다. 일명 '신뢰의 삼각형'이다. 구성원들은 리더의 진실된 마음에서 진전성(authenticity)을 느끼고, 리더의 판단과 능력을 믿을 때 논리(logic)로 설득되고, 리더가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질 때 공감(empathy)을 느끼고 신뢰한다.----> 프라이 교수의 책은 번역이 되어 있다. 원서: Unleashed: The Unapologetic Leader's Guide to Empowering..

평행우주 속의 경영/질적 변화 2025. 5. 10. 08:56
사슴을 이끄는 사자의 리더십 by 마이크 슈셉스키

[ 밑줄/연결 ] [ 자평 ] 리더십에 관심이 없다. 어쩔 수 없이 필요하여 필요한 부분만 잠깐 봤다. 원제목은 (2023년)저자는 듀크대 농구팀 감독으로 통산 1200승, 미국 올림픽 대표팀 3회 연승을 했다는 전설적인 감독이라고 한다. 예전에 함 훑어 본 적이 있는데, 같은 책의 원서 개정판을 번역한 듯 한데 관심이 없어 찾아보지 않았다.(아래 책 원서 제목 Leading with the Heart: Coach K's Successful Strategies for Basketball, Business, and Life>(2001년) 이 문구 여기 저기서 리더십을 말할 때 자주 나오는 문구다.내가 이 문구를 처음 본 책은 켄 블랜차드의 (2017년)라는 책에서 였다. 이 책에서는 마치 이 감독..

평행우주 속의 경영/질적 변화 2025. 5. 10. 08:24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고 있다는 말의 맹점
  • 1,000권의 책을 우선 정리해 보자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파괴적 혁신
  • MECE
  • 지식의 정의
  • 인공지능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사회물리학
  • 지식론
  • 혁신
  • 부정성 편향
  • 사고의 본질
  • 안나 카레니나
  • 인식론
  • Ai
  • 게티어
  • 경영혁신
  • 생각
  • 샤룩 칸
  • 이노베이션
  • 형식 지정 기법
  • 양자역학
  • 게티어 문제
  • 돈
  • 최진석
  • 도파민의 배신
  • 프레임워크
  • 개념
  • 고도를 기다리며
  • 상대성이론
  • 지식의 구조화
  • 불교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