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구)소련이 제작한 SF영화.
원작은 폴란드의 SF 작가인 '스타니스와프 렘 (Stanislaw Lem)'의 '솔라리스'란 SF소설이다.

책이나 영화나 생각해 볼 꺼리가 꽤 복잡한 작품이다.
영화 자체는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 차이가 있어서 그러는지 꽤나 지루하다. 몇 번을 끊어서 봐야 겨우 다 볼 수 있었다.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
------------------------------------------

가만히 생각해 보면 굉장히 철학적인 말이다.
특히 AI가 화두인 2021년 요즘 세대에도 더욱 맞는 말씀일 수도
------------------------------------------------------------

유일한 존재인지는 모르나, 지구에 있는 존재는 꽤 그런 존재인 것 같다.
------------------------------------------------------------

솔라리스 행성 지적 생명체(?)의 핵심적 능력
더욱 무서운 것은 우리 의식 속의 어떤 것을 물질화하여 보여 준다는 것이다.
즉 우리 의식과 무의식을 맞닿드리게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SF소설이 정말 희귀하고 대단하다고 하는 것이다.
우주로 나가고 UFO나 외계인을 떠들던 시대에 (아직까지도 그런 시대인데) 우주로 나가는 것이 곧 우리 내면을 보는 꼴이 될 수도 있음을 언급한 탁월함이 있는 것이다.
------------------------------------------------------------------

반가운 돈키호테와 산초
-------------------------------------------------

공감
-----------------------------------------------

인간과 인간이 아니라고 인간이 주장한 것들과의 차이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질문
----------------------------------------------------------------

소설에도 이런 취지의 문장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언제나까지 사랑에 이르지 못할지도 모른다.
------------------------------------------------------

가장 행복한 사람은 "행복인 뭔지",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할 수 있는지?" 등 그런 빌어먹을 질문을 더 이상 하지 않는 사람이다.
----------------------------------------------------------

영화를 봐야 이해가 되는 소름돋는 장면

---------------------------------------------------
(남의 시선으로 더 배우기)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1001 by 스티븐 제이 슈나이더)

영화의 마지막 이미지는 솔라리스가 크리스가 상상해 온 구원의 모습으로 탈바꿈하는 장면이다.

행성 솔라리스가 지닌 위안적이면서 동시에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해결될 수 없는 모순은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다양한 시퀀스를 통해 완벽하게 표현된다.

살아 있다는 것의 의미를 캐려는 영화적 자극의 시금석 같은 영화다.

댓글